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추천 검색어

실시간 인기 검색어

학술논문

해방기 극장의 영화 상영 활동에 대한 고찰

이용수 40

영문명
A Consideration on the Activity Aspects of Movie Theatres in Liberation Era
발행기관
연세대학교 국학연구원
저자명
김승구(Kim, Seung-Goo)
간행물 정보
『동방학지』동방학지 제158집, 311~345쪽, 전체 35쪽
주제분류
인문학 > 문학
파일형태
PDF
발행일자
2012.06.30
7,000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1:1 문의
논문 표지

국문 초록

해방기 극장은 조선 민중에게 새로운 기대를 불러일으켰다. 전쟁이 끝나고 식민지체제가 해체되면서 그들은 극장이 예전처럼 그들의 공간으로 돌아올 것이라고 생각했다. 해방기 극장은 일제의 잔재를 청산 하고 민족적인 공간으로의 변신을 시도했다. 우선 일본식 이름을 바꿨다. 그리고 모스크바 삼상회의 결의안 반대 같은 사안에 동참하거나 “건국 성금” 모금, “갱생 휴지 상자” 설치를 통 한 자원 재활용 운동 등을 실시함으로써 당대 민중의 민족주의적 열기를 받아 안으려고 하였다. 일본인 극장주가 떠난 자리를 조선인 지배인들이 차지했다. 그러나 이런 변화를 뒷받침하면서 새로운 길을 모색하는 데 있어서 해방기 극장이 부닥친 가장 큰 어려움은 상영할 영화 필름이 부족했다는 사실이다. 해방기 극장은 이미 한 차례 이상 상영된 영화를 재상영할 수밖에 없었다.중앙영화배급사(이하 ‘중배’)가 본격적으로 영화 배급을 시작하면서 영화계는 새 출발에 대한 기대로 들뜨기도 했지만, 중배가 극장 측에 제시한 강압적인 조건들은 영화계의 공분을 샀다. 그 당시 영화인들은 미국영화가 영화계를 다시 식민지화하고 있다는 우려를 감추지 못했다. 영화뿐만 아니라 연극, 악극이 극장을 공유하고 있던 시절 중배의 배급 조건은 민족문화의 발전을 저해하는 것이었다. 일제 강점 기에도 볼 수 없었던 매우 폭압적인 이러한 배급 조건에 맞서 극장 측은 단결 해서 맞섰고 이에 부담을 느낀 중배는 요구 조건을 완화할 수밖에 없었다. 영화 필름 수급상의 곤란과 더불어 영화요금 문제도 해방기 극장에는 큰문제였다. 중배가 폭압적인 조건을 제시 했을 뿐만 아니라 이에 더해 해방기에 인플레도 극심했기 때문이다. 여기다가 세수 확충을 위한 입장세의 인상은 영화요금의 상승을 더욱 부채질했다.

영문 초록

Movie theatres in the Liberation era brought about new expectations to people. As the Second World War was over and the colonial system dissolved, people thought that movie theatres would return as places of entertainment to give them comfort. However, this turned out not to be the case. Movie theatres in the Liberation era tried to clean up the vestiges of Japanese imperialism and change themselves to ethnic places. At first, they changed their Japanese names. Through this, they took part in such issues as opposition of trusteeship, collection of founding donation, and resources recycling, and they accepted the nationalistic fever of people. Instead of Japanese owners, Korean employees took possession of movie theatres. But the road to new movie theatres was rough because of the lack of film reels to screen. Accordingly, they couldn’t help but rerun old films. As the Central Motion Picture Exchange (C.M.P.E) began movie distribution, the Korean movie world expected something good; however, C.M.P.E ran contrary to expectation. C.M.P.E outraged the Korean movie world due to the oppressive conditions that were suggested to Korean movie theatres. In those days, they compared the Korean movie world to the colony of American cinema. Korean movie theatres unified as a whole and stood against C.M.P.E. Then, C.M.P.E did not bear the burden for this strong protest and alleviated the ab initio conditions. The problem of the admission fee to movie theatres was important in those days because of C.M.P.E’s regressive conditions and severe inflation of Liberation era. Besides, raising the admission tax for tax revenue fanned increase of an admission fee to movie theatres. Movie-going in the Liberation era was not a form of daily cheap entertainment for people as in the Japanese colonial era.

목차

1. 서론
2. 식민지 극장의 개조
1) 공론장의 가능성과 그 좌절
2) 극장명의 개명과 운영권 조정
3. 영화 수급 및 상영
1) 구작의 재상영
2) 독점 배급사의 횡포와 극장의 저항
4. 영화요금과 입장세
5. 결론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교보e캐시 1,000원
TOP
인용하기
APA

김승구(Kim, Seung-Goo). (2012).해방기 극장의 영화 상영 활동에 대한 고찰. 동방학지, 158 , 311-345

MLA

김승구(Kim, Seung-Goo). "해방기 극장의 영화 상영 활동에 대한 고찰." 동방학지, 158.(2012): 311-345

결제완료
e캐시 원 결제 계속 하시겠습니까?
교보 e캐시 간편 결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