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추천 검색어

실시간 인기 검색어

학술논문

동북아시아 초기철기문화의 병행관계와 교류양상

이용수 1414

영문명
A Study on Parallel Relation and Exchange Aspect of the Early Iron Age Culture
발행기관
한국상고사학회
저자명
유은식(Eunshik Yoo)
간행물 정보
『한국상고사학보』제96호, 71~115쪽, 전체 45쪽
주제분류
인문학 > 역사학
파일형태
PDF
발행일자
2017.05.31
8,200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1:1 문의
논문 표지

국문 초록

이 글은 동북아시아 초기철기문화의 변천을 살펴보고 이를 통해 지역간 병행관계와 교류양상을 검토하기 위해 작성되었다. 먼저 수계와 고고문화적인 차이에 따라 제2송화강 중상류지역, 제1송화강 중류지역, 삼강평원지역, 흑룡강 중하류지역, 목단강 중하류지역, 한•중•러 국경지역으로 크게 구분을 하고, 시간성에 민감한 토기의 기종구성과 형식변화를 기준으로 지역 고고문화의 편년체계를 구축 하였는데, 특히 러시아 영내에서 확인되는 초기철기문화에 대해서는 종래의 연구보다 세분하였다. 동북아시아 초기철기문화의 병행관계와 연대 비정에 유용한 두형토기, 角狀把手土器, 시루 등의 토기류와 철부, 철촉, 五銖錢 등의 금속기 유물을 종합적으로 분석한 결과, 초기철기문화는 크게 4기로 구분된다. 조기에는 우릴 문화 1기, 교남문화 1기가 확인되는데 철기가 공반되지 않는 특징이 있다. Ⅰ기에는 東康類型 1기, 團結-크로우노브카 문화 1기, 얀콥스키 문화 2기가 병행한다. 초기철기 문화 Ⅱ기 전반에는 단결-크로우노브카 문화 2기, 泡子沿文化 2-1기, 동강유형 2기, 東興文化의 병행관계가 성립되며, 초기철기문화 Ⅱ기 후반에는 폴체 문화 2기와 滾兎嶺文化가 동시기로 판단된다. 그리고 초기철기문화 Ⅲ기에는 폴체 문화 3기, 鳳林文化 1~2기, 연해 주 폴체 문화 1~2기, 河口遺存 등이 시기적으로 병행된다. 특히 기원전 1세기부터 기원후 2세기의 초기철기문화 Ⅱ기에는 광역 교류망과 소지역간 교류망을 확인할 수 있었다. 전자의 사례로는 제2송화강 중상류지역의 포자연문화 요소가 흑룡강 중하류지역, 목단강 중하류역, 한•중•러 국경지역까지 영향을 준 것이며, 후자의 사례는 목단강 중하류지역과 한•중•러 국경지역, 삼강평원지역과 흑룡강 중하류지역 간의 물질문화의 상호작용이다.

영문 초록

The purpose of this paper is to look into the transition of the early iron age culture in Northeast Asia, through which to examine inter-regional parallel relations and ex¬change aspects. First, this paper roughly did regional division of Northeast Asia into the mid-downstream area of the 2nd Songhuajiang, mid-downstream area of the 1st Song¬huajiang, Sanjiang Plain area, mid-downstream area of Heilongjiang, mid-downstream area of Mudanjiang, and border areas between Korea, China and Russia. Also, this pa-per constructed the regional close chronology system on the basis of type composition and form change of earthenware which is sensitive to temporality, and particularly, this paper subdivided Yril culture into 3 phases and Primorie Poltse culture into 2 phases. As a result of doing a comprehensive analysis of the parallel relations of the early iron age culture in Northeast Asia, and earthenware artifacts such as high-footed earthenware, horn-shaped handle earthenware, and earthenware steamer, etc. which are useful for comparative estimation of the chronicle, and relics in the metal age like iron tool and weapon, ironhead and Wuzhueqian(a kind of coins), the first phase of the Dongkang type in the first phase of culture of the early iron age, the first phase of Tu¬anjie-Kroynovka culture, and the 2nd phase of Yankovski culture were found to form the parallel relations. It was found that in the first half of culture of the early iron age phase II, Tuanjie-Kroynovka culture phase II, Paoziyan culture phase II-I, and the Dong¬kang type were in parallel with each other; also, it is judged that in the second half of culture of the early iron age phase II, Poltse culture phase II and Guntuling culture might belong to the same period. In addition, in culture of the early iron age phase III, Poltse culture phase III, Fenglin culture phase I~II, Primorie Poltse culture phase I~II, and relict estuary, etc. are found to be in parallel with each other chronologically. Lastly, this paper found that during the culture of early iron age phase II which wit¬nessed the most active interchange aspects between regions, Paoziyan culture ele¬ ments in the mid-downstream area of the 1st Songhuajiang had an influence on the mid-downstream area of Heilongjiang, mid-downstream area of Mudanjiang, the bor¬der areas between Korea, China and Russia. This paper confirmed that the mid-down¬stream area of Mudanjiang, border areas between Korea, China and Russia, Sanjiang Plain area, and mid-downstream area of Heilongjiang were brisk in their interaction of material culture, especially between small areas.

목차

Ⅰ. 머리말
Ⅱ. 초기철기문화의 지역별 변천양상
1. 제2송화강 중상류지역(吉長地區)
2. 제1송화강 중류지역
3. 삼강평원지역(七星河流域)
4. 흑룡강(Амур) 중하류지역
5. 목단강 중하류지역
6. 한 · 중 · 러 국경지역
Ⅲ. 초기철기문화의 출토유물 및 연대 문제 검토
1. 출토유물의 검토
2. 러시아 극동지역 초기철기문화의 연대문제 검토
Ⅳ. 초기철기문화의 병행관계와 교류양상
Ⅴ. 맺음말
Abstract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교보e캐시 1,000원
TOP
인용하기
APA

유은식(Eunshik Yoo). (2017).동북아시아 초기철기문화의 병행관계와 교류양상. 한국상고사학보, (96), 71-115

MLA

유은식(Eunshik Yoo). "동북아시아 초기철기문화의 병행관계와 교류양상." 한국상고사학보, .96(2017): 71-115

결제완료
e캐시 원 결제 계속 하시겠습니까?
교보 e캐시 간편 결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