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추천 검색어

실시간 인기 검색어

학술논문

Longitudinal Study of Vocal Development in 9- to 18-Month-Old Children Acquiring Korean

이용수 122

영문명
발행기관
한국언어청각임상학회
저자명
하승희(Seunghee Ha)
간행물 정보
『Communication Sciences & Disorders』Communication Sciences & Disorders vol22. no.3, 435~444쪽, 전체 10쪽
주제분류
사회과학 > 교육학
파일형태
PDF
발행일자
2017.09.30
4,000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1:1 문의
논문 표지

국문 초록

배경 및 목적: 본 연구는 생후 9개월부터 18개월까지 일반 아동의 초기 발성의 유형별 비율 변화를 종단적으로 살펴보았다. 방법: 출생 전-중-후 특이사항이 없는 일반 아동 13명으로부터 9개월부터 18개월까지 3개월 간격으로 음성 샘플을 수집하였다. 아동의 음성 샘플을 발성 단위로 분절한 뒤에 음절구조 포함여부에 따라 크게 전 음절성 발성과 음절성 발성으로 분류하였다. 또한 분절한 발성을 초기 발성의 대표적인 하위유형 8가지로 분류하여 9, 12, 15, 18개월마다 전체 발성에서 차지하는 비율을 구해 월령에 따라 각 하위유형이 유의미하게 달라지는지 살펴보았다. 결과: 전 음절성 발성은 생후 9-12개월에는 음절성 발성보다 높은 비율을 보이다가 점차 감소하여 15-18개월에는 자음이 포함된 음절성 발성이 유의미하게 높은 비율을 차지하였다. 8가지 하위 발성 유형 중에서 완전공명음, 자음-모음 구조의 기본 음절 옹알이, 변형적 옹알이와 다음절 옹알이, 자곤이 각각 월령에 따라 유의미한 차이를 보였다. 논의 및 결론: 본 연구에서는 음절성 발성과 각 하위유형이 9개월 이후 월령에 따른 말 발달을 유의하게 나타내어 비교적 음절구조 유형의 출현과 형태 여부로 말 발달 수준을 평가할 수 있음을 제안하였다. 또한 한국 아동에게서 관찰되는 초기 발성의 고유한 특성에 대해서 논의하였다.

영문 초록

Objectives: This study investigated the developmental trajectory of early vocalizations in 9- to 18-month-old children acquiring Korean based on the proportion of vocalization types. Methods: Audio samples were collected from 13 typically-developing children in Korean monolingual environments at 9, 12, 15, and 18 months. Audio samples were segmented into each vocalization based on breath group or 2 seconds of silence between vocalizations. Each vocalization was broadly classified as a precanonical or canonical vocalization and then categorized according to the 8 subtypes of vocalization. The proportion of each subtype was obtained, and changes in the proportion of subtypes from 9 to 18 months were investigated. Results: The proportion of precanonical vocalizations was higher than those of canonical vocalization including consonants and syllable structures at 9 and 12 months and subsequently, the proportions of precanonical vocalizations decreased and were lower than those of canonical vocalizations. Among the eight subtypes of vocalizations, fully resonant sounds, canonical babblings, variegated babblings, multiple syllable babblings and jargon showed significant differences across ages. Conclusion: This study suggested that the status of early speech development can be examined based on onset and types of syllable structures in early vocalization. The study discussed that Korean-specific characteristics might exist in early vocalization.

목차

Abstract
연구방법
연구결과
논의 및 결론
REFERENCES
국문초록
참고문헌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교보e캐시 1,000원
TOP
인용하기
APA

하승희(Seunghee Ha). (2017).Longitudinal Study of Vocal Development in 9- to 18-Month-Old Children Acquiring Korean. Communication Sciences & Disorders, 22 (3), 435-444

MLA

하승희(Seunghee Ha). "Longitudinal Study of Vocal Development in 9- to 18-Month-Old Children Acquiring Korean." Communication Sciences & Disorders, 22.3(2017): 435-444

결제완료
e캐시 원 결제 계속 하시겠습니까?
교보 e캐시 간편 결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