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추천 검색어

실시간 인기 검색어

학술논문

이행의 시간성과 주체성 * : 개화 주체에 대한 한 설명

이용수 43

영문명
Transitional Temporality and Subjectivity : An Explanation of Kaehwa Subject
발행기관
연세대학교 국학연구원
저자명
김미정(Kim, Mi-Jeong)
간행물 정보
『동방학지』동방학지 제158집, 183~230쪽, 전체 48쪽
주제분류
인문학 > 문학
파일형태
PDF
발행일자
2012.06.30
8,560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1:1 문의
논문 표지

국문 초록

이 연구는 개화 주체의 시간성은 서구적 근대를 목적지로 하는 역사의 시간성과 같지 않다고 문제를 제기한다. 역사적 행위자의 주체성이 역사적 조건 안에 배태되어 있다면, 개화 주체에게 이행의 시간은 유럽에서 발원한 근대성이 확산되거나 특수하게 구현되는 과정이라기보다는, 서구적 근대와 차 이나는 전통적 지평 속에서 서양이라는 타자가 수용되고 반성적 기준으로 들어서는 과정이 된다. 타자와의 조우와 관계맺음의 자원으로서 전통이 변이되는 과정에서 개화 주체성과 그 시간성을 해석하고 설명할 필요가 있다. 개화 담론들은 ‘타자와 관계하여 올바른 것을 말하고자 한다’는 형식으로 이해될 때 훨씬 적실해진다. ‘올바른 것을 말하고자 하는’ 주체는 관습적으로 누적된 윤리적 감각을 활용하는 가운데 구성된다. 유교적 요소가 핵심적인 에토스가 행위자의 습속화된 자원이 되어 특정한 의미작용을 펴는 서양과 그와 관계하는 주체의 위치를 구성 한다. ‘타자와 관계하여’ 말하는 주체 에게 오랑캐였던 타자는 전통적 에토 스에 의해 의미작용을 부여받음과 함께, 그 윤리적 감각을 변형하는 추동력 으로 작동하게 된다. 개화 주체성은 재기입되는 과거의 요소들과 더불어 설립된다. 주체성에 개입하는 타자는 전통을 없애는 계기 이기는커녕 전통을 활성화하고 변형하는 계기가 된다. 그러므로 개화 주체성은 유교 윤리의 관계적 성격을 갖는다. 이행의 시간성은 서구적 근대로 접근 해가는 목적론적 과정이 아니라, 타자에 의해 회귀하는 과거와 또 타자에 의해 미래로의 연장이 멈추는 현재의 복합으로서 나타난다.

영문 초록

This research calls attention to the following problem: The temporality of Kaehwa (開化) subject is not same as the temporality of History in which the historical process develops toward western modernity as in the case of telos. As the subjectivity of historical actors is embedded in its historical condition, as for Kaehwa subject, transitional time is the process that the western other is accepted and introduced as a reflective criteria within the traditional horizon differentiated from western modernity, rather than the process that western modernity proliferates or is realized at a particular phase. It is necessary to interpret and explain the Kaehwa subjectivity and its temporality through the process of tradition mutation, as the sources of encounter and relationship with alterity. It is more appropriate to interpret Kaehwa discourses, in forms that each utterer is willing to say the right things in relation to the western other. The subject willing to say the right things in relation to western other is constructed in the process of utilizing conventionally accumulated ethical senses. The signification of the west and Kaehwa subject position are constructed by means of the ethos at the core of which Confucian elements are functioning. As for the subject to say in relation to the other, the previously barbarous western other plays the role of the driving force to transform the ethical senses. Kaehwa subjectivity is established with the reentering of past elements. Therefore, the other intervening in subjectivity is the moment that activates and transforms traditional elements, rather than eliminating them. Kaehwa subjectivity assumes relational properties peculiar to Confucian ethics. The transitional temporality reveals itself as complex, compounding the prolonged past and non-prolonged present by the other.

목차

1. 문제제기: 보편사의 시간성을 넘어 ‘이행’으로
2. 개화 담론의 일반형식: ‘차이나는 타자와 관계하여 올바른 것을 말하 고자 한다’
3. 에토스의 연장 가동과 중지의 반복
4. 요약과 정리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교보e캐시 1,000원
TOP
인용하기
APA

김미정(Kim, Mi-Jeong). (2012).이행의 시간성과 주체성 * : 개화 주체에 대한 한 설명. 동방학지, 158 , 183-230

MLA

김미정(Kim, Mi-Jeong). "이행의 시간성과 주체성 * : 개화 주체에 대한 한 설명." 동방학지, 158.(2012): 183-230

결제완료
e캐시 원 결제 계속 하시겠습니까?
교보 e캐시 간편 결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