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추천 검색어

실시간 인기 검색어

학술논문

이미지 체계에서 드러나는 증강현실 연구

이용수 752

영문명
Augmented Reality(AR) studies in Image system
발행기관
한국조형디자인학회
저자명
임영길(Yim Young kil) 이은주(Lee Eun joo)
간행물 정보
『조형디자인연구』조형디자인연구 제20집 2권, 75~97쪽, 전체 23쪽
주제분류
예술체육 > 미술
파일형태
PDF
발행일자
2017.06.30
5,560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1:1 문의
논문 표지

국문 초록

미디어를 활용하는 예술형식은 앞으로도 기술발전 속도에 따라 그 맥을 같이 할 것이다. 기술발전은 예술의 실험과 변화를 불러일으켰으며, 이는 원근법, 사진술의 시대까지 거슬러 올라간다. 재매개화론에 따르면 가상현실을 통한 몰입적 시각은 원근법의 시각에서부터 출발한 감각들이 매개되어 오늘날의 최첨단은 오래된 매체의 개별적 특성들의 과정을 매개하며 발전시킨 것이다. 최근 몇 년간 전 세계적으로 포켓몬 고 게임의 열풍으로 증강현실의 문제가 이론적으로 회자되기 시작하였다. 증강현실은 가상현실과 어떻게 다른가, 혹은 사용자를 통해 현실과 가상의 관계를 어떻게 경험하게 하는가의 문제는 미디어예술의 또 다른 변화의 축이다. 이번 논문의 주요 과제는 과거에서부터 발전되어 왔던 기술이 이미지체계에 어떠한 영향을 미쳤는가에 초점을 두었다. 증강현실의 발전은 실시간 인터넷과 조우하는 GPS와 모바일 장치와 환경으로 연결되어 있는 앱 프로그램을 통해 제작이 이미지 체계에도 실질적 영향을 미친다. 그 영향으로는 첫째, 3D그래픽 이미지의 색감은 감산혼합의 CMYK 색상체계에서 가산혼합의 RGB 체계로 변화하여, 어두운 색보다는 밝은 색을 선호하는 경향이 있다. 또한 질감은 가상현실을 구축하는 컴퓨터 3D 소프트웨어의 매핑의 영향과 과도한 빛의 노출로 인해 새롭고 다양한 인공적인 상황을 연출한다. 둘째, 화면 속에 등장하는 대상의 형태와 그 화면을 구성하는 구도의 급진적 변화이다. 사진의 등장으로 인해 파편화되었던 몽타주의 이미지는 디지털 기술에 의해서 원근법으로 재통합된다. 그러나 현실을 모방하기 위해 재도입한 가상공간에서의 원근법은 필요에 따라 수치의 조정을 통해 공간을 왜곡시키기도 한다. 이런 경향은 극단적으로 클로즈업 되거나, 혹은 부감법의 도입으로 화면에 등장하는 대상의 시선보다 더 높게 위치시켜 극도의 긴장감을 불러일으키기도 한다. 셋째로, 실시간 GPS기능이 가동되어 증강현실 지도를 기반으로 하는 도상, 기호, 이미지들이 가상에서 축출한 데이터의 시각화를 통해서 나타나기도 한다. 증강현실 경험은 화면 혹은 공간 안에 관객을 환영적으로 몰입하게 했던 감각과는 다르다. 몰입을 요구하지만 주체적으로 현실과 가상의 접점에서 두 세계를 실시간 선택할 수 있는 주체로 묘사된다. 증강현실을 통한 이미지체계의 변화와 영향관계와 동시에 앞으로 이를 수용하는 관객의 변화도 중요한 연구로 작동할 것이다.

영문 초록

The art form that employs the media will be continued according to the speed of technology development. Technological advancements have brought about experiments and changes in art, which goes back to the days of perspective and photography. According to the remediation theory, the immersive view through the virtual reality is mediated by the senses starting from the view of perspective, and today s cutting - edge technologies mediate have been developed through the process of individual characteristics of old media. In recent years, the problem of augmented reality has begun to be theoretically talked about due to the Pokemon Go game fever around the world. The problem of how the augmented reality differs from the virtual reality, or how users experience reality and virtual relationships, is another axis of change in the media art. The main task of this paper is focused on how the augmented reality has affected the image system that had been developed from the past. The development of the augmented reality has a real effect on the image system through the GPS that is connected the real time internet and the application programs that is connected with the mobile device and the environment. Among those effects, firstly, the color of the 3D graphic image changes from the CMYK color system of the subtractive mixture to the RGB system of the additive mixture, and tends to prefer the bright colors rather than the dark colors. Also, the texture creates new and diverse artificial situations due to the effect of the 3D software mapping that builds the virtual reality and the excessive exposure of light. Secondly, the shape of the object appearing in the screen and the composition of the screen have changed radically. The image of the montage that was fragmented due to the emergence of photographs is re-integrated into perspective by the digital technology. However, the perspective in the virtual space that is reintroduced to imitate the reality distorts the space by adjusting the numerical values according to the necessity. This tendency causes extreme tension that is created by close-up or bird-eye view method, positioning higher than the gaze of the object appearing on the screen. Thirdly, icons, symbols, and images based on the augmented reality map with activated real-time GPS may also appears through the visualization of data that has been extracted from the virtuality. The augmented reality experience is different from the sense that makes the audience immersed illusionistically in the screen or the space. The augmented reality is described as a subject which demands immersion but is able to select the two worlds in real time at the boundary of the reality and the virtuality. The influential relationships of the augmented reality on the image system and the change of the audience accommodating it will also become significant research subjects.

목차

Ⅰ. 서 론
1. 연구의 배경과 목적
2. 연구 방법 및 범위
Ⅱ. 증강현실을 구축하는 이미지 체계의 변천
1. 원근법에서의 이미지 체계
2. 사진 발명 이후 이미지 체계
Ⅲ. 증강현실에서 제기되는 이미지의 특성과 체계
1. 3D그래픽 이미지의 색감과 질감표현
2. 형태와 구도
3. 실시간 네트워크화된 GPS 기능의 이미지화
Ⅳ. 결 론
□ 참고문헌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교보e캐시 1,000원
TOP
인용하기
APA

임영길(Yim Young kil),이은주(Lee Eun joo). (2017).이미지 체계에서 드러나는 증강현실 연구. 조형디자인연구, 20 (2), 75-97

MLA

임영길(Yim Young kil),이은주(Lee Eun joo). "이미지 체계에서 드러나는 증강현실 연구." 조형디자인연구, 20.2(2017): 75-97

결제완료
e캐시 원 결제 계속 하시겠습니까?
교보 e캐시 간편 결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