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추천 검색어

실시간 인기 검색어

학술논문

김정한 미발표 장편 자전소설 연구

이용수 129

영문명
A Study on Unpublished Full-length Autobiographical Novels of Jeong-Han Kim - Memory of Colonial Modern and Aspect of Self-representation -
발행기관
한국문학회
저자명
김경연(Kim, Kyung-Yeon)
간행물 정보
『한국문학논총』제77집, 263~308쪽, 전체 46쪽
주제분류
어문학 > 한국어와문학
파일형태
PDF
발행일자
2017.12.31
8,320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1:1 문의
논문 표지

국문 초록

이 글은 공개되지 않았던 김정한의 자전소설을 발굴하고, 식민지 근대를 기억/기록한 요산의 자기재현 서사가 지닌 특징적 양상을 독해하였다. 2008년 요산기념사업회에 의해 발굴된 김정한의 자전소설은 ‘오실부락’. ‘낙동강’, ‘마르지 않는 강’ 등 복수의 표제로 되어 있으며, 이 중 마르지 않은 강이 1928년부터 1945년 해방 직후까지를 모두 포괄하고 있고, 미완으로 끝나기는 했으나 분량 상으로도 오실부락, 낙동강과 비교해 압도적 비중을 차지하고 있다는 점에서 작가가 구상한 자전소설 의 최종적인 귀결로 판단된다. 이 글에서는 먼저 김정한 자전소설의 전모(全貌)를 살폈는데, 오실부락, 낙동강, 마르지 않은 강이 모두 1928년 봄 ‘분옥’의 우귀신행으로부터 시작되며 요산의 유년기를 다루지 않는다는 점, 부재하는 아들/청년 대신 아버지/노인과 며느리/여성이 집과 고향을 지키고 노동과 생활의 주체가 되는 요산문학의 특성이 발견된다는 점, 아울러 모두 미완으로 끝나고 있다는 점에서 공통점이 발견된다. 자전소설의 구체적 독해를 통해서는 다음과 같은 재현의 전략을 간취할 수 있었다.첫째, 요산 자신을 형상화한 ‘일철’과 더불어 아내 조분금을 모델로 한 ‘분옥’이라는 여성인물을 통해 식민지 근대를 기억/재현한다는 것이다. 이는 노인이나 구여성 등 전근대적인 타자로 배제된 자들을 비근대적인 주체로 달리 발견해온 요산문학의 특성이 투사된 것으로 보이는데, 이런 측면에서 자전소설은 수라도 와 유사한 지점이 있다. 자전소설의 분옥이나 분옥의 할머니가 수라도 의 ‘분이’나 ‘가야부인’을 직접 환기할 뿐만 아니라, 민중성을 체현해가며 집안을 지지하는 며느리이자 어머니로 이행해가는 여성성장서사의 형식을 두 소설 모두 취하고 있는 것이다. 그러나 차이 역시 분명한데, 수라도 의 가야부인이 역사의 변화와 합류하고 가부장제와 협상하는 능동적 주체로 표상된 데 비해, 자전소설의 분옥은 역사와 연루되기보다 여성의 수난을 부각하는 존재로 그려지며 구여성의 전형적 형상을 끝내 탈피하지 못하고 있다. 둘째, 식민지 후반기 역사적 기억의 주체로 일철을 발탁하기는 하지만, 자전적 서사임에도 불구하고 일철(요산)의 비중이 그리 크지 않은것 역시 주목할 지점이다. 이는 개인보다 가족에 투사된 민족의 수난을 기록하려는 작가의 구상이 관철된 것일 수 있으나, 지식인보다는 농민/민중의 토착적 현실을 탐사해온 요산문학의 특성이 반영된 결과일 수도있다. 한편 요산이 투영된 일철은 부당한 권력의 횡포에 반항하는 불온한 지식인으로 재현되며, 일철을 통해 구성되는 식민체험은 불령선인의 지난한 저항서사로 균질하게 기록된다. 일본인 되기를 욕망한 친일파만이 아니라 식민화의 기율을 일상과 신체에 은연중에 내면화해 가는 내선인(內鮮人)을 주조하는 것이 식민주의의 실체라면, 이처럼 균열을 삭제하고 수난과 저항으로 일관된 요산의 균질적 서사는 식민주의의 이 위험한 실질이 역설적으로 투사된 텍스트이며, 식민주의의 공포를 공백으로 기입한 식민지 근대 체험의 적나라한 기록일 지도 모른다.

