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추천 검색어

실시간 인기 검색어

학술논문

조선왕조실록에 나타난 ‘文字’의 의미

이용수 35

영문명
The Meanings of Munja(文字) in the Chosŏn Dynasty Annals
발행기관
연세대학교 국학연구원
저자명
연규동(Yurn, Gyudong) 이전경(Lee, Jeon-Kyung) 김은희(Kim, Eun-Hee) 김남시(Kim, Nam-See)
간행물 정보
『동방학지』동방학지 제158집, 143~182쪽, 전체 40쪽
주제분류
인문학 > 문학
파일형태
PDF
발행일자
2012.06.30
7,600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1:1 문의
논문 표지

국문 초록

본 논문은 조선왕조실록에 나타나는 ‘文字’가 가진 다양한 의미를 밝히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이를 위해 조선왕조 실록 온라인판(http://sillok.history.go.kr) 에서 한문 원문에 나타나는 ‘文字’를 모으 고, 각각의 국문 번역을 참고하여 해당 맥락에서 ‘文字’가 어떤 의미로 사용되었는지 조사하였다. 실록에 나타나는 ‘文字’라는 단 어의 의미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1. 글자: 글자(통칭), 문자 체계, 한자 2. 단어, 문구 3. 문장 4. 글: 글(통칭), 한문, 고전(古典), 학문, 글쓰기, 전례(前例), 기록, 규정 5. 문서: 공문서, 증명서, 편지 6. 책7. 학식 이러한 작업을 통해서 조선시대의 ‘文字’의 의미 범주가 현대국어에서보다 더 넓다는 사실이 드러났다. 즉 ‘문 자’는 현대국어와 같이 ‘글자’의 뜻 외에도, 글자가 모인 ‘단어, 문구’나 ‘문 장’을 가리키기도 하고, 문장이 결합한 ‘글’ 전체를 나타내는 데에도 사용된다. 또한 글의 집합체인 ‘문서’, ‘책’의 의미 에까지 확장되며, 추상적인 ‘학식’에 이르기까지 다양하고 포괄적인 의미를 가진 단어이다. 본고의 논의는 동·서양을 포괄하는 모든 문화에서 문자가 오늘날 우리가 사용하는 일반적인 ‘문자’의 의미보다 훨씬 광범위한 인간 활동 일반을 지칭 해왔다는 점을 암시하고 있다. 이는 앞으로 면밀한 연구와 분석을 통해 포괄 적인 문자의 개념과 문자의 역사 서술로 확증되어야 할 것이다.

영문 초록

The objective of this paper is to investigate the meanings and usages of munja (文字) manifested in the Chosun Dynasty Annals. In order to do so, we looked at the original Chinese texts of the online Annals where munja is employed, and then compared the originals with their Korean translation. The following is the summary of the meanings of munja in the Annals: 1. Letter: letter (in general), writing system, Chinese character 2. Word or Phrase 3. Sentence 4. Writing: writing (in general), Chinese writing, classics, learning, composition, authority [precedents], record, rule 5. Document: official document, certificate, epistle 6. Book 7. Erudition As this summary suggests, the word munja in the Chosun era was used much more broadly than in modern days. In addition to meaning “letter” as used in modern Korean, munja previously referred to “word,phrase,” and “sentence.” It was also used to describe an entire piece of writing. As extensions, munja also signified “document,” “book,” and even the abstract “erudition.” What this research eventually tries to contend, starting with these findings of the Annals, is that, considered in the long history of “letter” not only in Korea but also other Asian and even western cultures, the word may have been employed to indicate a much wider range of human activities than modern people generally assume. We hope to substantiate this perspective with more elaboration in our future research.

목차

1. 머리말
2. ‘文字’의 여러 의미
1) 글자
2) 단어, 문구
3) 문장
4) 글
5) 문서
6) 책 7) 학식
3. 결론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교보e캐시 1,000원
TOP
인용하기
APA

연규동(Yurn, Gyudong),이전경(Lee, Jeon-Kyung),김은희(Kim, Eun-Hee),김남시(Kim, Nam-See). (2012).조선왕조실록에 나타난 ‘文字’의 의미. 동방학지, 158 , 143-182

MLA

연규동(Yurn, Gyudong),이전경(Lee, Jeon-Kyung),김은희(Kim, Eun-Hee),김남시(Kim, Nam-See). "조선왕조실록에 나타난 ‘文字’의 의미." 동방학지, 158.(2012): 143-182

결제완료
e캐시 원 결제 계속 하시겠습니까?
교보 e캐시 간편 결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