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추천 검색어

실시간 인기 검색어

학술논문

디지털과 문학 사이 – 융합의 사례 분석과 전망

이용수 378

영문명
Between Hypertext and Literature - Analysis of a Project and Prospect
발행기관
어문연구학회
저자명
정명교(Jeong Myeong-kyo)
간행물 정보
『어문연구』語文硏究 第91輯, 211~237쪽, 전체 27쪽
주제분류
어문학 > 한국어와문학
파일형태
PDF
발행일자
2017.03.30
6,040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1:1 문의
논문 표지

국문 초록

이 논문은 문학과 하이퍼텍스트의 융합의 필연성을 밝히고 그 한 사례를 소개, 분석한 것이다. 필자는 문자문화와 디지털 문화가 서로를 참조할 수밖에 없는 까닭을 설명하고그 상호참조의 인류학적 의의를 문학의 본성에 근거해 풀이하였다. 인류학적 의의라 한것은, 이 상호참조가 단순히 유희적이거나 실험적이라기보다 인류 문명의 바람직한 진화를 위해 필수불가결하다는 점을 가리키기 위해서다. 그러나 그렇기 때문에 이 일은 그만큼 어렵고 고통스러울 수밖에 없다. 그것을 필자는 ‘죽음을 담보로 자기 변혁을 꾀하는’ 문학의 최첨단적 실천이 문학의 근본적 본성에 해당하기 때문임을 밝혔다. 필자는 이러한 상호참조의 뜻에 비추어, 필자가 직접 시도했던 두 문화의 융합의 사례, 즉 ‘언어의 새벽: 하이퍼텍스트와 문화’의 내용을 소개하고 그 의의와 한계를 헤어 보았다. 이 사례는 ‘최초 의’ 시도라는 점에서 충분한 의의가 있었으나 그 실제적인 전개는 실패로 규정되었다. 필자는 그 실패의 의미를, 하이퍼텍스트이 방향에서, 문학의 방향에서, 그리고 제도의 방향 이라는 세 가지 측면에서 살펴보았다. 향후 다시 이러한 시도가 집단적인 차원에서 재개될 때 유의미한 정보로서 활용될 수 있을 것이다.

영문 초록

In this article, I describe the characteristics of the digital cultures and literature and the anthropological meaning of their relationship. In my opinion, the literature has been dreaming on the state of hypertext so that it could overcome the limit of the linearity of the letter and acquire all the possibility of the existence through the infinitely free writing. From the side of Hypertext, since its apparition, it has been continued to refer to the mode of being of the literature because that in the hypertext, users can easily lose their identities even if they do the hypertext practice in the desire of self-fulfillment by the effect of hypertextualization which leads the individuals to the continuous moving and deconstruction of the identity. So, it’s necessary to try to synthesize literature and hypertext and create new mode of art with texts. But this dialectical practice is very hard to be realized by the fact that it makes it necessary for the literature to approach close to its limit so that it would demand the its death for the renewal, and it also brings the hypertext users about the uncomfortable feelings through the self-reflection by the influence of the literary practice.In 1999 I made a first attempt in Korea of this sort of fusion through the Project named ‘The Daybreak of the language: Hypertext and Literature’ as the public service of the Ministry of Culture and Tourism. I look back on this experience for the examination of the achievement and the failure of this project and the obtainment of the lesson for the future challenge.

목차

1. 디지털 문화의 특성
2. 문학의 꿈으로서의 디지털
3. 하이퍼텍스트의 소망으로서의 문학
4. 융합 사례: ‘언어의 새벽’의 의미와 한계
5. 맺는 말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교보e캐시 1,000원
TOP
인용하기
APA

정명교(Jeong Myeong-kyo). (2017).디지털과 문학 사이 – 융합의 사례 분석과 전망. 어문연구, 91 , 211-237

MLA

정명교(Jeong Myeong-kyo). "디지털과 문학 사이 – 융합의 사례 분석과 전망." 어문연구, 91.(2017): 211-237

결제완료
e캐시 원 결제 계속 하시겠습니까?
교보 e캐시 간편 결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