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술논문
2015개정 실과교육과정에 기반한 예비교사 교육 방안 1) - 실과 식생활 영역 심화 강의에 대한 비교 분석 -
이용수 143
- 영문명
- Educational Methods of Preliminary Teachers Based on the Curriculum of Practical Arts Education Revised in 2015 - Comparative analysis of intensified class of dietary life area in practical arts education -
- 발행기관
- 한국실과교육학회
- 저자명
- 이성숙(Lee, Sung-sug)
- 간행물 정보
- 『한국실과교육학회지』제29권 제3호, 115~132쪽, 전체 18쪽
- 주제분류
- 사회과학 > 교육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16.09.30
4,960원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국문 초록
이 연구는 전국 교육대학교 실과 심화과정 식생활 영역의 운영 실태를 비교, 분석하여 예비교사 교육을 위한 기초자료를 제공하기 위해 실시하였으며 결론은 다음과 같다. 식생활영역 심화과정 강좌는 11개교에서 17개 과목이 개설되어 있었고, 대부분 이론과 실습을 병행하여 이루어지고 있었으 며, 이수 시기는 주로 7~8학기이었다. 개설 과목은 ‘식생활교육’, ‘조리과학 및 실습’, ‘식품ž영양’ 관련 과목으로 구분되었으며, 강의 목표는 ‘조리과학 및 실습’에서는 조리 방법 습득, 조리 능력 함양, 조리 시 식품의 변화, 실생활에 적용 능력 등이 주를 이루고 있었다. ‘식생활교육’에서는 식생활영역 교육 이론, 식생활 수업의 지도능력 함양이 가장 많았고 다음으로 영양학, 식품학, 조리학 관련 기초 이론, 바른 식생활 등이 주를 이루고 있었고, 미각교육이 새롭게 등장하고 있었다. 강의 내용은 조리과학 및 실습과 식품ž영양은 교과 내용학 이었으며, 강의 주제(강의 내용)는 ‘조리 실습’이 가장 많았고 다음으로 ‘식품별 조리 원리’가 주를 이루고 있었다. 교수학습 방법은 강의와 실습이 주로 활용되고 있었으며, 평가 방법은 지필 평가가 가장 많았다. 2015 개정 실과교육과정 식생활 영역 과의 연계성을 분석한 결과 ‘조리과학 및 실험’관련 과목은 ‘균형 잡힌 식생활’, ‘식재료의 특성과 음식의 맛’ 내용이 미흡하고 ‘식생활교육’관련 과목은 3영역을 골고루 포함하고 있었다. 이상의 결과를 바탕으로 실과 심화과정 식생활 영역의 강의 구성은 ‘식생활교육’과 ‘조리과학 및 실습’으로 3학점씩 2과목으로 하는 것이 적당하며, 1과목일 경우에는 ‘식생활교육’이 적합할 것으로 보인다. ‘식생활교 육’은 식생활교육론, 식품, 조리, 식문화, 안전, 미각교육 등이 골고루 포함되도록 구성하고, ‘조리과학 및 실습’은 조리과학, 조리 원리, 미각 교육을 포함한 실습 위주의 교과목을 구성하는 것이 바람 직할 것으로 보인다. 특히 2015 개정 실과교육과정 식생활 영역의 중점 사항인 안전과 미각교육에 대한 보완이 필요하다.
영문 초록
This study compared and analyzed the operation conditions of dietary life areas in intensified course of practical arts education in national university of education in Korea in order to provide basic materials for preliminary teachers education and the results of the study were as follows. Intensified course class of dietary life area includes 17 subjects in 11 universities with theory and practice for 7~8 semesters. Subjects opened included Dietary Life Education , Cooking Science and Practice , and Food·Nutrition (Education) and these classes aimed at acquiring cooking methods, improving cooking abilities and developing cooking abilities to apply to real life at Cooking Science and Practice . ‘Dietary Life Education’ focused on educational theory of dietary life area and teaching ability of dietary life class, followed by education of basic theories of nutrition, food, cooking, and right dietary life, and education of taste appears newly. The contents of classes included curriculum contents in cooking science and practice, and food and nutrition (education), and the themes of classes were mainly cooking practice , followed by cooking principles of food . Lecture and practice were used as teaching and learning methods and paper test was mainly used as evaluation method. As a result of analyzing the connectivity with dietary life area of practical arts education curriculum revised in 2015, the subjects related to ‘cooking science and experiment’ showed the lack of contents in balanced dietary life , characteristics of food materials and taste of food and included three areas in the subject related to dietary life education . It seems to be desirable that classes of dietary life area based on the above results consist of dietary life education and cooking science and practice with three credits respectively for two subjects and dietary life education is good for one subject. It will be desirable that ‘dietary life education’ should be composed to include the theory of dietary life education, food, cooking, dietary culture, safety and taste education, cooking science and practice to include cooking science, cooking principles and taste education. Especially, complement for safety and taste education, major items of dietary life area of practical arts education revised in 2015, is needed.
목차
I. 서론
II. 이론적 배경
III. 연구의 내용 및 방법
IV. 연구의 결과
V. 결론 및 제언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 교육대학교 실과 심화과정의 기술영역 운영 현황 분석
- 지식기반사회에 있어서 초등의 뇌 기반 창의적 공학기술-디자인 융합교육 프로그램 개발 및 효과
- 예비 초등교사 대상 식생활교육 프로그램 개발 및 효과 평가
- 초등 예비교사의 프로그래밍 학습 경험에 따른 프로그래밍 인식 및 이미지 변화
- 2015개정 실과교육과정에 기반한 예비교사 교육 방안 1) - 실과 식생활 영역 심화 강의에 대한 비교 분석 -
- 실과 목공 활동에 대한 감성적 이미지 분석과 미래 지향적 방향
- 발명 기반 STEAM(융합인재) 교육 프로그램이 초등 발명영재의 융합인재소양에 미치는 효과
- 실과 기술 영역의 교과 역량 증진을 위한 교육과정 실행 방안
- 소프트웨어 교육에 대한 초등교사의 교육요구도 분석
- 통합교과 기반 ‘학교 교육형’ 도시농업이 초등학생의 감성지수에 미치는 영향
참고문헌
관련논문
사회과학 > 교육학분야 BEST
더보기사회과학 > 교육학분야 NEW
- 군집분석을 이용한 농촌 청년 활성화 지역 특성 분석
- 말산업 전문인력 양성기관(고등학교) 교사의 ICT 리터러시와 ICT 활용 수업 의도 관계 분석
- 영성지능이 영역초월행동에 미치는 영향: 일의 의미와 자기효능감의 매개효과를 중심으로
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