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추천 검색어

실시간 인기 검색어

학술논문

초등 예비교사의 실과와 실과수업에 대한 이미지: ‘실과교수법’ 강의의 효과 분석

이용수 41

영문명
Pre-service Elementary Teachers’ Image about ‘Practical Arts’ and ‘Practical Arts’ Instruction: Analysis on Effects of ‘Practical Arts Instructional Method’ Course
발행기관
한국실과교육학회
저자명
문대영(Moon, Dae-Young)
간행물 정보
『한국실과교육학회지』제29권 제4호, 173~190쪽, 전체 18쪽
주제분류
사회과학 > 교육학
파일형태
PDF
발행일자
2016.12.30
4,960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1:1 문의
논문 표지

국문 초록

이 연구는 실과교수법 강의를 통해 초등 예비교사의 실과와 실과 수업에 대한 이미지가 어떻게 변화되었는지 확인하기 위하여 수행되었다. 이 연구의 대상은 유의적 표집에 의해 선정되었으며 A 교육대학교 3학년 3개 분반을 대상으로 하였다. 대상 학생 중에서 사전 조사와 사후 조사에 모두 응답한 학생은 78명이었다. 이 연구에서 사용한 검사 도구는 Thomas 등(2001)이 개발한 DASTT-C를 실과교육 맥락에서 수정, 재구성하여 실과교수법 강의 전․후에 각각 적용하였다. 이 연구에서 확인된 주요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실과교수법 강의 전에 실과의 교육 내용 및 활동과 관련된 단어 중심으로 형성된 초등 예비교사의 이미지가 실과교수법 강의 후에는 실과의 특성 및 가치와 관련된 단어 중심 으로 변화되었음을 알 수 있었다. 둘째, 실과교수법 강의 전 학생중심 28명, 미분류 18명, 교사중심 32명으로 확인된 교수관이 실과교수법 강의 후에 학생중심 57명, 미분류 10명, 교사중심 11명으로 변화되었다. 즉, 실과 교수법 강의 후에 예비교사는 학생중심 교수관을 형성하게 되었음을 확인할 수 있었다.

영문 초록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xplore pre-service elementary teachers’ image about ‘practical arts’ and ‘practical arts’ instruction and to compare changes in images and perspectives of pedagogy between before and after ‘practical arts instructional method’ course. To accomplish this purpose 3 classes were sampled with purposive sampling and 78 pre-service elementary teachers were selected. To explore pre-service elementary teachers’ image about ‘practical arts’ and ‘practical arts’ instruction DASTT-C(Thomas etc, 2001) was reconstructed and applied as a survey tool. Pre-test and post-test were conducted before and after ‘practical arts instructional method’ course. The main results of this study were as follows: First, pre-service elementary teachers’ image about ‘practical arts’ was formed base on content and activity of practical arts subject before ‘practical arts instructional method’ course. After ‘practical arts instructional method’ course, pre-service elementary teachers’ image about ‘practical arts’ was changed to trait and value of practical arts subject. Second, pre-service elementary teachers’ perspectives of pedagogy about ‘practical arts’ instruction was turned out as student-oriented (28), unclassified (18), and teacher-oriented (32). After ‘practical arts instructional method’ course, pre-service elementary teachers’ perspectives of pedagogy about ‘practical arts’ instruction was changed to student-oriented (57), unclassified (10), and teacheroriented (11). ‘Practical arts instructional method’ course was effective to set pre-service elementary teachers’ student-oriented perspectives of pedagogy.

목차

Ⅰ. 서 론
Ⅱ. 이론적 배경
Ⅱ. 연구 방법
Ⅲ. 연구 결과
Ⅳ. 결론 및 제언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교보e캐시 1,000원
TOP
인용하기
APA

문대영(Moon, Dae-Young). (2016).초등 예비교사의 실과와 실과수업에 대한 이미지: ‘실과교수법’ 강의의 효과 분석. 한국실과교육학회지, 29 (4), 173-190

MLA

문대영(Moon, Dae-Young). "초등 예비교사의 실과와 실과수업에 대한 이미지: ‘실과교수법’ 강의의 효과 분석." 한국실과교육학회지, 29.4(2016): 173-190

결제완료
e캐시 원 결제 계속 하시겠습니까?
교보 e캐시 간편 결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