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추천 검색어

실시간 인기 검색어

학술논문

Comparison of Error Types and Qualitative Analysis of Correct Responses in a Confrontation Naming Test for Subtypes of Mild Cognitive Impairment

이용수 110

영문명
발행기관
한국언어청각임상학회
저자명
김수련(Soo Ryon Kim)
간행물 정보
『Communication Sciences & Disorders』Communication Sciences & Disorders vol22. no.3, 561~569쪽, 전체 9쪽
주제분류
사회과학 > 교육학
파일형태
PDF
발행일자
2017.09.30
4,000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1:1 문의
논문 표지

국문 초록

배경 및 목적: 경도인지장애(mild cognitive impairment, MCI) 환자는 인지기능의 손상 양상이 다양한 이질적인 집단이므로, MCI 하위유형의 특징을 살펴보는 것이 중요하다. 본 연구는 단일영역 기억상실형 경도인지장애(amnestic single-domain MCI, asMCI), 다영역 기억상실형 경도인지장애(amnestic multiple-domain MCI, amMCI), 비기억상실형 경도인지장애(non-aMCI)의 세 MCI 하위집단과 일반노인에게 대면이름대기 과제를 실시하여 그 특성을 살펴보았다. 방법: 대상자는 MCI 환자 96명(asMCI 27명, amMCI 39명, non-aMCI 30명)과 일반노인 30명이었다. 한국판 보스톤 이름대기 과제 단축형인 K-BNT-15를 실시하여, 집단 간 과제의 총점, 오류유형(시지각, 의미, 음운, 비연관, 기타)의 비율, 정반응 중 자가수정과 시간지연반응의 비율을 비교하였다. 결과: 첫째, 총점은 amMCI와 asMCI가 일반노인과 non-aMCI보다 유의하게 낮았다. 둘째, 오류유형 중 의미 오류만 집단 간 차이를 보였다. 셋째, 자가수정과 시간지연반응 비율은 MCI 하위집단이 일반노인보다 높았다. 특히, 자가수정반응 비율은 기억력 외의 다른 인지기능 저하가 있는 MCI 집단에서, 시간지연반응은 기억력 손상이 있는 MCI 집단에서 더 높았다. 논의 및 결론: MCI 하위유형은 이름대기 능력 손상 양상에 차이가 있으며, 이는 의미기억, 어휘-의미론적 처리과정 및 집행기능과 같은 다른 인지능력 손상과 관계된다. 따라서 대면이름대기 과제에서 오류유형과 정반응의 질적 분석은 MCI의 하위유형을 확인하는 데 유용할 수 있다.

영문 초록

Objectives: It is important to examine the characteristics of mild cognitive impairment (MCI) subtypes due to their various patterns of cognitive impairment. This study carried out a confrontation naming test for three MCI subtypes (amnestic single-domain MCI [asMCI], amnestic multiple-domain MCI [amMCI], and non-amnestic MCI [non-aMCI]) and a normal elderly group to investigate differential naming performance. Methods: Ninety-six MCI patients (27 with asMCI, 39 with amMCI, and 30 with non-aMCI) and 30 elderly control subjects performed the K-BNT-15, a short version of the Korean version-the Boston Naming Test. The four groups were compared by total scores, error types (i.e., visuoperceptual, semantic, phonological, unrelated, and other errors), and qualitative analysis of correct responses (i.e., self-correction and time-delayed responses). Results: First, the total scores were significantly lower in amMCI and asMCI than in the normal controls and non-aMCI. Second, only the semantic error type showed a significant difference between MCI and normal elderly. Third, self-correction and time-delayed response ratios were higher in patients with MCI than in the normal elderly. In particular, time-delayed responses were frequently found in MCI subtypes with memory impairment, and self-correction responses were frequently found in MCI subtypes with other cognitive impairments. Conclusion: These findings suggest that MCI subtypes exhibit different patterns of naming deficits, which may result from a breakdown of semantic memory, lexico-semantic processing, or other cognitive abilities such as executive functions. Therefore, error types and qualitative analysis of correct responses in confrontation naming tests could be useful for identifying MCI subtypes.

목차

Abstract
연구방법
연구결과
논의 및 결론
REFERENCES
국문초록
참고문헌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교보e캐시 1,000원
TOP
인용하기
APA

김수련(Soo Ryon Kim). (2017).Comparison of Error Types and Qualitative Analysis of Correct Responses in a Confrontation Naming Test for Subtypes of Mild Cognitive Impairment. Communication Sciences & Disorders, 22 (3), 561-569

MLA

김수련(Soo Ryon Kim). "Comparison of Error Types and Qualitative Analysis of Correct Responses in a Confrontation Naming Test for Subtypes of Mild Cognitive Impairment." Communication Sciences & Disorders, 22.3(2017): 561-569

결제완료
e캐시 원 결제 계속 하시겠습니까?
교보 e캐시 간편 결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