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추천 검색어

실시간 인기 검색어

학술논문

조선후기의 금・원대시 수용 연구 - 이덕무의 청비록 을 중심으로 -

이용수 259

영문명
Acceptance of Jin and Yuan dynasty poetry in late Joseon period : Focused on Chongbirok of Lee Deok-mu
발행기관
대동한문학회
저자명
김기완(Kim, Ki-wan)
간행물 정보
『대동한문학』大東漢文學 第52輯, 225~258쪽, 전체 34쪽
주제분류
어문학 > 한국어와문학
파일형태
PDF
발행일자
2017.09.30
6,880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1:1 문의
논문 표지

국문 초록

이덕무는 연암그룹이 어느 정도 공유했던 금・원대시 인식을 잘 대표하는 작가로서, 淸脾錄 에 다수의 금・원대시 관련 언술을 남겼다. 본고에서는 이를 살펴봄으로써, 조선후기 금・원대시 수용의 한 구체적인 양상을 살펴보 고자 한다. 청비록 내에서 이덕무는 원대시에 대한 개인적인 애호를 드러 내고, 문학적인 성취 면에서도 대체로 호평하였다. 또한 이덕무는 청대 詩 學과 금・원대시가 연관되는 맥락을 인지하고 있었으며, 청대에 출간된 금・ 원대시 관련 문헌을 입수하고 독서하였다. 청비록 에서 때로는 고려 시에 대한 관심의 연장에서 고려와 동시기인 원대시에 대한 관심이 증대되기도 하였다. 詩話 속에 금・원대시의 자리를 마련하고, 또 이런 언술들이 왕사정등 청초 문인들의 금・원대시 관련 언술과 긴밀하게 관련맺는 경향은 이덕무의 후손인 이규경의 詩家點燈 에서도 이어진다.

영문 초록

Lee Deok-mu is a writer who represents the perception toward Jin and Yuan dynasty poetry shared by Yŏnam group. He has written Chongbirok including the discourse on Jin and Yuan dynasty poetry. This discourse is reviewed in this manuscript as a concrete aspect of acceptance of Jin and Yuan dynasty poetry in late Joseon Period. He showed a liking for Yuan Dynasty poetry and commented favorably on its literary achievements in Chongbirok. And Lee Deok-mu had a contextual understanding of the relation between poetics of Qing Period and Jin and Yuan dynasty poetry. Further, He acquired and read literature on Jin and Yuan dynasty poetry published during Qing period. Sometimes interest in Yuan Dynasty poetry had increased in Chongbirok as an extension of attention to the poetry of Goryeo period which is the same age of Yuan Dynasty. It is passed to Shigajumdeung written by Lee Kyu Kyung, the descendant of Lee Deok-mu, Setting up the domain of Jin and Yuan dynasty poetry in a criticism of poems and relating this discussion with the discourse on Jin and Yuan dynasty poetry by the writers of early Qing dynasty including Wang Shi-zhen.

목차

1. 들어가며
2. 자료 개관: 청비록 내 금・원대시 관련 언술의 존재 양상
3. 청비록 내 금・원대시 관련 언술의 내용적 특징
1) 애호의 표명과 지인간 담론 공유
2) 청대 시학과의 연관성
3) 고려와 금・원대, 병세의식의 시대적 소급
4. 금・원대시 수용의 19세기적 계승 양상: 이규경의 시가점등
5. 나가며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교보e캐시 1,000원
TOP
인용하기
APA

김기완(Kim, Ki-wan). (2017).조선후기의 금・원대시 수용 연구 - 이덕무의 청비록 을 중심으로 -. 대동한문학, 52 , 225-258

MLA

김기완(Kim, Ki-wan). "조선후기의 금・원대시 수용 연구 - 이덕무의 청비록 을 중심으로 -." 대동한문학, 52.(2017): 225-258

결제완료
e캐시 원 결제 계속 하시겠습니까?
교보 e캐시 간편 결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