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추천 검색어

실시간 인기 검색어

학술논문

호남지역 신석기시대 유적 동태와 의미

이용수 1209

영문명
Movements and Meaning of the Neolithic Period Remains in Honam Area
발행기관
한국상고사학회
저자명
천선행(Cheon seonhaeng) 정다운(Jeong dawoon)
간행물 정보
『한국상고사학보』제96호, 117~154쪽, 전체 38쪽
주제분류
인문학 > 역사학
파일형태
PDF
발행일자
2017.05.31
7,360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1:1 문의
논문 표지

국문 초록

본고는 호남지역 신석기시대 유적의 공간적 분포와 기후변화, 생태환경, 출토유물(석기구성) 등과 의 관계를 검토하여 호남지역 신석기시대 유적 동태와 전개과정을 검토한 것이다. 그 결과, 호남지역 신석기시대 조기 유적은 서남해안지역에만 한정되고, 남해안지역과 동일문화권을 형성한 점, 전기에는 남해안지역 영선동식토기문화가 파급되어 중남서해안지역까지 유적이 확대 됨을 재확인하였다. 중기 이후 호남지역으로 중서해안•금강유역•남부내륙•남해안지역 문화가 동시 에 복합적으로 유입되는데, [남부내륙-호남내륙-중남서해안], [남해안-서남해안]으로의 두 문화파급 경로가 지배적이었다고 보았다. 한편, 중기에 호남지역 유적이 급감하는 현상은 [전기 말-중기]에 걸친 한랭화, 잡곡농경에 대한 정보인지, 남해안으로부터의 정보 단절이라는 복합적 요인에 따른 결과이며, 그 과정에서 토착 신석 기시대인들은 일부 패총으로 명맥을 유지하거나 내륙으로 진출하고, 남부내륙문화가 유입되기도 하지만, 대부분은 호남지역 이탈이라는 선택을 강행하였다고 보았다. 이러한 복잡한 양상과 토착 신석 기시대인들의 선택이 한반도 여타지역과 차별화된 호남지역의 중기 모습을 낳았다고 추정하였다. 마지막으로 후•말기에는 유적이 다시 증가하는데, 이는 남해안지역 및 남부내륙지역, 충 청지역으로부터 신석기시대 후기집단들이 유입된 결과로 보았다. 한편, 말기에 중남서해안 및 호남내륙지역에서 이중구연토기의 출토비율이 적고, 유적 수가 정체하거나 감소하고 있어 중기이후의 조•기장을 중심으로 한 농경이 불안정해지기 시작하였다고 보았다. 서남해 안지역에서는 패총유적이 두드러지게 증가하는데, 이 지역 조•전기에 생업 근거지•중간 기착지•교류 거점지가 확인되었던 데 비해, 말기에는 모두 장기거주라기보다 생계를 위해 한시적으로 점유되었다고 추정하였다. 말기의 생업방식 변화는 농경 및 수렵에 대한 비중 이 더욱 약화되면서 이동성이 강한 생활로 복귀하였다는 견해를 뒷받침한다. 이상의 검토를 통해 호남의 신석기시대문화는 신석기시대 각 집단들이 오랜 기간 정착하여 이룩한 독특한 호남만의 문화라기보다 주변지역 문화에 연동하여 변동하는 역동적인 문화였다고 평가하였다.

영문 초록

This paper examines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spatial distribution, climate change, ecological environment, and excavated artifacts (stone composition), etc. of the Neolithic ruins in Honam area, and examines the movement and development process of the re¬mains of the Neolithic period in Honam area. As a result, the early remains of the Neolithic period in Honam area are confined within the southwestern coast. In addition to the formation of the same cultural area as the southern coastal area, the ruins have expanded to the middle southwest coastal re¬gion in the first half of the period. This re-confirmed that Yongson-dong’s earthenware culture spread to the southern coastal area. After the middle period, cultures of the south coast region, Geum River Basin, south¬ern inland area, and the southern coastal region are mixed at the same time in Honam area. Mainly, the two cultural paths that showed the ripple of dominance were [Southern inland area – Honam inland – middle southwest coastal region] and [South coast – Southwest coast]. On the other hand, the phenomenon of ruins rapidly declining in Honam area during the middle period was already seen as a result of mid-scale off-shore activities. The decline of the ruins is a result of a combination of factors such as cold weather, millet farming, and disconnection of information from the southern coast. In the process, the native Neolithic people were kept alive using shell mounds, or transferred to the inland. Though the southern inland culture was introduced, most of them were forced to leave the area of Honam. This complex pattern and selection of native Neolithic people is presumed to have created the middle period of the Honam area which differentiated Honam from other areas of the Korean peninsula. Finally, in the concluding late period, the ruins increased again, especially in the late period as the ruins of shell mounds in the southwest coastal area prominently in¬creased. This is seen as a result of the influx of late groups in the Neolithic era from areas such as the south coast region, southern inland region, and Chungcheong region. In addition, towards the late period, the ratio of excavated earthenware pottery from the middle southwest coast of and Honam inland was low, and the number of ruins be¬came stagnant or declining as farming, which was centered on the team leader, be¬came unstable after the middle period. In the westsouth coasts, the ruins of shell mounts increased. In contrast to the fact that the sites were used as an occupational base, middle stopover, and exchange base in the early/middle period, it was assumed that the sites were only occupied for a lim¬ited period of time as a place for living resource acquisition rather than for long-term residence at the end period. These changes in the way of life towards the end period were a result of the decline in agriculture and hunting and thus led the groups going back to their migratory way of life. Based on the examination above, it can be concluded that the Neolithic culture of Ho¬nam area was a dynamic culture that changed according to the cultures of the neigh¬boring areas, rather than being a unique culture that resulted from the long-term set¬tlement of the groups.

목차

Ⅰ. 머리말
Ⅱ. 호남지역 신석기시대 연구 성과와 논의의 출발점
Ⅲ. 신석기시대 조 · 전기 유적 동태와 성격
Ⅳ. 신석기시대 중기 유적의 분포와 의미
Ⅴ. 신석기시대 후 · 말기 유적 분포와 생업구조
Ⅵ. 맺음말
Abstract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교보e캐시 1,000원
TOP
인용하기
APA

천선행(Cheon seonhaeng),정다운(Jeong dawoon). (2017).호남지역 신석기시대 유적 동태와 의미. 한국상고사학보, (96), 117-154

MLA

천선행(Cheon seonhaeng),정다운(Jeong dawoon). "호남지역 신석기시대 유적 동태와 의미." 한국상고사학보, .96(2017): 117-154

결제완료
e캐시 원 결제 계속 하시겠습니까?
교보 e캐시 간편 결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