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추천 검색어

실시간 인기 검색어

학술논문

신채호의『을지문덕』과『수군제일위인이순신』: 외경(外競)을 통한 “우리 민족” 만들기

이용수 358

영문명
Sin Ch aeho s Novels Ŭlchi Mundŏk and The Greatest Admiral, Yi Sunsin : Making our nation through competition against Others
발행기관
순천향대학교 이순신연구소
저자명
박노자
간행물 정보
『이순신연구논총』제15호, 1~19쪽, 전체 19쪽
주제분류
인문학 > 역사학
파일형태
PDF
발행일자
2011.06.30
5,080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1:1 문의
논문 표지

국문 초록

러일전쟁의 직후 시기인 1905-1910년간은, 대한제국에서 일본, 중국과 마찬가지로 상무 (尙武) 정신 이 시대적 화두로 떠오른 기간이었다. 청일, 러일 전쟁의 결과로 한반도가 일제의 영향권으로 편입되자, 대한제국의 지식인들이 상무 정신만이 구국의 관건이 될 수 있다 는 점에 대해서 폭넓은 공감대를 구축했다. 학교 운동회나 병식 체조 보급 등과 함께 상무 정신 보급의 또 한가지 중요한 방식은 위인전을 통해서이었다. 단재 신채호 (1880-1936)가 1908년에 신문에서 연재한 뒤에 단행본으로 낸『을지문덕』과『수군제일위인이순신』라는 두 개의 영향력 높은 위인 전의 목적은 바로 고대, 중세의 상무 정신 의 재발견 (내지 재창조)을 통해 근대적 국민 의 외경력 (外競力) 을 극대화시키는 것이었다. 이 두 작품은 소설 로 분류 됐지만, 근대적 소설 과는 본격적으로 다른 점들이 많다. 근대적 소설 은 주인공의 내면의 묘사에 주안점을 두지만, 이 두 작품의 주인공들은 일개 개인 으로 묘사 되어 있지 않다. 신채호의 을지문덕은 단순히 역사 속의 개인 이라기보다는 상무적 조선민족 , 단군 후손 의 대표 격이다. 그에게는 모순이나 갈등, 민족 영웅 의 표준적 모습과 무관한 그 어떤 개별적 특성도 발견되지 않는다. 신채호의 이순신은 그것보다 조금 더 개체화돼 있는데, 개인으로서의 그는 모범적 도덕군자 에 가깝 다. 그는 오로지 공 (公)만을 추구하고 하등의 사욕 (私慾)도 없는 완벽한 인간 으로 나타난다. 완벽한 도덕적 인간 으로서는 그는 조선민족을 혼자 힘으로 구제한 구세주 로 묘사되는데, 그 묘사 방법은 1900년대에 근대의 표준적 종교 로 자리 매김 됐던 기독교의 예수에 대한 묘사법과 사뭇 비슷하다. 신채호에게는 이순신이 상제(上帝)가 보낸 천사 (天使) 이었다. 이와 같은 묘사는, 대표적인 조선 중기 무관 (武官)으로서 상당한 개인적 관계망을 유지하면서 나름대로의 정치적 수완을 발휘해온 현실적 정치인 이순신의 실제적 모습과는 사뭇 달랐다. 하지만, 사 (私)를 사 (死)와 동질의 것으로 생각하고 지공 (至公)과 완전한 자기희생 만이 민족 을 살릴 수 있다고 생각했던 신채호로서는 사욕이 없는 성인 (聖人) 만이 민족 을 대표하고 국민 만들기 과정에서 표준 의 역할을 할 수 있었다. 이와 같은 모습의 민족 영웅 은 분명히 유교적 현인 (賢人), 성인 과 맥이 닿아 있었다. 사회진화론을 따랐던 신채호는 예컨대 고구려가 숙신 (肅愼), 말갈 (靺鞨), 중국의 여러 나라들을 자랑스럽게 여길 정도로 침략 능력을 외경력의 척도 로 좋게 생각했지만, 우리 민족의 도덕적 명분 으로서 민족 지도자 들의 유교적 도덕성을 내세운 차원에서 전통의 세계를 완전히 떠나지 않았다. 무력과 침략을 긍정시하고, 적대적 타자인 왜인 들을 거의 탈(脫)인간화, 악마화시키는 1900년대 신채호의 세계관을, 오늘날 우리로서는 무조건 긍정적으로 보기가 어렵다. 하지만, 1920년대에 접어들어 신채 호가 민족 의 특수성을 넘어 세계 보편적 민중 을 발견하는 등 놀라온 사상적 역동성을 보인 점 등도 고려에 넣어야 신채호라는 근대 초기의 위대한 사상가에 대한 균형 잡힌 총체적 평가가 가능해질 것이다.

