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추천 검색어

실시간 인기 검색어

학술논문

1920년대 지적 능력 담론의 지배화 과정과 그 단절에 관한 시론:

이용수 302

영문명
Comments upon the process of control and the severance of the discussion of the intellectual ability in 1920s : in the center of independence what is called Minjung, Ignorant people, A self-educated person
발행기관
동남어문학회
저자명
이형진(Lee, Hyeong-Jin)
간행물 정보
『동남어문논집』동남어문논집 제43집, 63~100쪽, 전체 38쪽
주제분류
어문학 > 문학
파일형태
PDF
발행일자
2017.05.30
7,360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1:1 문의
논문 표지

국문 초록

1910년대 후반에서 1920년대는 민중 주체의 출현으로 말미암아 사회운동과 그에 관한 담론이 새로운 국면을 맞이하였다. 새로운 국면은 개조론과 교육 담론이었다. 본고는 개조론과 교육 담론이 민중을 우민으로 계열화하여 지식인의 담론에 편입하는 지적 능력의 위계화 과정이었음을 밝히고자 했다. 개조론은 인간과 생활의 모든 관계를 평등적으로 개선하자는 혁신적인 주 장이었다. 그러나 개조론은 지식인들의 이념적 편차와 상관없이 민중을 개조의 대상으로 상정했다. 즉 개조론은 민중의 힘을 그 자체로 승인하지 않고 이론화된 언어의 교육을 통한 의식화의 대상으로 설정했다는 것이다. 교육은 민중 주체를 개조하기 위한 개조론의 구체적인 실행 방법이었다. 1920년대 교육론은 실력을 통해 누구나 평등해질 수 있다는 평등의 원리를 제창했지만, 교육의 문은 누구에게나 열려있는 것이 아니었다. 경제적으로 제한된 삶을 영위할 수밖에 없는 민중은 근대교육으로부터 철저히 소외당했다. 민중이 근대지(知)를 획득하는 것은 요원한 일이었다. 1920년대 교육론에서 주장한 실력을 통한 평등의 원리는 오히려 민중을 지적 도태의 원리에 안착시키는 결과를낳았다. 따라서 개조론과 교육론은 민중을 운동의 해방적 주체로 호명했지만,민중은 학력에 의한 새로운 신분 질서에 편입됨으로써 지식인의 담론장에 환 수되었다. 최서해는 독학을 통해서 능력의 질서에 따른 위치 분배를 극복했다. 독학은 근대교육이 지식을 획득할 수 있는 유일한 방법이 아니라는 점을보여준다. 독학자적 주체성은 몇몇 성공한 사람만이 지니고 있는 특이성이 아니라, 민중 전체에게 내재하는 공통적인 주체성이다. 이 글은 1920년대에 작동했던 여러 담론의 영향관계와 독학자적 주체성을 규명했다. 이는 신경향파의 실체에 접근하기 위함이었다. 민중의 출현을 징후로 포착한 신경향파는 지식인의 담론이 아니라 민중주의가 출현하게 된 시대성이었다. 그러므로 여전히 실체가 불명확한 신경향파를 온당하게 다루기 위해서는 민중의 주체성을 해명하는 작업이 선행되어야 한다.

영문 초록

From the late 1910s to 1920s, as the appearance of independent Minjung, social movement and its discussion faced new aspects. New aspects were the reorganization theory and the discussion of education. This text shed light that the reorganization theory and the discussion of education systemized Minjung as ignorance and they were the process of a hierarchy of the intellectual ability entering to the discussion of intellectuals. Reorganization theory was innovative insistence that emphasized on improving every relation of people and living equally. But reorganization theory put Minjung as the subject of reorganization. Namely,reorganization theory did not approve the power of Minjung as itself,setting it as the subject of conscientization through the education of a theorized language. Education was a way of ectual practice for reconstructuring independent Minjung. In 1920s, education theory put forward the principle of equality that any one can be equal by his or her ability. But the gate of education did not open to any one. Minjung who had to live an economically ristricted life was estranged thoroughly from education. It was far distant for Minjung to acquire modern knowledge. The insistence of the discussion of education in 1920s which claimed the principle of equality through ability resulted in the consequence that it safely arrived Minjung the principle of intellectual selection. Accordingly, though reconstruction theory and the discussion of education called Minjung by name of liberal subjective of movement, Minjung was entered the field of discussion of intellectuals by being enrolled new hierarchy by school education. Choi Seo-hae surmounted distribution of position according to the order by self-education. Self-education shows that modern education is not the only way that attains knowledge. Self-educational subjective is not an idiosyncrasy that has some successful people but common subjective that wells in the whole Minjung. This text searched the influence of several discussions and self-educational subjective that functioned in 1920s. It was for approaching the substance of Shin-Gyunghyang-pa. Shin-Gyunghyang-pa that captured the advent of Munjung as a sign was not a discussion of intellectuals but a figure of the times that emerged the idea of Minjung. Therefore, for the sake of correctly dealing with Shin-Gyunghyang-pa that its entity is still not sure,the work explaining subjective of Minjung has to be prioritized.

목차

1. 신경향파라는 징후
2. 개조론이 민중 주체를 호명하는 방식
3.교육의 역설: 평등과 우민화
4. 김기진의 교화에서 최서해의 독학으로
5. 독학자적 주체성과 신경향파 연구의 차후 과제
참고문헌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교보e캐시 1,000원
TOP
인용하기
APA

이형진(Lee, Hyeong-Jin). (2017).1920년대 지적 능력 담론의 지배화 과정과 그 단절에 관한 시론:. 동남어문논집, 43 , 63-100

MLA

이형진(Lee, Hyeong-Jin). "1920년대 지적 능력 담론의 지배화 과정과 그 단절에 관한 시론:." 동남어문논집, 43.(2017): 63-100

결제완료
e캐시 원 결제 계속 하시겠습니까?
교보 e캐시 간편 결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