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추천 검색어

실시간 인기 검색어

학술논문

Longitudinal Analysis of Stuttering Like Disfluencies as a Treatment Outcome in Early Childhood Stuttering

이용수 150

영문명
발행기관
한국언어청각임상학회
저자명
이수복(Soo Bok Lee) 심현섭(Hyun Sub Sim)
간행물 정보
『Communication Sciences & Disorders』Communication Sciences & Disorders vol22. no.3, 540~549쪽, 전체 10쪽
주제분류
사회과학 > 교육학
파일형태
PDF
발행일자
2017.09.30
4,000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1:1 문의
논문 표지

국문 초록

배경 및 목적: 본 연구는 말더듬아동의 3가지 진성비유창성(stuttering like disfluencies, SLD) 유형분석을 통해 18개월 동안 치료시점별 SLD 유형변화를 조사하였다. 후향적(retrospective) 연구로 말더듬 발생 1년 이내의 2-5세 말더듬아동을 대상으로 3가지 SLD 빈도와 유형변화를 종단적으로 살펴보았다. 방법: 말더듬아동 18명을 치료종료 시점인 18개월 시점의 말더듬 정도와 SLD 빈도에 따라 12명 회복집단과 6명 지속집단으로 구분하였다. 부모-아동 상호작용놀이 상황에서 5차례 발화를 수집하여 3가지 SLD 유형(일음절단어반복, 단어부분반복, 비운율적발성)과 비율변화, 빈도를 분석하였다. 결과: SLD 변화를 분석한 결과, 첫째, 회복집단은 치료가 진행됨에 따라 SLD의 총 빈도가 감소하였으나 지속집단은 SLD 빈도가 지속적으로 증가하였고, 둘째, 일음절단어반복은 집단과 시점의 주효과는 유의하였으나 이차상호작용효과는 유의하지 않았고, 비운율적발성에서는 집단과 시점에 따른 이차상호작용효과가 유의하게 나타났다. 셋째, SLD 유형의 비율변화는 비운율적발성의 경우 6개월 시점 이후, 일음절단어반복은 12개월 시점부터 두 집단 간에 큰 차이를 보였다. 논의 및 결론: 말더듬 시작 후 18개월간 SLD 빈도와 비운율적발성의 감소추세가 초기 말더듬아동의 회복을 예측하기 위한 근거로 볼 수 있음을 시사한다. 임상 측면에서는 치료 과정에 나타난 SLD 빈도 및 비운율적발성 유형의 종단적 변화를 추적함으로써 초기 말더듬아동의 비유창성 유형을 통한 치료결과를 예측할 수 있으며, 언어치료사는 말더듬 치료 후 12개월 및 18개월 시점의 SLD 빈도 및 비운율적발성 유형의 변화에 주의를 기울일 필요성을 제안한다.

영문 초록

Objectives: This study longitudinally investigated the treatment outcome of children (age 2 to 5) who stutter (CWS) within 1 year of the onset of stuttering in order to examine whether frequency and types of stuttering like disfluencies (SLD) play a role as a predictor of treatment outcome. Methods: Direct therapy was given to 18 CWS for 18 months and indirect therapy for their parents to change parents’ attitudes. Speech samples were collected five times (initial visit and four times every 3 months for 18 months) in order to identify changes in SLD frequency over treatment. Results: The results of the study are summarized as follows. First, the total frequency of SLD was significantly different between the recovered group and the persistence group. That is, SLD decreased in the recovered group while increasing in the persistence group. At 12 and 18 months after treatment, the difference between the two groups was greater than at the other assessment sessions. Second, significant interactions between the group and time of therapy were found in the disrhythmic phonation type. Third, the ratio of SLD in disrhythmic phonation type decreased in the recovery group after 6 months. Conclusion: The results suggest that SLD frequency and disrhythmic phonation type are predictive factors for discriminating between recovered and persistence groups in the treatment for young children who stutter. We also suggest that speech-language pathologists be aware of SLD frequency and disrhythmic phonation’s changes at 12 and 18 months after treatment to predict treatment effects in early childhood stuttering.

목차

Abstract
연구방법
연구결과
논의 및 결론
REFERENCES
국문초록
참고문헌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교보e캐시 1,000원
TOP
인용하기
APA

이수복(Soo Bok Lee),심현섭(Hyun Sub Sim). (2017).Longitudinal Analysis of Stuttering Like Disfluencies as a Treatment Outcome in Early Childhood Stuttering. Communication Sciences & Disorders, 22 (3), 540-549

MLA

이수복(Soo Bok Lee),심현섭(Hyun Sub Sim). "Longitudinal Analysis of Stuttering Like Disfluencies as a Treatment Outcome in Early Childhood Stuttering." Communication Sciences & Disorders, 22.3(2017): 540-549

결제완료
e캐시 원 결제 계속 하시겠습니까?
교보 e캐시 간편 결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