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추천 검색어

실시간 인기 검색어

학술논문

20세기 초 여훈서의 일 양상

이용수 132

영문명
An aspect Yeo-Hoon-Seo(女訓書) of the early 20th Century-focused on Buin-Eonhaengrokl(婦人言行錄)
발행기관
한국고전여성문학회
저자명
성민경(Sung Min Kyung)
간행물 정보
『한국고전여성문학연구』제35권, 465~505쪽, 전체 41쪽
주제분류
인문학 > 문학
파일형태
PDF
발행일자
2017.12.30
7,720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1:1 문의
논문 표지

국문 초록

본 논문은 權純九(1866~1944)가 편찬한 여훈서인 『부인언행록』(1916)의 간행배경, 체재와 편집원리 및 내용에 공존하고 있는 전통적 지향과 탈전통적 지향의 양상을 살펴보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부인언행록』은 『열녀전』의 형식을 본 따 여성인물전기집의 형태로 편찬된 여훈서로, 보다 구체적인 분류 항목을 두어 한층 더 세밀하게 여성들을 규율하고자 하였다. 현토체 한문에 언해문을 붙인 형식과 어려운 어휘에 붙인 주석들은 여성들의 ‘국한문 리터러시’를 제고하는데 도움이 되었을 것이다. 그리고 『부인언행록』은 전통 여훈서에 비해 세밀해진 덕목의 분류기준에 맞추어 원전의 맥락에 변형을 가하는데, 이것은 전범이 되는 여훈서를 재가공하고 편집하여 당대에 맞게 변개하는 근대전환기 여훈서 편찬의 일단을 보여준다. 『부인언행록』에는 전통적 가치를 고수하고자 하는 측면과 전통적 가치에서 벗어나 있는 측면이 공존하고 있는데, 전자는 ‘烈’과 ‘家’, 후자는 ‘學’이라고 할 수 있다. 『부인언행록』은 <守節>에 가장 많은 20명을 배치함으로써, 이 여훈서가 여성에게 가장 중요하게 생각하는 덕목이 무엇인지 분명히 드러내고 있다. 그리고 여타의 세분화된 항목들에서도 열행을 나열하여 강조하고 있다. 『부인언행록』의 ‘烈’에 대한 강조는 식민지시기에 들어서도 결코 수그러들지 않은 烈에 대한 가치부여를 드러내며, 전통시대부터 지속된 여성의 섹슈얼리티에 대한 완고한 통제가 얼마나 해체하기 어려운 문제였는가를 보여주고 있다. ‘烈’에 이어 『부인언행록』에서 지향하고 있는 전통적 범주의 가치라고 할 수 있는 것은 바로 ‘家’이다. 『부인언행록』은 전통적인 여훈서의 형식을 띠고 있는 만큼 그 내용에 있어서도 전통 여훈서들이 주요하게 다루고 있는 ‘가문의 며느리’로서의 역할을 중점적으로 다루고 있다. 그리고 이전에 비해 세밀해진 분류 항목을 세워 혼인에 의해 맺어지는 모든 관계들을 포용하고자 했다. 근대전환기 여훈서에서 가족구성원들 간의 화목을 강조하는 경향은 『부인언행록』만의 일은 아니었으며, 그 배경에는 당시 새로운 가족론이 대두되고 혈연적 가족주의가 비판의 대상으로 떠오른 상황이 자리하고 있다. ‘烈’과 ‘家’가 『부인언행록』이 고수하고 있는 전통적 가치를 대표한다면 ‘學’은 전통적 여훈서의 관행에서 벗어난 탈전통적인 측면이라고 할 수 있다. 전통시대에 여성의 학문 즉, 여성에 대한 문자 교육은 제한적이고 사적인 범주에서만 이루어졌으며, 여성의 글 읽기와 글쓰기는 권장되지 않았다. 그런데 『부인언행록』이 마지막에 <學問>이라는 별도의 항목을 내세워 여성들에게 학문을 권장한 것은 여훈서의 전통에서 벗어나는 것이라고 할 수 있다. 그런데 근대전환기 여훈서들이 여성에게 학문을 권한 것은 여성 자신의 주체적 성장이나 계발을 위한 것이 아닌 자녀 교육을 위한 것이었다. 그렇다고 해도 그 시도를 평가 절하할 필요는 없으며, 그것은 전통시대 여훈서에서 보이는 여성의 학문적 활동에 대한 방어적 경계에 비하면 분명 긍정적으로 변모해가고 있는 지점이라고 평가할 만한 것이다.

영문 초록

This study aims to determine the background of publication, the format, the principle of edit, and an aspect of traditional-oriented and non-traditional-oriented of Buin-Eonhaengrokl(婦人言行錄)(1916) that was published by Kwon Sungu. Buin-Eonhaengrokl(婦人言行錄) is the biography of women that modeled after Yolnyojun(列女傳), and classify virtues detailedly for Women s discipline. Chinese character with Hyun-to(懸吐) and translation and annotation are likely to be useful to increase Korean-Chinese Style literacy for women. And Buin-Eonhaengrokl(婦人言行錄) modifies traditional Yeo-Hoon-Seo(女訓書) according to detailed classification standard. Buin-Eonhaengrokl(婦人言行錄) has an aspect of traditional-oriented and non-traditional-oriented, the one is Yeol(烈) and family, the other is learning. The part of Soo-Jeal(守節) contains 20 women that represents this Yeo-Hoon-Seo(女訓書) is bothered Yeol(烈). And Buin-Eonhaengrokl(婦人言行錄) emphasizes Yeol(烈) in other parts variously. Such emphasis on Yeol(烈) shows relentless giving value to Yeol(烈) in colonial times. The next thing traditional category of Buin-Eonhaengrokl(婦人言行錄) is family. Contents of this book treats a role as ‘a daughter-in-law of family’ that traditional Yeo-Hoon-Seo(女訓書) mainly treated. And to make more detailed classification than before intends to include family relations due to marriage. In modern-transition period, Yeo-Hoon-Seo(女訓書) tends to emphasize family harmony not only Buin-Eonhaengrokl(婦人言行錄). In the background of the status quo, there are raising of new family theory and criticism of familism on blood ties. Learning is an aspect non-traditional-oriented of Buin-Eonhaengrokl(婦人言行錄). In traditional era, learning of women in other word literal education for women is limiting and private. Moreover reading and writing did not recommended to women. By the way, Buin-Eonhaengrokl(婦人言行錄) sets a part of Hak-Mun(學問) at the end of text, and recommends learning to women. Though, such encouragement of learning not for autonomous growth of woman herself but for education of children. Even so such an attempt does not have to devaluate, that is a distinct point of progress compared with traditional Yeo-Hoon-Seo(女訓書).

목차

국문초록
1. 서론
2. 『婦人言行錄』 개관
3. 전통에의 고착과 탈전통적 지향의 공존
4. 결론
참고문헌
Abstract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교보e캐시 1,000원
TOP
인용하기
APA

성민경(Sung Min Kyung). (2017).20세기 초 여훈서의 일 양상. 한국고전여성문학연구, 35 , 465-505

MLA

성민경(Sung Min Kyung). "20세기 초 여훈서의 일 양상." 한국고전여성문학연구, 35.(2017): 465-505

결제완료
e캐시 원 결제 계속 하시겠습니까?
교보 e캐시 간편 결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