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추천 검색어

실시간 인기 검색어

학술논문

주거환경의 안전성 결정요인에 관한 연구

이용수 139

영문명
A Study on the Determinants of Safety of Residential Environment
발행기관
한국부동산학회
저자명
김갑열(Kim Gab Youl) 김윤옥(Kim Yun Ock)
간행물 정보
『부동산학보』不動産學報 第71輯, 217~231쪽, 전체 15쪽
주제분류
경제경영 > 경제학
파일형태
PDF
발행일자
2017.12.30
4,600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1:1 문의
논문 표지

국문 초록

본 연구의 목적은 아파트에서 거주민의 특성에 따른 안전사고불안감 원인과 중요하게 요구되는 안전시설관리요소가 무었인지 규명하는 것이다. 연구범위는 서울시 공동주택을 대상으로 물리적 안전시설요소로 안정하였다. 연구방법은 선행연구의 문헌조사와 내용분석을 하고, 설문조사를 통하여 공동주택 거주자의 특성에 따른 주거불안감요인 및 안전시설관리요구에 관한 인식차이를 확인하였다. 분석한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사회적 특성으로서 성별, 세대별, 가족구성원에 따라서 노인, 여성, 자녀양육과 관련한 안전시설확보 및 개선요구와 사고불안감이 차이가 있었다. 남성보다 여성이, 세입자보다 자가거주자가, 저소득층보다는 고소득층이, 오래된 단지보다는 신규 공급 주거단지 거주민이, 그리고 가족구성원이 많은 자녀를 둔 중년층이 안전관리시설에 대한 중요성 인식이 더 높게 나타났다. 둘째, 안전사고에 대한 불안감은 나이가 많을수록, 교통사고 불안감은 젊은 나이일수록 높게 인식하고 있음을 확인되었다. 연구의 함의로서, 공동주택단지의 안전환경은 거주민의 요구에 부응하는 안전시설에 대한 투자와 관리가 이루어져야 한다.

영문 초록

1. CONTENTS (1) RESEARCH OBJECTIVES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nvestigate the cause of safety anxiety according to the characteristics of the residents in the apartment and the critical safety management factor. The scope of the study was stable as a physical safety facility element for Seoul apartment house. (2) RESEARCH METHOD The research method is based on the literature survey and contents analysis of the previous research. Through the questionnaire survey, the difference of perception about the housing anxiety factor and the safety facility management to demand according to the characteristics of the residents of the apartment complex were confirmed. (3) RESEARCH FINDINGS In view of the study results so far achieved in improving parts of specialty, it proved that there were the operational problems in qualifying examination system and the lacks in establishing sufficient competitive system to improve the specialty of business. There were lacks of logicality, mutual contradictions terminology, unscientific aspects among several provisions of present laws and ordinances. 2. RESULTS The results are as follows. First, there were differences in social characteristics such as the need to secure and improve safety facilities related to the elderly, women and children, and anxiety of thinking, depending on gender, generation, and family members. Residents of women, self-residents, high-income earners and new housing complexes are highly aware of the importance of safety management facilities. Second, anxiety about safety accidents is high in old age group. The anxiety of traffic accidents was higher in the younger group. The lower the income, the greater the anxiety about the living environment. As implications of the study, the safety environment of the apartment should be invested and managed in safety facilities to reflect the needs of residents.

목차

Ⅰ. 서론
1. 연구배경과 목적
2. 연구범위와 방법
Ⅱ. 이론적 고찰
1. 주거생활안전의 의의와 사고유형
2. 안전사고 불안감과 안전관리
3. 선행연구 검토
Ⅲ. 분석의 틀
1. 분석목적과 가설
2. 조사내용과 분석방법
Ⅳ. 실증분석
1. 기초분석
2. 거주가구 특성별 주거안전시설과 불안감에 대한 인식차이
3. 분석결과
Ⅴ. 결론
1. 요약 및 시사점
2. 연구한계와 과제
<참고문헌>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교보e캐시 1,000원
TOP
인용하기
APA

김갑열(Kim Gab Youl),김윤옥(Kim Yun Ock). (2017).주거환경의 안전성 결정요인에 관한 연구. 부동산학보, 71 , 217-231

MLA

김갑열(Kim Gab Youl),김윤옥(Kim Yun Ock). "주거환경의 안전성 결정요인에 관한 연구." 부동산학보, 71.(2017): 217-231

결제완료
e캐시 원 결제 계속 하시겠습니까?
교보 e캐시 간편 결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