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추천 검색어

실시간 인기 검색어

학술논문

고소설에서 재자의 형상과 그 변화 양상

이용수 377

영문명
The Man with Literary Talent Character and Transfomation in Korean Classical Novel
발행기관
한국고전여성문학회
저자명
강상순(Sang soon Kang)
간행물 정보
『한국고전여성문학연구』제35권, 179~206쪽, 전체 28쪽
주제분류
인문학 > 문학
파일형태
PDF
발행일자
2017.12.30
6,160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1:1 문의
논문 표지

국문 초록

본고는 한국 고소설에서 남성 주인공의 전형이라고 할 수 있는, 문재(文才)에 뛰어나지만 아직 과거로 출세하지 못한 젊은 남성 주인공 ‘재자(才子)’라는 인물 형상이 출현한 것을 조선전기의 전기소설로부터 찾았다. 문치주의가 강화된 조선전기에 이르러서야 재자가 소설의 남성 주인공으로 일반화되었다. 조선전기의 전기소설은 사랑과 신의의 문제를 소설의 주된 테마로 삼았다. 전기소설의 사랑은 직입적이고 충동적으로만 보인다. 하지만 곧 서사는 신의에 기반한 진중한 약속과 헌신의 이야기로 바뀐다. 17세기 전기소설은 이러한 테마를 한편에서는 보존하고 있지만, 다른 한편에서는 그것의 변주를 시도하고 있다. 열정적 사랑도, 굳은 맹세도 시간과 운명의 힘 앞에 부식될 수 있다는 것을 <주생전>은 보여주고 있다. 그런가 하면 <운영전>은 훈육으로도 억압할 수 없는 사랑의 감정을 지고의 가치로 옹호하고 있다. 그런 점에서 <주생전>과 <운영전>은 사랑의 가치에 대해 정반대의 입장을 취하고 있는 소설이다. 17세기 후반의 이른바 규방소설에서는 이런 다양한 재자의 형상이 또 다른 방향으로 극단화되고 정형화된다. 풍류를 좋아하고 여색을 밝히는 ‘풍류재자’는 사대부 남성층의 낭만적인 이상을 담고 있는 인물이다. <구운몽>의 양소유, <창선감의록>의 윤공자, <소현성록>의 소운성 같은 인물들은 스스로 짝을 찾고 부부관계도 능동적인 풍류재자형 인물이란 점에서 서로 닮았다. 하지만 풍류재자의 자질과 가문을 빛낼 덕성이 일치하란 법은 없다. <창선감의록>과 <소현성록>은 가문을 위해 기질을 억제해야 한다는 것을 강조하고 있는 작품이다. 규방소설의 작가들은 가문을 창달시키고 일부다처의 중혼관계를 옹호하기 위해 여성들에게 질투하지 말기를 권장하며 남성들에게는 치우친 사랑을 가중화란의 원인으로 비판적으로 지목했다. 하지만 상호독점적인 사랑의 속성을 벗어난 부부관계는 유희이거나 예의의 관계, 아니면 우정적 연대일 뿐이다. 그렇다고 전기소설이 형상화했던 상호독점적인 사랑의 환타지가 문학사에서 완전히 사라진 것은 아니다. 야담이나 필기 등 한문단편소설을 통해 이는 지속된다. 여기서는 사람을 구원하기도 하고 파멸시키기도 하는 사랑의 힘이 강조된다. 마지막으로는 이러한 재자의 형상이 어떻게 소멸되는지를 살펴보았다. 소설이 사대부 남성층이나 규방 여성층의 범위를 넘어 중하층 독자층에게까지 확산되었을 때 영웅소설의 영웅 형상이 출현한다. 영웅은 재자의 후예이지만 재자의 자질을 무력으로 바꾸어놓는다. 재자를 추락시키는 것은 세태소설도 마찬가지다. 19세기 세태소설은 재자의 형상이 유지될 수 없음을 보여준다.

영문 초록

I found that a young male protagonist who is superior to a literary talent but can not succeed to the past yet, has begun to form from an Jeongi(傳奇) of the early Joseon Dynasty. The Jeongi novel of early Chosun Dynasty made the issue of love and faithful the main theme of the novel. In particular, the love of a novel seems to be straightforward and impulsive. But even though it may be the first time, the narrative turns into a story of devotion and commitment. So it seems innocent even if it does not seem polite. The 17th century Jeongi novel still preserves these themes on the one hand, but on the other hand it is trying to make a difference. The work of shows that The passionate love, the firm oath, can be corroded before the power of time and destiny. In addition, defends the feelings of love that can not be suppressed even by discipline with the value of supreme. In the so-called folk novels of the late 17th century, these forms of diverse characters are extensified and stylized in another direction. The characters such as Soyoo Yang of , A young nobleman Yoon of , Woonseong So of are similar to each other in that they look for their own mates and that their marital relations are also active prosperous figures. However, there is no way to match the qualities of the qualities and the virtues that will illuminate the family. and emphasize that the temperament should be suppressed for the family. The authors of folk novels demanded that women should not be jealous and the bias toward men was criticized as a cause of home-crush. However, the mutual exclusive fantasy of love that Jeon-Gi novels have shaped has not completely disappeared from literature. It emphasized the energy of love, which is both saving and killing people. At the end, we looked at how the shape of this character disappears. First, when novels are extended beyond the boundaries of the male and female groups of gender and the middle and lower levels of the audience, when the writer who demonstrates his or her ability is unable to imagine or sympathize, the hero emerges. The hero form was shaped like Soyoo Yang and Woonsung So, but the hero casts off the fragility of the paperback in its essential qualities. The main characters of present novels have been written about the 19th century are those who have similar qualities to those of a literary talent, or who are mistaken for being resurrected. These novels are ordinary human stories with a vulgar body.

목차

국문초록
1. 머리말
2. 재자 형상의 기원 : 전기소설 속의 남성 형상
3. 재자 형상의 분화 : 조선후기 소설 속의 남성 형상
4. 재자 형상의 종말
5. 맺음말
참고문헌
Abstract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교보e캐시 1,000원
TOP
인용하기
APA

강상순(Sang soon Kang). (2017).고소설에서 재자의 형상과 그 변화 양상. 한국고전여성문학연구, 35 , 179-206

MLA

강상순(Sang soon Kang). "고소설에서 재자의 형상과 그 변화 양상." 한국고전여성문학연구, 35.(2017): 179-206

결제완료
e캐시 원 결제 계속 하시겠습니까?
교보 e캐시 간편 결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