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추천 검색어

실시간 인기 검색어

학술논문

핵심역량 관점에서 본 실과 교육과정의 이해 -1955~1987년 1~5차 실과교육과정을 중심으로-

이용수 277

영문명
Understanding Practical Arts Curriculum from Core Competency Perspective
발행기관
한국실과교육학회
저자명
고인규(Go, In-Gyu) 최지연(Choi, Ji-Yeon)
간행물 정보
『한국실과교육학회지』제29권 제4호, 23~41쪽, 전체 19쪽
주제분류
사회과학 > 교육학
파일형태
PDF
발행일자
2016.12.30
5,080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1:1 문의
논문 표지

국문 초록

이 연구의 목적은 핵심역량의 관점에서 1차부터 5차 교육과정까지의 실과교육과정 내용을 분석하고 이를 통해 지금의 실과 교육에서의 핵심역량을 도출하는 것이었다. 이 연구에서는 빅데이터 분석 방법 중 하나인 네트워크 분석 방법을 적용하여 교육과정에서 사용된 단어의 연관성을 분석한 후 이를 근거로 각 교육과정의 핵심 역량을 도출하였다. 연구의 결과로 도출된 핵심역량은 컴퓨터 활용 능력, 생활 실천 능력, 합리적 소비판단 능력, 생활 기능 능력, 설계 공작 능력, 생활 관리 능력, 산업 사회 및 직업 문해, 관계 형성 능력, 공동체 역량, 여가 선용 능력 이었다. 1차부터 5차 교육과정의 분석을 통해 도출된 역량은 크게 4가지 관점에서 논의될 수 있는데 이는 2015 개정 교육과정에서 처음으로 제시된 실과 교과역량과도 연관되어 있다. 먼저 생활 기능 능력, 설계·공작 능력은 기능적 측면에서 2015 개정 교육과정에서는 제시되지 않은 새로운 하나의 역량으로 제시될 수 있을 것이다. 합리적 소비판단 능력, 생활 관리 능력, 생활 실천 능력은 2015 교육과정의 생활자립능력이나 실천적 문제해결능력과 관련하여 또 다른 역량으로 제시될 수 있을 것이다. 공동체 역량, 관계형성능력은 2015 개정교육과정에서의 관계 형성능력과 관련하여 대안적 용어로 사용될 수 있을 것이다. 산업 사회 및 직업 문해, 여가 선용 능력은 산업 사회와 직업의 세계 이해 및 여가 선용이라는 실과의 새로운 역량이 될 수있을 것이다. 컴퓨터 활용 능력 역시 실과에서 소프트웨어 교육의 전격적 도입과 관련하여 실과 고유의 역량으로 고려될 수 있을 것이다.

영문 초록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analyze the content of the practical arts curriculum from the first to the fifth curriculum in terms of core competencies and to derive core competencies in the present practical arts education through this. In this study, we applied the network analysis method, one of the big data analysis methods, to analyze the relevance of words used in the curriculum. The core competencies derived from the research are computer literacy, life practice ability, reasonable consumption judgment ability, life function ability, design work ability, life management ability, industrial society and job literacy, relationship formation ability, community ability, leisure ability. Competencies derived through the analysis of curriculum can be discussed in four perspectives. This is also related to the competencies for the first time presented in the 2015 revised curriculum. Life functioning ability, designing and engineering ability can be presented as a new competencies that is not presented in the 2015 revised curriculum in terms of function. Reasonable consumption judgment ability, life management ability, and life practice ability can be presented as another ability related to the ability of living in 2015 curriculum and solving practical problems. Relationship formation ability, community ability could be used in alternative terms in relation to the competencies to build relationships in the 2015 revised curriculum. Industrial society and job literacy and leisure ability can be new competencies of practical arts. Computer literacy can also be a new competency of practical arts.

목차

Ⅰ. 서 론
Ⅱ. 이론적 배경
Ⅲ. 연구 방법
Ⅳ. 연구 결과
Ⅴ. 요약 및 결론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교보e캐시 1,000원
TOP
인용하기
APA

고인규(Go, In-Gyu),최지연(Choi, Ji-Yeon). (2016).핵심역량 관점에서 본 실과 교육과정의 이해 -1955~1987년 1~5차 실과교육과정을 중심으로-. 한국실과교육학회지, 29 (4), 23-41

MLA

고인규(Go, In-Gyu),최지연(Choi, Ji-Yeon). "핵심역량 관점에서 본 실과 교육과정의 이해 -1955~1987년 1~5차 실과교육과정을 중심으로-." 한국실과교육학회지, 29.4(2016): 23-41

결제완료
e캐시 원 결제 계속 하시겠습니까?
교보 e캐시 간편 결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