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추천 검색어

실시간 인기 검색어

학술논문

Rapid Automatized Naming Performance in Korean-Speaking Children with Dyslexia

이용수 239

영문명
발행기관
한국언어청각임상학회
저자명
강진경(Jin Kyong Kang) 성지은(Jee Eun Sung) 김영태(Young Tae Kim)
간행물 정보
『Communication Sciences & Disorders』Communication Sciences & Disorders vol22. no.3, 520~529쪽, 전체 10쪽
주제분류
사회과학 > 교육학
파일형태
PDF
발행일자
2017.09.30
4,000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1:1 문의
논문 표지

국문 초록

배경 및 목적: 본 연구에서는 난독아동의 빠른 이름대기 과제 수행의 양상을 알아보기 위해 총 6가지의 빠른 이름대기 과제를 실시하고 정확도 및 반응시간을 분석하였다. 방법: 전반적인 수행양상을 알아보기 위해 문자 과제와 비문자 과제로 나누어 난독집단과 일반집단을 비교하였다. 난이도에 따른 수행양상을 알아보기 위해 숫자 과제에 대하여 한자어계 -고유어계로 나누어 두 집단을 비교하였다. 두 집단을 판별하는 빠른 이름대기 과제를 알아보기 위하여 단계적 판별분석을 실시하였다. 결과: 난독아동은 문자-비문자 과제의 수행에서 정확도에서는 일반아동과 유의미한 차이가 나타나지 않았고, 반응시간에서는 유의미하게 낮은 수행을 보였다. 문자-비문자 과제는 정확도에서 두 집단 간 차이가 나타나지 않았으며, 두 집단 모두 음절글자 과제수행보다 낱글자, 사물, 색깔 과제수행에서 느린 반응시간을 보였다. 또한 난독아동은 난이도가 낮은 과제에서는 일반아동과 정확도에서 유의미한 차이가 없었으나 과제의 난이도가 높아지자 일반아동보다 저조한 수행을 나타냈다. 난독아동은 과제의 난이도와 상관없이 느린 반응시간을 보였다. 두 집단을 판별하는 과제 요인은 정확도에서는 고유어계 기수사와 낱글자 정확도였으며, 반응시간에서는 사물 반응시간인 것으로 나타났다. 논의 및 결론: 빠른 이름대기에 대한 일반집단과 난독집단의 차이를 전반적으로 이끌어가는 변수는 반응시간인 것으로 보이며, 일반집단과 난독집단 간의 빠른 이름대기의 정확도 차이를 살펴보고자 할 때에는 난이도가 높은 과제를 활용하는 것이 효과적일 것으로 보인다.

영문 초록

Objectives: The current study investigated performance on rapid automatized naming (RAN) tasks by varying the task type and task complexity for Korean-speaking children with dyslexia. Methods: A total of 24 children participated in the study, 12 children with dyslexia and 12 age-matched normally developing children. The task types included alphanumeric/non-alphanumeric tasks involving the alphabet, syllables, words, colors, and objects. The task complexity was manipulated by comparing a native-Korean cardinal numeral task to a sino-Korean cardinal numeral task, based on the assumption that the former task is more complex than the latter. A stepwise discriminant analysis was performed to determine which RAN tasks discriminated between the two groups. Results: The children with dyslexia showed significantly lower accuracy and prolonged response times across the different RAN tasks. They also showed lower performance in alphabet, color, and object tasks than in the syllable word tasks. There was no difference in performance between the two groups when the difficulty level was low. However, as the level of difficulty increased, the children with dyslexia showed significantly lower performance than the normally developing children. The task factors for discriminating between the two groups were the accuracy in native-Korean cardinal numerals and the alphabet, and the response time of object. Conclusion: The results showed that the variable demonstrating differences between the two groups on the RAN was response time, and that using high difficulty tasks is an effective means to examine the difference in RAN between the two groups

목차

Abstract
연구방법
연구결과
논의 및 결론
REFERENCES
국문초록
참고문헌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교보e캐시 1,000원
TOP
인용하기
APA

강진경(Jin Kyong Kang),성지은(Jee Eun Sung),김영태(Young Tae Kim). (2017).Rapid Automatized Naming Performance in Korean-Speaking Children with Dyslexia. Communication Sciences & Disorders, 22 (3), 520-529

MLA

강진경(Jin Kyong Kang),성지은(Jee Eun Sung),김영태(Young Tae Kim). "Rapid Automatized Naming Performance in Korean-Speaking Children with Dyslexia." Communication Sciences & Disorders, 22.3(2017): 520-529

결제완료
e캐시 원 결제 계속 하시겠습니까?
교보 e캐시 간편 결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