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추천 검색어

실시간 인기 검색어

학술논문

14C연대 분석을 통해 본 후기 구석기시대 편년 시론

이용수 248

영문명
Preliminary Study of the Upper Paleolithic Chronology through Analysis of Radiocarbon Dating at Gyeonggi-Do, Korea
발행기관
백산학회
저자명
소상영(So Sangyoung) 이정철(Lee Jungchul)
간행물 정보
『백산학보』第103號, 31~56쪽, 전체 26쪽
주제분류
인문학 > 역사학
파일형태
PDF
발행일자
2015.12.30
4,280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1:1 문의
논문 표지

국문 초록

최근 우리나라 학계에서는 14C연대에 대한 관심과 활용도가 점차 증가하는 추세이지만, 아직후기 구석기시대에 대한 관심은 높지 않다. 이는 우리나라 구석기 유적의 특성상 시료가 명확한 유구에서 채집된 경우가 거의 없고, 시료의 종류도 토양인 경우가 많아 14C연대의 신뢰도에 대한 평가의 어려움에 기인한다. 이에 본고에서는 경기도 지역 후기 구석기시대 유적의 14C연대를 평가하는 기준을 마련하여 신뢰도가 높은 연대를 채택한 후 이 자료의 분석을 통해 분기 설정을 시도하였다. 14C연대 평가결과 문화층에서 측정된 79개의 연대 중 44개가 채택되었다. 이를 교정연대의 범위와 평균연대등을 고려하여 먼저 5단계로 구분한 후 석기공작과의 비교를 통해 4분기로 구분하였다. 모든 시기에는 석영계 소형석기가 우세하게 확인된다. Ⅰ기(40,000~31,000calBC)에는 중기 구석기시대의 대형석기가 유지되며, 긴격지를 활용한 슴베찌르개 및 돌날기법이 등장한다. Ⅱ기(30,000calBC) 전후에는 돌날 이용 석기(슴베찌르개)가 확인되며, 대형석기는 급감한다. Ⅲ기(26,000~21,000calBC)에는 석영계 소형석기의 다양화, 돌날 이용 석기(밀개 등)의 증가, 좀돌날기법(흑요석 중심)이 등장한다. Ⅳ기(20,000~17,000calBC)는 Ⅲ기와 유사한 석기공작이 유지되나, 석영계 소형석기는 더욱 소형화되고 좀돌날 석기에는 흑요석 외의 기타 돌감이 증가한다. 본고의 분석에 사용된 14C연대 44개는 충분한 숫자라고 하기 어려워 분기설정은 시론적인성격이 강하다. 또한 23개의 연대가 남양주 호평동 유적에 집중된 것과 15,000BP 내외의 연대가 분석에 포함되지 못한 문제도 있다. 하지만 14C연대의 흐름에 따른 석기공작의 변화양상과 문화층의 세분화 가능성을 확인한 것은 후기 구석기시대 편년연구에 14C연대측정법 활용의 중요성을 보여준다.

영문 초록

Recently in Korean archaeology, interest and utilization of 14C age is gradually increasing, however interest in Upper Paleolithic still is not high. Here, this research prepared the standard to evaluate Upper Paleolithic 14C age, chose the age of high reliability, and attempted quarter set-up through the analysis of this material analysis. As the result of evaluating 14C age of Upper Paleolithic sites in Gyeonggi-do region, 44 among 79 ages, which were measured in occupation layers, were selected. This research divided these into 4 quarters through comparison with stone-tools industry after dividing into 5 stages considering scope of calibrated age. In the Ist period(40,000~31,000calBC), meanwhile heavy duty tools was continued during Middle Paleolithic, tanged point utilizing long flake and blade technique appeared, around the Ⅱnd period(30,000calBC), blade utilization stone tool(tanged point) was identified, while heavy duty tools rapidly decreased. In the Ⅲrd period(26,000~21,000 calBC), blade utilization stone tools(end-scraper, etc.) increased, also, micro-blade technique (mainly with obsidian) appeared. In Ⅳth period(20,000~17,000calBC), stone tools industry similar to Ⅲ rd period was maintained, however in micro-blade technique other stones except obsidian were mainly utilized. 44 14C age utilized in this research analysis is not enough number, accordingly, quarter set-up has a strong preliminary characteristic. Also, there are problems that 23 ages were concentrated in Hopyeong site in Namyangju and the ages within 15,000BP were not included in analysis. However, the point that this research determined change aspect of stone tools industry along with the stream of 14C age and possibility of segmentalization of layer shows the significance of 14C age mensuration utilization in Upper Paleolithic chronology research.

목차

Ⅰ. 머리말
Ⅱ. 14C연대의 평가와 분석
Ⅲ. 석기공작을 통한 14C연대 단계 검토
Ⅳ. 맺음말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교보e캐시 1,000원
TOP
인용하기
APA

소상영(So Sangyoung),이정철(Lee Jungchul). (2015).14C연대 분석을 통해 본 후기 구석기시대 편년 시론. 백산학보, (103), 31-56

MLA

소상영(So Sangyoung),이정철(Lee Jungchul). "14C연대 분석을 통해 본 후기 구석기시대 편년 시론." 백산학보, .103(2015): 31-56

결제완료
e캐시 원 결제 계속 하시겠습니까?
교보 e캐시 간편 결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