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추천 검색어

실시간 인기 검색어

학술논문

朝鮮初期의 貨幣政策과 布貨流通

이용수 163

영문명
Monetary Policy and Cloth-Commodity Distribution in the Early Chosŏn Dynasty
발행기관
연세대학교 국학연구원
저자명
朴平植(Park, Pyeong-Sik)
간행물 정보
『동방학지』동방학지 제158집, 81~141쪽, 전체 61쪽
주제분류
인문학 > 문학
파일형태
PDF
발행일자
2012.06.30
10,120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1:1 문의
논문 표지

국문 초록

이 논문은 조선초기 국가의 國幣 보급정책에도 불구하고 교환경제의 현장 에서 通貨기능을 하고 있던 布貨의 유통실태를 정리한 연구이다. 고려후기에는 5승포가 국가재정과 민간의 교환경제에서 등가기준과 교환 수단으로 통용되면서 기준통화의 지위에 있었다. 조선왕조 개창 이후 이 5승 마포는 이제 正布(‘正五升布’로도 칭) 와 常布(‘常五升布’ ‘五升布’ ‘麤布’로도 지칭)로 분화되어 일상 통용되고 있었 고, 한편으로 새롭게 면포가 유통되기 시작하는 가운데 부분적으로 면주와 저포도 포화로서 기능하고 있었다. 국초 태종‧세종조에는 국폐인 楮貨 와 銅錢의 보급정책이 강력하게 추진 되었으나 실패하였다. 이처럼 집권국 가의 貨權장악 노력이 좌절되는 가운 데, 태종조에는 5승 마포인 상포가 추포의 명칭으로 그 통용이 더욱 확산되 었다. 그리고 세종조를 전후한 시기에는 棉作의 확산과 더불어 이제 綿布가 교환경제에서 퇴조하는 상포를 대신하여 새로운 기준통화로서 기능하고 있었다. 한편 세종조 후반 이후 상포의 소멸 이라는 교환경제의 현실에서, 특히 민간의 하층 농민층의 교환경제 영역에서 이 상포를 대체할 새로운 소액화폐 의 출현이 절실하게 요구되었다. 15세기 중반 이후 도성시장에 등장하기 시작한 추악한 면포를 가리키는 이른바 새로운 ‘麤布’는, 따라서 태종조까지 5 승 마포였던 상포와는 전혀 다른 포화 로서 이후 교환경제에서 새롭게 기준 통화의 역할을 하게 되었다.

영문 초록

This study analyzes the state of cloth-commodity (布貨, p΄ohwa) distribution system during the early Chosŏn dynasty. In this regard, cloth functioned as currency within the exchange-based economy despite the existence of a national currency system. During the late Koryŏ dynasty, regular quality hemp cloth (5-sŭngp΄o) served as the base currency. It was employed in the private sector exchange economy, as well as in the national budget, as both an equivalency and tool for exchanges. After the foundation of the Chosŏn dynasty, this regular quality cloth (5-sŭngp΄o) was divided into standard quality hemp cloth (正布, chŏngp΄o) – also called chŏngosŭngp΄o (正五升布) - and low quality hemp cloth (常布, sangp΄o) – also called sangosŭngp΄o (常五升布), osŭngp΄o (五升布) and ch΄up΄o (麤布). Meanwhile, silk cloth (綿紬, myŏnju) and ramie cloth (苧布, chŏp΄o) also functioned as cloth-commodities (布貨, p΄ ohwa), and cotton cloth (綿布, myŏnp΄o) also made its way onto the market. Although the policy of introducing the paper money known as chŏhwa (楮貨) and coins was arduously pursued during the reigns of King T΄aejong and Sejong, it ultimately failed. Indeed, the use of low quality hemp cloth (常布, sangp΄o) as ch΄up΄o (麤布) became even more pronounced during the reign of King T΄aejong. In addition, the spread of cotton cultivation resulted in cotton cloth (綿布, myŏnp΄o) functioning as a new standard currency at the time of the reign of King Sejong, thereby replacing hemp cloth’s (常布, sangp΄o) position within the exchange economy. After the reign of King Sejong, the disappearance of hemp cloth (常布, sangp΄o) in the exchange economy led to a desperate need in the private sector, particularly among farmers, to introduce a new small currency denomination to replace the hemp cloth (常布, sangp΄ o). The so-called ch΄up΄o (麤布), or unsightly cotton cloth, that emerged in the capital area marketplace, and played the role of a new standard currency within the exchange economy from the mid 15th century onwards. This was a completely different cloth-commodity system from the one based on hemp cloth (常布, sangp΄o) that had revolved around regular quality hemp cloth (5-sŭngmap΄o) up until the reign of King T΄aejong.

목차

1. 序 言
2. 國初의 流通布貨와 用例區分
3. 太宗朝의 楮貨普及과 布貨流通
4. 世宗朝의 貨幣政策과 綿布流通의 擴大
5. 結 語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교보e캐시 1,000원
TOP
인용하기
APA

朴平植(Park, Pyeong-Sik). (2012).朝鮮初期의 貨幣政策과 布貨流通. 동방학지, 158 , 81-141

MLA

朴平植(Park, Pyeong-Sik). "朝鮮初期의 貨幣政策과 布貨流通." 동방학지, 158.(2012): 81-141

결제완료
e캐시 원 결제 계속 하시겠습니까?
교보 e캐시 간편 결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