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추천 검색어

실시간 인기 검색어

학술논문

이태준 소설에 나타난 노인의 근대 수용 양상 연구

이용수 289

영문명
A Study on the Acceptance Phase of Modernity Appeared in the Character of the Elderly Man in Tae-Joon Lee s Novel
발행기관
동남어문학회
저자명
김개영(Kim Gae-young)
간행물 정보
『동남어문논집』동남어문논집 제43집, 39~62쪽, 전체 24쪽
주제분류
어문학 > 문학
파일형태
PDF
발행일자
2017.05.30
5,680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1:1 문의
논문 표지

국문 초록

이 연구에서는 이태준의 단편 소설에 나타난 노인 인물형을 통해 1930년대 근대 수용의 특징을 살폈다. 모험과 성장, 팽창의 속성을 가진 근대는 그치지 않는 열정을 간직한, 영원한 ‘젊음’의 이미지로 상상된다. 노인은이러한 근대와 대척점에 서 있는 존재로 항시 소외의 문제와 맞닥뜨린다. 더구나 전통적 삶에 익숙한 식민지 시대 노인에게 근대는 폭력 그 자체로 작용 할 여지가 크다. 그러나 1930년대 파행적 근대가 진행되고 있는 상황에서도노인은 근대의 수용에 있어 다양한 포지션을 갖는다. 이태준의 단편 소설에는이러한 노인의 근대 수용양상이 잘 그려져 있다. 본고에서는 그 양상을 ‘적극적 수용’과 ‘소극적 수용’ 두 가지로 나눴다. 전자는 두 가지로 인물형으로 나눌 수 있는데, ‘지사형 인물’과 ‘속물형 인물’이 그것이다. 지사형은 근대의 가치를 민족의 독립과 발전의 원동력으로 삼는 인물로 젊은이의 귀감이 되며,속물형은 근대의 가치를 자신의 현실적 욕망과 결부시키려는 인물로 비윤리적인 존재로 전락한다. 근대적 요소를 소극적으로 수용하는 노인 또한 두 가지 종류로 나눌 수 있는데, ‘자기 긍정형 인물’과 ‘자기 부정형 인물’이 그것이다. 전자는 근대적 가치의 부정성을 깨달고 전통적 삶이나 인정에 바탕 한 공동체 사회에 더 큰 애정을 가지는 인물형이다. 후자는 전통과 그 가치에 대해애정을 가지고 있지만, 전통적 가치를 포섭한 새로운 근대(미적 근대)의 출현으로 인해 소외를 느끼는 인물형이다. 이러한 네 가지 노인 인물형은 자발적이든 비자발적이든 모두 근대로부터 소외되어 있다는 것이 특징적이다

영문 초록

This study examined characteristics of the adoption of modernity in the 1930s through the elderly characters found in Tae-Joon Lee s short stories. Modernity, with the attributes of adventure, growth, and expansion, conveys the idea of persistent passion and eternal youth. However, the elderly stay in the line between traditional and modern world, and always face the problem of alienation. For the old people who are accustomed to the traditional life in Korea, colonial modernity can be a violent force for them. In the midst of the fractured modernity during the 1930s, the elderly held different positions in reacting to modernity. Lee s short stories depicted the process of modernity from the images of elderly during the colonial times. In this paper, we will discuss the different reactions toward colonial modernity and categorize them into two behaviors: one is called active acceptance and the other one is called passive acceptance . The elderly who actively accept modern changes can be divided into two character types: patriot type and materialistic type . The former considers the value of modernity as the driving force for building and developing an independent motherland. Unlike the patriot type which is praised by the young, the latter is viewed as an unethical type which attempts to associate the value of modernity with his/her personal needs. The elderly who passively accept modern changes can be divided into two types as well: one is called self-affirming type and the other is called self-deprecating type . The former is a character type that recognizes the negative side of modernity, and has a greater affection for the community built on traditional values or relationships. The latter also has the affection for the tradition and its values. Nevertheless, this character type maintains a sense of alienation in the emerging modern world (aesthetic modern world). These four elderly character types discussed above, either they are intentional or not, experience a social isolation in the modern world.

목차

1. 서론
2. 적극적 근대 수용 양상
3. 소극적 근대 수용 양상
4. 결론
참고문헌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교보e캐시 1,000원
TOP
인용하기
APA

김개영(Kim Gae-young). (2017).이태준 소설에 나타난 노인의 근대 수용 양상 연구. 동남어문논집, 43 , 39-62

MLA

김개영(Kim Gae-young). "이태준 소설에 나타난 노인의 근대 수용 양상 연구." 동남어문논집, 43.(2017): 39-62

결제완료
e캐시 원 결제 계속 하시겠습니까?
교보 e캐시 간편 결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