본문 바로가기

추천 검색어

실시간 인기 검색어

학술논문

‘김장문화’의 인류무형유산 대표목록 등재를 통해 본 무형유산 보호의 패러다임 변화

이용수 191

영문명
Paradigm Shift Regarding the Protection of Intangible Cultural Assets : Based on “Kimjang : Making and Sharing Kimchi,” Recently Recommended for the Representative List of Intangible Cultural Heritage of Humanity
발행기관
영남대학교 민족문화연구소
저자명
황경순(Hwang Kyeong Soon)
간행물 정보
『민족문화논총』제55집, 487~512쪽, 전체 26쪽
주제분류
인문학 > 문학
파일형태
PDF
발행일자
2013.12.30
5,920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1:1 문의
논문 표지

국문 초록

2003년에 유네스코 「무형문화유산보호협약」이 제정된 이래로, 우리나라는 아태지역의 30%에 해당되는 16건의 인류무형유산 대표목록을 보유한 무형문화유산 보호의 선도국으로 평가받고 있다. 그러나 1962년부터 시행한 우리나라의 무형문화재보호제도와 국제규범으로서 「무형문화유산보호협약」은 무형문화유산의 정의와 범주, 보호 주체의 역할 등에 있어 근본적으로 큰 차이를 지닌다. 협약에서는 공동체가 소중하게 여기는 것이야말로 인류가 보호해야 할 무형문화유산이라고 규정하는 반면, 국내법은 역사적, 예술적, 학술적 가치를 지닌 것을 무형문화유산으로 지정할 수 있기 때문에 ‘김장문화’와 같이 국민 모두가 전승하는 무형문화유산에 대한 가치와 보호인식은 미흡했다. 또한 국가차원의 보호정책에 의해 인정된 보존회를 비롯한 특정 단체와 개인의 역할만을 강조해 왔다. 2006년에 협약이 발효되고 2008년부터 인류무형문화유산 대표목록 등재제도가 시행된 이후로도 우리나라는 미지정 무형유산보다는 중요무형문화재 중에서 대표목록을 우선적으로 신청하는 서열화를 지속시켰다. 이러한 측면에서 김장문화의 등재 추진은 다음과 같이 국내 무형문화유산 보호의 패러다임을 전환시켰다는 의의를 지닌다. 첫째, 중요무형문화재와 시도지정 무형문화재가 아닌 미지정 무형문화유산을 인류무형유산 대표목록으로 신청함으로써 무형문화유산보호협약에서 규정한 무형문화유산의 정의와 범위를 수용하여 국가와 국민이 미지정 무형유산의 중요성을 재확인하는 계기가 되었다는 점이다. 둘째, 등재 신청 과정에서 무형문화유산의 전승 주체로서 특정 개인과 보존회뿐만 아니라 공동체 전체로 참여의 폭을 넓혔으며, 이들에게 무형문화유산 보호주체로서의 역할을 인식시켰다는 점이다. 그러나 우리나라는 그간 인류무형유산 대표목록의 등재 건수 늘리기에 급급했던 나머지 등재 이후의 보호방안에 대한 충분한 논의가 선행되지 못했다. 이러한 한계는 김장문화의 등재 신청 과정에서도 여전히 되풀이 되었기에 반성적인 검토가 필요하다. 대표목록 등재가 문화적 우월성을 과시하는 데 활용됨으로써 무형문화유산 보호를 위한 대표목록 등재 제도의 근본적인 취지가 희석될 수 있기 때문이다.

영문 초록

Since the Convention for the Safeguarding of Intangible Cultural Heritage was declared by UNESCO in 2003, Korea has been acknowledged as a leading country in the protection of intangible cultural heritage, having already listed 15 items in the List of Intangible Cultural Heritage of Humanity. Such items account for 30% of Asia-Pacific countries’ items. Note, however, that there is a fundamental difference between Korea’s protection system for intangible cultural assets, which has been implemented since 1962, and the Convention for the Safeguarding of Intangible Cultural Heritage as an international convention. Although the convention defined intangible cultural heritages to be protected by humanity as those a community sets high value on, Korean law stipulates that only valuable heritages in terms of historical, artistic, and intellectual significance can be listed as intangible cultural heritage. Such led to relatively insufficient consensus on acknowledging value and necessity for the protection of cultural heritages transmitted among almost all Korean people, such as “Kimjang: Making and Sharing Kimchi.” Since the Convention for the Safeguarding of Intangible Cultural Heritage took effect in 2006, and the Representative List of Intangible Cultural Heritage of Humanity was implemented in 2008, the Korean government kept listing Important Intangible Cultural Properties by priority in the Representative List of Intangible Cultural Heritage of Humanity and fixed its hierarchy. Considering this, efforts to add “Kimjang: Making and Sharing Kimchi” in the Representative List of Intangible Cultural Heritage of Humanity have significance in terms of the paradigm shift regarding the protection of Korea’s Intangible Cultural Assets as follows; First, by recommending non-designated cultural heritage for the Representative List, these efforts let the Korean government and people realize the significance of non-designated cultural heritage, accepting the definition and boundary of intangible cultural heritage as set by the Convention for the Safeguarding of Intangible Cultural Heritage. Second, all community members took part in enlisting “Kimjang: Making and Sharing Kimchi,” which reminded them of their role of protecting cultural heritage. To date, discussions regarding the protection method after listing have yet to be held, whereas more efforts were made to list more items in the Representative List. A reflective review is deemed needed at present given the abovementioned negative trend noted when “Kimjang: Making and Sharing Kimchi” was recommended for the Representative List, since misusing the listing in the Representative List to flaunt Korea’s cultural superiority defeats the fundamental aims of the Representative List.

목차

Ⅰ. 서론
Ⅱ. 사회적 관습으로서 김장문화의 무형유산적 가치
Ⅲ. 김장문화의 인류무형유산 등재 신청과 공동체의 참여
Ⅳ. 김장문화의 인류무형유산 등재 의의와 과제
Ⅴ. 결론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교보e캐시 1,000원
TOP
인용하기
APA

황경순(Hwang Kyeong Soon). (2013).‘김장문화’의 인류무형유산 대표목록 등재를 통해 본 무형유산 보호의 패러다임 변화. 민족문화논총, 55 , 487-512

MLA

황경순(Hwang Kyeong Soon). "‘김장문화’의 인류무형유산 대표목록 등재를 통해 본 무형유산 보호의 패러다임 변화." 민족문화논총, 55.(2013): 487-512

결제완료
e캐시 원 결제 계속 하시겠습니까?
교보 e캐시 간편 결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