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추천 검색어

실시간 인기 검색어

학술논문

요ㆍ금ㆍ동하ㆍ원의 도성을 통해 본 발해 상경의 제문제

이용수 220

영문명
발행기관
백산학회
저자명
정석배
간행물 정보
『백산학보』第103號, 1~36쪽, 전체 36쪽
주제분류
인문학 > 역사학
파일형태
PDF
발행일자
2015.12.30
7,120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1:1 문의
논문 표지

국문 초록

발해의역사에서上京은가장중요한정치적 문화적중심지였다. 그런데상경은발해에뿐만 아니라遼와金그리고東夏에도있었다. 元에는상경은아니나그와뜻이비슷한上都가있었다. 唐에서도 마지막 순간에는 수도를 상도라 불렀다. 이 글에서는 요, 금, 동하, 원의 상경 혹은 상도를 각 京혹은 都들과 함께 살펴보고 그리고 당 상도도 참고하여 발해 상경과 관련된 몇가지 문제들을 다양한 측면에서 고찰해 보았다. 각 나라 도성들의 상대적 위치에 대한 분석은 요와 금의 도성제가 발해의 도성제와 매우 긴밀한 구조적 유사성을 가지고 있음을 보여 주었다. 예를 들어, 발해, 요, 금의 5경 혹은 6경은 모두 十자 방위구도를 가지고 있고, 상경은 가장 북방에, 중경 혹은 중도는 교차지점에, 동경, 서경, 남경은 상응하는 각 방위 지점에 각각 위치한다. 하지만 당의 5경은 십자 방위구도를 가지는 것은 사실이나 십자 교차 지점에 상도가 위치하고 가장 북쪽에 북경이 배치되어 발해 및 요, 금과는 내용상에 있어 큰 차이를 보여 주었다. 원은 카라코롬 이후 상도와 대도라는 양경제를 채택하였지만 상도가 북방에 배치된 점은 발해, 요, 금과 동일한 양상이라고 하겠다. 상경 혹은 상도의 평면 형태와 전체적인 구조는 발해 상경성과 당 상도 장안성이 서로 가장 가깝다. 평면형태는요상경성은日자모양, 금상경성은‘ ’자모양, 동하상경성은준삼각형인데 비해 발해 상경성과 당 상도 장안성은 북쪽 가운데 혹은 북동쪽 가운데가 튀어나온 장방형이다. 도성의구조는요와금상경성은내부가둘로나뉜점, 2중성인점, 궁성의위치가금상경성의 경우 남서쪽에 배치된 점 등이 발해 및 당의 것과는 차이를 보인다. 발해 상경성과 당 상도 장안성은 3중성인 점, 강조된 남북 중심축, 정연한 내부 구획 등이 서로 매우 유사하다. 성벽부속시설은 요와 금 그리고 동하의 상경성과 원 상도는 외성과 내성이 차이를 보이기는 하나대체로치와옹성시설을가지고있어, 이런시설들이없는발해상경성과는차이를보인다. 외곽성의규모는발해상경성이16,293m, 요상경성이6,398m, 금상경성이10,963m, 동하상경성이 약 7,000m, 원 상도가 약 8,800m로서 상경과 상도 중에서는, 당 상도 장안성을 제외하면, 발해 상경성이 가장 크다. 하지만 요에서는 중경성이 15,400m, 금에서는 중도가 18,690m 혹은 16,963m, 원에서는 대도가 28,600m로서 각국의 상경 혹은 상도보다 훨씬 더 큰 규모를 보이는 점은 상경성이 가장 큰 규모를 보이는 발해와는 다른 점이다. 각 나라 상경 혹은 상도의 설치 순서에 대한 고찰은 발해에서 상경이 구국 다음으로는 가장 먼저 설치되었을 수도 있다는 가능성을 보여 주었다. 예를 들어, 요와 금 그리고 동하에서는 상경이, 원에서는발해의구국에해당되는카라코롬을제외하면상도가각각가정먼저설치되었다. 발해에는 중경, 상경, 동경의 경우 설치시기가 아니라 천도시기에 대해서만이 알려져 있다. 때문에 천도를 한 시기는 중경이 비록 빠르나 설치시기는 상경이 먼저일 수도 있다고 생각된다. 상경 및 상도의 위상과 관련해서는 발해와 요에서는 상경이 줄곧 가장 중요한 도성이었지만 금과 원에서는 처음에는 상경과 상도가, 나중에는 이와 다른중도와남경, 대도가 각각 제1수도 역할을 하여 발해 및 요와는 약간 차이를 보인다. 상경이라는 용어는 후한서 조선전 에 한무제와 관련하여 처음 등장하지만 당시에는 실제상경이라는도성이존재하지않았다. 상경이실제도성의명칭으로사용된것은발해가처음이었다. 당이 장안성이 있는 수도 경조부를 762년부터 상도라 부르기는 하였으나 발해가 상경으로 천도한것은이보다이른755년혹은756년이었다. 어쩌면당이발해의예를따라수도경조부를 상도라고 부르기 시작하였을 수도 있을 것이다. 발해 당시 상경이 상경으로 불리고 있었음은 발해사신 왕효렴이 814년에 일본에서 지은 시에 보이는 ‘상경에서처럼 심히 취하였네’라는 한구절을 통해 파악된다.

영문 초록

목차

Ⅰ. 머리말
Ⅱ. 요․금․동하․원의 도성
Ⅲ. ‘상경’과 ‘상도’를 통해 본 발해 상경
Ⅳ. 맺음말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교보e캐시 1,000원
TOP
인용하기
APA

정석배. (2015).요ㆍ금ㆍ동하ㆍ원의 도성을 통해 본 발해 상경의 제문제. 백산학보, (103), 1-36

MLA

정석배. "요ㆍ금ㆍ동하ㆍ원의 도성을 통해 본 발해 상경의 제문제." 백산학보, .103(2015): 1-36

결제완료
e캐시 원 결제 계속 하시겠습니까?
교보 e캐시 간편 결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