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추천 검색어

실시간 인기 검색어

학술논문

백두산 정계비와 간도문제

이용수 633

영문명
The Monument of Mt. Baekdu and Gando(間島) Problem
발행기관
경인교육대학교 기전문화연구소
저자명
강석화(Kang, Seok Hwa)
간행물 정보
『기전문화연구』제32집, 181~203쪽, 전체 23쪽
주제분류
사회과학 > 지리학
파일형태
PDF
발행일자
2005.03.30
5,560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1:1 문의
논문 표지

국문 초록

조선전기에 북방지역의 여진인들을 몰아내고 4군과 6진을 개척한 후 우리나라의 북방경계는 통상 두만강과 압록강으로 인식되고 있다. 그러나 조선후기에 초피(貂皮)와 삼(蔘)을 구하기 위한 북방 지역 주민들과 청인들의 조선인들의 충돌사건이 빈발하였다. 청 정부에서는 양국간의 경계가 불명확하기 때문에 문제가 계속 생겨나는 것이라 보고 양국의경계를 조사하여 명백히 규정하기 위해 오라총관(烏喇摠管) 목극등(穆克登)을 파견하였다. 그는 백두산에 올라 압록강과 토문강의 수원을 스스 로 정한 뒤에 이른바 분수령(分水嶺) 위에 「서위압록 동위토문(西爲鴨綠東爲土門)」이라는 내용의 정계비를 세웠다. 이후 조선정부는 백두산과 압록강, 두만강 이남지역을 철저히 확보하였으며 토지가 활발히 개간되고 인구가 급격히 늘었다. 또 고대 국가의 옛 영역에 대한 관심이 높아졌으며 고대국가의 강역까지 회복해야 한다는 의식도 강해져 갔다. 19세기 후반에는 북변 지역 주민들의 간도 지역 이주도 급증하였다. 아울러 정계비에 기록된 토문강과 두만강이 서로 다른 것임을 알게 되자 양 국의 실제 경계는 두만강이 아니라 토문강이라는 주장이 널리 퍼졌다. 19세기 말의 간도(間島) 영유권 분쟁은 이러한 역사적․사상적 배경을 가진 것이었다.

영문 초록

From early 15th century, Joseon excluded Yeojin(女眞) parties from Pyeongan and Hamkyeong provinces and occupied Yalu river, Mt. Baekdu and Tuman river line as the northern frontier. After 17th century, the competition for ginseng between northern land Koreans and Manchurians were increased, the Emperor of Ching wanted define the borderline between Joseon and Ching. In 1712, a diplomatic official from Ching established a Monument stating Borderline between two countries lies from Yalu river on the east, to Tomun river on the west on Tomun river s head not on Tuman river s. As geographical informations on Mt. Baekdu had increased, it became clear to distinguish Tuman and Tomun rivers. In 19th century, many peasants migrated into the Gando region of Manchuria. They cultivated new farm land and formed village, but ching government didn t control or prohibited their work. In 1880 s Ching tried to assimilate these people into its nationality, but they resist it and insist that Tuman river and Tomun river are different and Gando region was the territory of Joseon, not of Ching. The groun of their maintenance was the monument of Mt. Baekdu which declared Tomun not Tuman .

목차

Ⅰ. 머리말
Ⅱ. 백두산 定界비의 설치
Ⅲ. 함경도와 평안도 북부지역의 개발
Ⅳ. 조선후기 북방영토의식의 확대
Ⅴ. 19세기 후반의 조․청 영토분쟁
Ⅵ. 맺음말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교보e캐시 1,000원
TOP
인용하기
APA

강석화(Kang, Seok Hwa). (2005).백두산 정계비와 간도문제. 기전문화연구, 32 , 181-203

MLA

강석화(Kang, Seok Hwa). "백두산 정계비와 간도문제." 기전문화연구, 32.(2005): 181-203

결제완료
e캐시 원 결제 계속 하시겠습니까?
교보 e캐시 간편 결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