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추천 검색어

실시간 인기 검색어

학술논문

영남루와 아랑 : 아랑 서사의 탄생과 그 변주

이용수 470

영문명
Youngnamru and Arang : The Birth of Arang narrative and its variations
발행기관
대동한문학회
저자명
정출헌(Chung, Chhl-heon)
간행물 정보
『대동한문학』大東漢文學 第52輯, 259~288쪽, 전체 30쪽
주제분류
어문학 > 한국어와문학
파일형태
PDF
발행일자
2017.09.30
6,400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1:1 문의
논문 표지

국문 초록

조선시대에 이름을 날린 이른바 전국의 ‘名樓’는 대부분 이름난 ‘女性’에 얽힌 사연을 간직하고 있다. 진주 촉석루의 논개, 남원 광한루의 춘향, 평양 부벽루의 계월향이 그러하다. 조선시대 누각이 사대부 남성의 대표적인 연회와 유흥의 공간이라 할 때, 논개・춘향・계월향과 같은 기생은 그곳을 전유 했던 남성 주인공을 아름답게 꾸며주는 일종의 미담이기도 했다. 名樓와 名 妓는 그렇게 한 짝이었던 것이다. 밀양의 영남루 또한 다르지 않은데, 거기 에는 阿娘이라는 한 여성의 죽음이 간직되어있었다. 실제로 촉석루와 논개의 관계가 그러하듯, 영남루에 대한 기억은 아랑에 대한 기억이라 바꿔 말할 수 있을 정도로 널리 알려졌다. 때문에 아랑의 서사는 탄생과 유통의 단계에서는 물론 그 이후의 서사적 변주 과정에 이르기까지 영남루라는 구체적인 공간과 분리하여 다루어서는안 된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지금까지 많은 연구는 그러하지 않았다고 판단된 다. 아랑의 서사에서 영남루는 단지 사건의 배경에 불과한 것으로 다루어왔 고, 더 나아가 20세기 이후 통속화된 구전의 서사를 주요 분석 대상으로 삼음 으로써 아랑의 서사가 탄생・변주되던 당대적 맥락을 제대로 밝혀낼 수 없었 다. 이런 한계를 극복하기 위해, 본고에서는 아랑의 서사에 대한 최초 기록인 19세기 초반 홍직필의 <記嶺南樓事>에 주목했다. 그리고 아랑 서사의 변주 양상을 잘 보여주는 야담, 곧 19세기 중반 동야휘집 의 <南樓擧朱旗訴寃> 과 청구야담 의 <雪幽寃夫人識朱旗>를 주된 분석 대상으로 삼고자 한다. 여기에 실려 있는 아랑 서사는 후대적 변주 양상을 전형적으로 보여주고 있다고 판단되기 때문이다. 우선 동야휘집 의 경우, 비록 사대부 남성의 시각에서 포착・재구된 전형적인 남성적 서사이다. 하지만 그럼에도 불구하고 그 이면에 흐르고 있는 아랑이라는 한 여성의 절절한 자기 목소리를 읽어낼 수 있다는 역설의 독법을 확인할 수 있었다. 다음 청구영언 의 경우, 대부분의 아랑서사와 달리 아랑의 원한을 李上舍(또는 밀양부사)라는 남성이 아닌 밀양부사의 부인이 라는 여성이 해결하는 것으로 바뀌어 있다. 여성이 품은 원한을 여성이 주체가 되어 해결하는 여성적 서사로 전복되어 있는 것이다. 이런 두 유형의 변주를 통해 사대부 남성들은 아랑의 죽음에서 여성의 정절과 같은 중세윤 리를 강조하고 싶어 했을지 모르지만, 남성의 겁탈로 죽어간 여성의 죽음에 드리워 있는 憐憫과 公憤의 정서까지 완전 소거할 수는 없었음을 확인할 수있었다. 그리고 그런 연민과 공분의 정서는 아랑의 서사에서 위와 같은 ‘역 설적 독법’과 ‘전복적 서사’를 가능하게 만드는 동력으로 작동했던 것이다.

영문 초록

Very well-known and reputable ‘pavilions’ in the Joseon Period have mostly stories pertaining to the renowned women across the country. The examples are a lady called Nongae from Chokseokru Pavillion in the city Jinju, Chunghyang from Gwanghanru in the city Namwon and Gye Wolhyang from Bubyeokru in the city Pyeongyang. While the pavilions in the Joseon period were typical space of banquet and relaxation for Confucian scholar noblemen, gisaengs such as Nongae, Chunhyang and Gye Wolhyang were like beautiful stories that adorned male characters who appropriated the places. Reputable pavilions and prominent gisaengs were fairly good pairs. Youngnamru in the city Milyang is not different from them. It has the trace of sorrowful story of a delicate woman, Arang’s death. As a matter of fact, as in the story of Chokseokru pavilion and gisaeng Nongae, the memory of Yongnamru can be switched to that of Arang. That’s why the narrative of Arang should not be separated from the specific location of Youngnamru pavilion even in the process of variations as well as its birth and distribution stages. However, a lot of studies did not follow that so far. They covered the narrative of Arang separately without involving Youngnamru pavilion. Futhermore, they were not able to elucidate the context of the times properly by analyzing mainly the narrative of oral stories popularized since the twentieth century. To cope with this limitation, I focused on the book Giyoungnamrusa (1810) which is the first record of the narrative of Arang by Hong Jikpil in the early nineteenth century in this article. Besides, I made analysis of two unofficial historical stories, Namrugeojugisowon in the book Dongyahuijip from the mid nineteenth century, Seolyuwonbuinsikjugi, in the book Cheongguyadam. Arang narratives in these works typically display the two aspects of later variations. First, in case of the book Dongyahuijip, despite having been captured and reconstructed from the perspective of male Confucian scholar officials, we can still confirm the interpretation of paradox that read the woman Arang’s desperate voice. Next, in the book Cheongguyadam, Unlike most Arang narratives, Arang’s vengeance was resolved by a woman, the wife of Milyang governor, not a man, Yi Sangsa, Milyang governor. The book subverted the narrative to women’s narrative that an autonomous woman resolved another woman’s vengeance. Male Confucian scholar officials might have wanted to focus on Medieval ethics of female chastity through these two examples but they could not eliminate completely the sentiment of sympathy and public resentment of the woman who died because of rape. In addition, this emotion of compassion and public indignation worked as a power enhancing paradox and subversion in Arang’s narratives.

목차

1. 머리말
2. 아랑 서사의 탄생: 겁탈, 그리고 憐憫과 公憤
3. 아랑 서사의 변주: 解寃과 審判의 어름
1) 동야휘집 에서의 해원, 그남성 서사의 역설
2) 청구야담 에서의 해원, 그여성 서사로의 전복
4. 맺음말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교보e캐시 1,000원
TOP
인용하기
APA

정출헌(Chung, Chhl-heon). (2017).영남루와 아랑 : 아랑 서사의 탄생과 그 변주. 대동한문학, 52 , 259-288

MLA

정출헌(Chung, Chhl-heon). "영남루와 아랑 : 아랑 서사의 탄생과 그 변주." 대동한문학, 52.(2017): 259-288

결제완료
e캐시 원 결제 계속 하시겠습니까?
교보 e캐시 간편 결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