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추천 검색어

실시간 인기 검색어

학술논문

Nonword Production Performance According to Vocal Rehearsal Condition in Children with Language Delay

이용수 152

영문명
발행기관
한국언어청각임상학회
저자명
이슬기(Seulki Lee) 임동선(Dongsun Yim)
간행물 정보
『Communication Sciences & Disorders』Communication Sciences & Disorders vol22. no.3, 471~484쪽, 전체 14쪽
주제분류
사회과학 > 교육학
파일형태
PDF
발행일자
2017.09.30
4,480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1:1 문의
논문 표지

국문 초록

배경 및 목적: 음운 정보에 대한 능동적인 시연은 음운 단기기억 능력을 촉진하며 어휘 학습에도 긍정적인 영향을 미친다. 그러므로 본 연구는 시연 여부와 횟수의 조절이 용이한 외현적 시연을 조건화하여 음운 정보 산출 능력을 살펴보고 언어발달지연 아동의 음운 단기기억 능력을 향상시킬 수 있는 방안을 모색하고자 하였다. 이를 통해 언어발달지연 아동의 음운 단기기억 결함을 해결하기 위한 적절한 시연 방법과 정도를 파악하는데 도움이 되고자 하였다. 방법: 5-7세 언어발달지연 아동 17명, 일반 아동 17명을 대상으로 외현적 시연 조건(시연 억제, 외현적 시연 5회, 외현적 시연 10회)에 대한 비단어 산출 과제를 실시하여 비단어 산출 수행력을 비교분석 하였다. 결과: 외현적 시연 조건에 대한 집단 간 비단어 산출 수행력의 차이가 통계적으로 유의미하게 나타났고 언어발달지연 아동은 시연 조건에 따라 오류유형의 변화가 나타났다. 또한 외현적 시연 조건에 대한 비단어 산출 수행력은 어휘력과 연관성이 있었다. 논의 및 결론: 외현적 시연은 비단어 산출 수행력 향상에 긍정적인 영향을 주며, 외현적 시연 조건에 대한 비단어 산출 수행력을 통해 언어발달지연 아동이 일반 아동에 비해 음운 단기기억 능력이 낮다는 사실을 파악할 수 있었다. 따라서 언어발달지연 아동에게 시연을 훈련시키고 아동이 시연을 사용함으로써 음운 단기기억 능력은 향상될 수 있으며 어휘력에도 긍정적인 영향을 줄 것으로 예상된다.

영문 초록

Objectives: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rehearsal method of improving phonological short-term memory ability by examining the performance of nonword production according to vocal rehearsal condition in children with language delay and normal language. Methods: The participants in this study were 17 children with language delay (LD group) and 17 children with normal language (NL group). The study utilized nonwords and abstract pictures with 3 different conditions of rehearsal suppression, vocal rehearsal 5 times, and vocal rehearsal 10 times. During the vocal rehearsal, the children had to rehearse and then produce the nonword. Results: The results of this study are as follows. First, the LD group showed significantly lower performance in the nonword production in rehearsal suppression condition and the vocal rehearsal 10 times condition than the NL group. Second, the LD group had different error types according to the vocal rehearsal condition, but NL group had constant error types regardless of the conditions. Third, both groups showed a correlation between vocabulary and the performance of nonword production. Conclusion: The performance of nonword production of children with language delay is lower than that of children with normal language, which means that children with language delay have a lower phonological short-term memory capacity. In addition, rehearsal has a positive effect on phonological short-term memory improvement, and it implies an association between phonological short-term memory ability and vocabulary.

목차

Abstract
연구방법
연구결과
논의 및 결론
REFERENCES
국문초록
참고문헌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교보e캐시 1,000원
TOP
인용하기
APA

이슬기(Seulki Lee),임동선(Dongsun Yim). (2017).Nonword Production Performance According to Vocal Rehearsal Condition in Children with Language Delay. Communication Sciences & Disorders, 22 (3), 471-484

MLA

이슬기(Seulki Lee),임동선(Dongsun Yim). "Nonword Production Performance According to Vocal Rehearsal Condition in Children with Language Delay." Communication Sciences & Disorders, 22.3(2017): 471-484

결제완료
e캐시 원 결제 계속 하시겠습니까?
교보 e캐시 간편 결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