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추천 검색어

실시간 인기 검색어

학술논문

新羅 木簡文化의 전개와 특성

이용수 23

영문명
A Study on the Development and Characteristics of the Wooden Tablets Culture in Silla
발행기관
영남대학교 민족문화연구소
저자명
이경섭
간행물 정보
『민족문화논총』제54집, 275~307쪽, 전체 33쪽
주제분류
인문학 > 문학
파일형태
PDF
발행일자
2013.08.30
6,760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1:1 문의
논문 표지

국문 초록

현재까지 알려진 신라의 목간은 시기적으로 6~9세기에 해당하는 자료들이며, 그 이전에도 목간은 사용되었을 것이다. 그러나 목간문화의 기원은 현재 알려진 자료의 제약으로 분명하게 말하기 힘들다. 일부에서는 신라의 문자문화가 고구려와의 정치적 관계 속에서 영향을 받았을 것으로 추정하기도 한다. 신라는 마립간의 시대에는 초보적인 문서행정이 도입되고, 목간이 사용되었을 것이다. 이후 고대국가의 인민 지배는 수취의 행정을 통하여 구현되었는데, 수취의 현장에서는 짐꼬리표[荷札] 목간이 사용되었고, 수취물의 보관과 분배는 물품꼬리표[附札]목간이 사용되었다. 고대국가의 성장은 지배의 통치 행위를 口頭에 근거하지 않고 文書에 근거해 처리할 것을 요구하였다. 이러한 사실은 문서목간의 출토에서 확인되는데, 시기가 지남에 따라 文書木簡의 서식이 보다 구체적으로 정비되어 갔다. 나아가 목간의 내용에 따라 다면형과 원주형목간이 선택적으로 사용되었던 것으로 생각된다. 이러한 문서목간은 7세기 중후반을 경과하면서 종이문서가 제도적으로 도입되면서 점차 영향력을 상실하였지만, 꼬리표목간이나 주술ㆍ의례와 같은 특정한 용도에서는 목간이 오랜 기간 활용되었다. 목간은 고대국가에서 중요한 서사재료였던 것이다.

영문 초록

Silla’s wooden tablets so far reported are materials created in the period of the 6th~9th century, and they must have used wooden tablets in Silla before the period, as well. However, it is difficult to identify the origin of the wooden tablets culture due to the limited materials available today. Some estimate that the letters culture of Silla might have been influenced by its political relationships with Goguryeo. It seems that Silla introduced an elementary document system for administration and used wooden tablets during the period of Maripgan. Since then, governance of people in ancient states was performed through the administration of collection. Wooden tablets for receipts of tributary payments or taxes were used on the field of collection, while wooden tablets for receipts of goods were used to store and distribute collected items. The growth of ancient states required the ruling acts to be handled based on documents rather than the oral practice, which was checked out in the wooden tablets for documents excavated. Their formats had increasingly become concrete and arranged over time. It is estimated that they must have chosen between wooden tablets of multi-sided type and those of circumferential type according to the content. Wooden tablets started to lose their influence gradually since the institutional introduction of paper documents in the middle and late 7th century, but their service lasted for long for certain purposes like receipts, incantation and rituals. Wooden tablets were important narrative materials in ancient states.

목차

Ⅰ. 머리말
Ⅱ. 신라목간의 기원
Ⅲ. 單獨簡의 문화
Ⅳ. 收取와 목간
Ⅴ. 文書行政과 목간
Ⅵ. 목간과 古代國家 - 맺음말을 대신하여 -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교보e캐시 1,000원
TOP
인용하기
APA

이경섭. (2013).新羅 木簡文化의 전개와 특성. 민족문화논총, 54 , 275-307

MLA

이경섭. "新羅 木簡文化의 전개와 특성." 민족문화논총, 54.(2013): 275-307

결제완료
e캐시 원 결제 계속 하시겠습니까?
교보 e캐시 간편 결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