영문 초록

As Korea became a part of the Japanese imperial influence sphere following Japan’s victories over China and Russia, Korea’s intellectuals largely came to believe that only inculcation of the militaristic spirit could save the nation from the further utter downfall. Together with sport events and military callisthenics lessons in the schools, one more way to inculcate the militaristic spirit into the Koreans minds were the biographies of great military men of the past. Two influential biographies of such sort, Ŭlchi Mundŏk and The Greatest Admiral, Yi Sunsin , were created by Sin Ch’aeho (pen name Tanjae, 1880-1936). He was attempting to maximise the competitive capabilities of contemporaneous Korean nationals by rediscovering (recreating) the militaristic spirit of antiquity and Middle Ages. Both biographies were initially classified as novels , but they differed essentially from the novels in the modern sense. Modern novels concentrate on describing the inner world of their personages, while the chief personages of both biographies were not representing simply historical individuals. Ŭlchi Mundŏk, as described by Sin Ch’aeho, was the representative of all the Tan’gun descendants , militaristic Korean race rather than simply an individual historical figure. Free of any conflicts or contradictions, he does not demonstrate any specific individual qualities. Admiral Yi Sunsin, as described by Sin Ch’aeho, was more individualized, but his individuality was that of a Confucian morality paragon. He was pictured as a perfect moral man , striving after common good only, without a trace of personal/selfish desires. As such, he was also seen as the saviour of the whole Korean people , and was described in the ways reminiscent of the descriptions of Jesus Christ by Christian literature, which represented model modernity to many Korean intellectuals in the 1900s. Sin Ch’aeho believed Yi Sunsin to be the angel the Lord-on-the-High sent to the Korean people . This portrayal does not have much in common with real-life Yi Sunsin, a politically shrewd military official of mid-Chosŏn period, who was also known for having commanded a large personal network of influential friends. But from the viewpoint of Sin Ch’aeho, private desires or “selfishness represented national death , and only absolute sacrifice in the name of common good could save the nation . Thus, an unselfish sage had to represent the nation and play the role of the model man in the process of modern nation-building. In this way, the portrayal of the new national heroes was deeply rooted in the Confucian images of sages and worthies . Sin Ch’aeho was an ardent supporter of Social Darwinism, proud of Koguryŏ’s supposed ability to conquer Sushenor Mohe tribes or periodically invade Chinese kingdoms, but at the same time,in his imagination the high Confucian standards of morality and statecraft demonstrated by our nation’s leaders, such as Ŭlchi Mundŏk, were giving our history also a high moral ground . In this way, Sin Ch’aeho never fully left the world of tradition. His principally positive attitude towards military invasions and conquests (as demonstrations of competitive capabilities in the Social Darwinist world), or his tendency to dehumanise and demonise the Japanese inimical Others is hardly something we can or should approve of in the world of today. However, when giving the general appraisal of Sin Ch’aeho’s thought, we should also remember that he was a dynamic, flexible and ever-changing thinker. In the 1920s, he discovered people’s masses as the new driving force of world history, and, armed with this universalist concept, was at last able to part the ways with the nationalist Social Darwinism of the early 1900s.

목차

Ⅰ. 머리말: 상무 (尙武)의 시대
Ⅱ. 소설 이라는 이름의 외경력 (外競力) 배양의 장 (場)
Ⅲ. 결론을 대신해서: 신채호 세계관의 변천 – 민족주의를 넘어서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교보e캐시 1,000원
TOP
인용하기
APA

박노자. (2011).신채호의『을지문덕』과『수군제일위인이순신』: 외경(外競)을 통한 “우리 민족” 만들기. 이순신연구논총, (15), 1-19

MLA

박노자. "신채호의『을지문덕』과『수군제일위인이순신』: 외경(外競)을 통한 “우리 민족” 만들기." 이순신연구논총, .15(2011): 1-19

결제완료
e캐시 원 결제 계속 하시겠습니까?
교보 e캐시 간편 결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