영문 초록

This paper investigates the strategy and specificity shown by self-representative narration of Yosan Jeong-Han Kim, who recorded his colonial modern experience through unpublished or incomplete autobiographical full-length novels. Autobiographical novels of Jeong-Han Kim excavated by the Yosan Commemoration Society in 2008 has multiple titles like ‘Osilburak’, ‘Nakdong River’ and ‘A River that Never Runs Dry.’ Among these novels, A River that Never Runs Dry embraces the period from 1928 to the time after liberation in 1945. Although it ended up being an unfinished work, it is overwhelming in length compared to Osilburak and Nakdong River. In this sense, this work is considered as the final autobiographical novel conceived by the writer. This paper first examines the entire picture of autobiographical novels written by Jeong-Han Kim. The three works titled Osilburak,Nakdong River and A River that Never Runs Dry are identical in that they all start from the wedding march of ‘Bunok’ in the spring of 1928, do not illustrate childhood of Yosan, present characteristics of Yosan literature where a father or elderly and a daughter-in-law or woman replace the role of family protection and labor due to absence of a son or young man, and are left unfinished. The following representation strategies were found through detailed reading of autobiographical novel. First, he remembers and represents the colonial modern time through ‘Ilcheol’, a character made after Yosan himself, and a female figure named ‘Bunok’, who was modeled after his wife Bun-Geum Cho. This seems to project characteristics of Yosan literature that regarded the aged and women, who are often ruled out in the old-fashioned literary works, as non-modern subjects. In this aspect, the autobiographical novel is similar to Surado . Bunok and her grandmother in the autobiographical novel are direct imitations of ‘Buni’ and ‘Misses Gaya’ from Surado . Both novels take the style of a female growth narrative in which women turn into daughters-inlaw and mothers who sustain their families while embodying the mass character. However, the two novels also have clear differences. Whereas Misses Gaya of Surado is an active subject who joins the historical change and negotiates with the patriarchal system, Bunok of the autobiographical novel is illustrated as a figure who emphasizes the suffering of women instead of being involved in history. Bunok fails to break away from the typical form of traditional women. Second, although Ilcheol is depicted as the subject who keeps historical memory of the late colonial period, it is noteworthy that Ilcheo (Yosan) does not play an important part of this autobiographical narrative. This may be the concept of the writer to record the sufferings of the ethnic group projected on a family instead of an individual, but it may also be a characteristic of Yosan literature that had been exploring indigenous reality of peasants and people rather than intellectuals. On the one hand, Ilcheol reflecting Yosan is represented as a rebellious intellectual who resists unfair tyranny, and the colonial experience shown through Ilcheol is uniformly recorded as a narrative of resistance by a rebellious Joseon person. The true nature of colonialism is found not only in the pro-Japanese group that wishes to become Japanese but also in Naeson people who have implicitly internalized the colonial disciplines in their daily life and body. The uniform narrative of Yosan that removes the crack and consistently shows the suffering and resistance may be a text that paradoxically presents the dangerous nature of colonialism and a candid record of the colonial modern experience that filled the horror of colonialism with emptiness.

목차

1. 간극의 독해 – ‘반골인생’과 ‘허덕이다 보낸 인생’의 사이
2. 김정한의 미발표/미완성 자전소설의 전모(全貌)
3. 식민지 근대의 기억/재현과 여성 서사의 구현
4. 수난/저항의 서사와 공백의 기록
5. 결론을 대신하여 – 새로운 휴머니즘으로서 민중서사의 길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교보e캐시 1,000원
TOP
인용하기
APA

김경연(Kim, Kyung-Yeon). (2017).김정한 미발표 장편 자전소설 연구. 한국문학논총, 77 , 263-308

MLA

김경연(Kim, Kyung-Yeon). "김정한 미발표 장편 자전소설 연구." 한국문학논총, 77.(2017): 263-308

결제완료
e캐시 원 결제 계속 하시겠습니까?
교보 e캐시 간편 결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