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추천 검색어

실시간 인기 검색어

학술논문

송눈평원지역 눈강유역 청동기~초기철기시대 유적의 특징과 문화 변화 양상 고찰

이용수 91

영문명
A Study on character of sites and aspect of cultural change in Songnun Plains area Nen River basin from the Bronze Age to the Early Iron Age
발행기관
백산학회
저자명
이종수(Lee Jongsu)
간행물 정보
『백산학보』第103號, 119~null쪽, 전체 -118쪽
주제분류
인문학 > 역사학
파일형태
PDF
발행일자
2015.12.30
3,000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1:1 문의
논문 표지

국문 초록

이 글은 송눈평원지역 눈강유역의 청동기시대부터 초기철기시대에 해당하는 주요 유적의 문화내용상 특징과 문화 변화 양상을 파악하여 부여 문화의 기원을 찾아보고자 하는 목적으로 작성되었다. 지금까지 조사된 유적은 평양묘장을대표로 하여 대략 15곳에 이른다. 이들 무덤의 연대는 전, 중, 후기로 나눌 수 있는데, 전기는 기원전 6~5세기, 중기는 기원전 4~3세기 중반, 후기는 기원전 3세기 후반~기원 전후이다. 전기에 나타나는 문화 변화 양상은 백금보문화에서 한서이기문화로 전환되면서 나타나는 문화내용상의 변화와 더불어 북방초원지역의 일부 문화요소가 유입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특히 동물문 청동패식은 당시 오르도스지역과 장성이북일대에서 활동하고 있던 유목민족들과 밀접한 관련이 있는 유물로 두 지역간의 문화 교류를 설명해 주고 있으며, 이러한 문화요소는 서요하유역을 통해 유입되고 있다. 중기는 한서이기문화가 정착되는 단계에 해당되며, 이 시기에도 지속적으로 북방초원문화요소가유입되고있다. 후기는다양한종류의철기가수용되고, 압형호가등장하며, 금실로매듭을 엮어서 만든 귀걸이와 타원형 쌍양동포 등 새로운 종류의 북방초원지역 문화요소가 유입되는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들 유물은 당시 북방초원지역에서 생활하던 동호 혹은 흉노와 밀접한 관련이있다. 당시장성이북지역에거주하던동호가흉노의침입으로와해되자, 그유이민집단이 대거 북쪽으로 이동하면서 눈강유역에 문화적 충격을 가한 것으로 파악된다. 이러한 두 차례에 걸친 눈강유역의 문화 변이는 북방초원문화를 영유하던 유목계 종족의 집단이주라기 보다는 기존 토착집단이 전통적인 문화를 유지해가는 가운데 시간적 추이에 따라새로운 문화가 유입된 결과로 볼 수 있다. 이러한 문화적 기반은 이후 북이 탁리국의 왕자였던 동명이 남하하여 부여를 건국하게 되면서 부여문화 내용 속에 북방문화요소가 깊게 자리하게 된 배경이 된다. 그 결과 부여를 대표하는 유적인 노하심고분군에 그대로 반영되어 나타나게된다.

영문 초록

In order to find the origin of Buyeo culture, this paper was written to look at the process and to consider the character of sites in Songnun Plains area Nen River basin from the Bronze Age to the Early Iron Age. The sites were confirmed in Songnun Plains area Nen River basin are 15 sites including Pyongyang tomb. The period of this tombs can be divided, the early term is the 6-5 century B.C, the middle term is the 4-3 century B.C and the late term is from the latter half or the third century B.C to about B.C. The aspect of cultural change in the early term can be characterized as the changes of culture from the Baijinbao(白金寶) culture to Hanshu(漢書) two stage culture and inflow of the north grassland culture elements. Particularly, Zoomorphic patterns bronze Plaque is closely related to nomadic tribe at Ordos area, Great Wall north area and explain about cultural exchange among two area. These culture elements were flowed in through the West Liao-ho River. The middle term was a period that Hanshu(漢書) two stage culture was stable, also it was flowed in the north grassland culture elements consistently. The aspect of cultural change in the late term can be characterized as inflow of new kinds of the north grassland culture elements like the various kind of buried ironware, appearance of the pressed pattern jar, the earrings made by weaving the knots in gold and the oval pair copper bell etc. These artifacts are closely related to Dong-hu and Xiongnu in the north grassland area. As soon as Xiongnu conquest Dong-hu that lived in northeast area of Great Wall north, the drifting people move to the north and it raise culture shock in Nen River basin. These two times of cultural change in Nen River basin is not a Dong-hu drifting people’s mass migration but the result of inflow of new culture while the existing indigenous groups are maintaining traditional culture. Considering that Dongmyung who was a prince of Takri country established Buyeo Kingdom, the culture of Buyeo based on the Northern grassland culture. As the result, Laoheshen tombs which represented Buyeo culture reflected the Northern grassland culture.

목차

Ⅰ. 머리말
Ⅱ. 주요유적
Ⅲ. 유적의 편년과 특징
Ⅳ. 문화 변화 양상 검토
Ⅴ. 맺음말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교보e캐시 1,000원
TOP
인용하기
APA

이종수(Lee Jongsu). (2015).송눈평원지역 눈강유역 청동기~초기철기시대 유적의 특징과 문화 변화 양상 고찰. 백산학보, (103), 119-null

MLA

이종수(Lee Jongsu). "송눈평원지역 눈강유역 청동기~초기철기시대 유적의 특징과 문화 변화 양상 고찰." 백산학보, .103(2015): 119-null

결제완료
e캐시 원 결제 계속 하시겠습니까?
교보 e캐시 간편 결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