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추천 검색어

실시간 인기 검색어

학술논문

시극 <벌거숭이의 방문訪問> 연구

이용수 13

영문명
A Study on The Poetic Drama, Nakedness’ Visit
발행기관
어문연구학회
저자명
임승빈(Yim Seung-bin)
간행물 정보
『어문연구』語文硏究 第94輯, 219~248쪽, 전체 30쪽
주제분류
어문학 > 한국어와문학
파일형태
PDF
발행일자
2017.12.30
6,400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1:1 문의
논문 표지

국문 초록

시극 <벌거숭이의 방문>은 <현대시를 위한 실험무대>를 통한 시극운동의 일환으로 창작, 공연된 1980년대의 대표적 작품 중 하나이다. 이 연구는 이러한 시극 <벌거숭이의 방문>이 갖는 시극적 특성을 서사구조, 인물, 비유적 언어와 율격 등을 중심으로 살펴보고자 하였다. 이 시극은 삼국유사의 <남백월 이성南白月 二聖 노힐부득努肹夫得 달달박박怛怛朴朴> 설화를 변용, 수용한 것이다. 그러나 백월산白月山 남사南寺에 대한 창건설화로서의 성격을 지우고, 주동인물인 달달達達(박박)과 (노힐)부득不得의 구도수행의 방법만을 대조해 제시하고 있다. 이러한 설화의 변용, 수용은 시극적 차원에서 다음과 같은 몇 가지 특성을 갖는다. 첫째, 설화 (이야기)의 차용이라는 점에서 그 구체적인 서사성敍事性으로 해서 관객에게 더 큰 호기심을 유발하고 있다. 둘째, 설화와는 달리 역할 바꾸기를 통해 달달達達(박박)의 대승적 수행방식과 (노힐)부득不得의 소승적 수행방식을 보다 구체적으로 제시함으로써 각자의 수행방식을 비교를 통해 더 쉽게 이해할 수 있게 하였다. 또한 역할 바꾸기를 통해 두 수행방식간의 갈등 을 구체화함으로써 관극의 재미를 더 크게 고양함은 물론, 서로 다른 수행방식에 대한 보다 효과적인 이해를 통해 성찰의 방법에 대한 더욱 깊은 사유의 계기를 마련하고 있다. 설화에서는 단순히 그 방언(향찰)으로서의 이름만을 가지고 인물의 성격을 밝히고 있다. 그러나 시극에서는 구체적인 말과 행동, 특히 성性에 대한 서로 상이한 관점으로 달달과 부득의 성격을 구체화하고 있다. 즉, 대승적인 달달은 성과 계율에 대해 자유분방하고, 소승적인 부득은 그 반대인 것이다. 그러나 역할 바꾸기를 통해 부득이 먼저 득도를 체험하는 것은 연민 때문이다. 그리고 이를 통해 성과 계율보다 연민이 더 중요함을 강조하고 있다. 설화를 차용하고 있음에도 불구하고, 그 언어가 지극히 현대적이고 또 구어체이다. 뿐만 아니라, 다양한 내포적 언어를 사용하고 있음에도 결코 모호하지 않아 시적 긴장이 팽팽하다. 거기에다가 성에 대한 결코 난삽하지 않으면서도 질펀한 말과 행동이 코믹 릴리프(comic relief)의 효과를 발휘하고도 있다. 율격의 측면에서는 가히 독보적이다. 모든 대사가 자유시의 형태로 행이 분절돼 있고, 반복과 점층에 의한 리듬, 대화톤과 불경톤의 변화, 음보율에 의한 정형율 또한 간헐적으로 보이고 있다. 그리고 이러한 운문성은 풍부한 내포적 언어와 함께 시극으로서의 특성을 더 크게 강화하고 있다. <현대시를 위한 실험무대>를 통해 시극운동이 전개된 것은 시가 너무 어려워 멀어질 수밖에 없었던 독자를 다시 시로 끌어당기기 위한, 시의 확산을 도모하기 위한 모색의 일환이었다. 그리고 이런 측면에서 설화, 곧 옛날이야기를 차용한 것은 시극의 새로운 가능성을 타진하는 바람직한 시도였다. 뿐만 아니라, 불교의 대승적 수행방식과 소승적 수행방식이라는 자칫 무거울 수 있는 성찰의 방식을 역할 바꾸기와 성의 문제를 통해 아주 구체적으로 제시함으로써 시극의 재미를 극대화했다고 할 수 있다.

영문 초록

Nakedness’ visit, the poetic drama is the one of the representative plays created and performed as part of the poetic drama movement through ‘an experimental stage for modern poetry’ in the 1980s.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amine the poetic characteristics which this Nakedness’ visit has in regard to narrative structure, characters, metaphorical words, and rule of versification and so on. This poetic drama transforms and accepts ‘Nambaekweol iseong(南白月 二聖) DaldalBakbak NohilBudeuk’ folk tale in Samgukyusa(三國遺事). But this poetic drama represents only the contrasting methods for asceticism which two main characters, Daldal(Bakbak) and (Nohil)Budeuk practice, with its characteristics as the foundation myths of Nam Temple (南寺) in Mt. Baegwol omitted. There are a few following characteristics that the transformation and the acceptance of such folk tales have in the poetic drama. First, the specific narrativity derived from folk tale causes audience to become more curious. Second, it makes each method easy to understand by representing Daldal(Bakbak)’s Mahayana practice method and (Nohil)Budeuk’s Hinayana practice method in detail through changing role unlike folk tales. And changing role not only makes audience feel more interest, but provides audience with the chance of thinking about the reflection methods by understanding each different practice methods effectively. Folk tales show the personal character only with the names of dialect(hyangchal). However the poetic drama makes it specific to reveal the characteristics of Daldal and Budeuk from the perspective of specific words and behavior, expecially the different point of view on sexuality. That is, Mahayana Daldal has an open mind about sexuality and rules, and Hinayana Budeuk’s mind is a contrast to Daldal’s. But the reason why Budeuk experienced spiritual enlightenment earlier than Daldal is sympathy. Accordingly the importance of sympathy is emphasized rather than sexuality and rules. Although this poetic drama was driven from folk tales, its words are very modern and colloquial. And also it has a lot of poetic tension and its story is not vague though it was written with a variety of intensional words. In addition dirty words and behavior about sexuality show the effectiveness of comic relief without being scabrous. The rules of versification in this poetic drama is completely unrivaled. All of words have segmented lines as form of free verse, rhythm by repetition and gradation and variation of conversation tone and tone of chanting the Buddhist scriptures, and also reveals the fixed meter by foot meter intermittently. And this characteristic of verse enhances the characteristics as a poetic drama with a variety of intensional words. The reason why the poetic drama movement through ‘an experimental stage for modern poetry’ had developed was to try to find ways to spread poems and to attract readers alienated from poems because of its difficulty. In this aspect being driven from a folk tale, an old story was a desire trial to examine a new possibility of the poetic drama. And also it can be said that the fun of the poetic drama is maximized by representing Buddhistic Mahayana practice method and Hinayana practice method which would be rather heavy subjects very specifically with changing role and the sex problem.

목차

1. 서론
2. 서사구조: 설화의 변용과 갈등
3. 개성적 인물의 창조
4. 비유적 언어와 율격
5. 결론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교보e캐시 1,000원
TOP
인용하기
APA

임승빈(Yim Seung-bin). (2017).시극 <벌거숭이의 방문訪問> 연구. 어문연구, 94 (1), 219-248

MLA

임승빈(Yim Seung-bin). "시극 <벌거숭이의 방문訪問> 연구." 어문연구, 94.1(2017): 219-248

결제완료
e캐시 원 결제 계속 하시겠습니까?
교보 e캐시 간편 결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