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추천 검색어

실시간 인기 검색어

학술논문

국내 박물관에서의 모바일 러닝 현황 분석연구

이용수 1009

영문명
The Status Quo Analysis of Museum Mobile Learning in Korea
발행기관
한국미술교육학회
저자명
강인애(In Ae Kang) 이소현(So Hyun Lee)
간행물 정보
『미술교육논총』美術敎育論叢 第30券 2號, 29~62쪽, 전체 34쪽
주제분류
예술체육 > 미술
파일형태
PDF
발행일자
2016.06.30
6,880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1:1 문의
논문 표지

국문 초록

디지털 시대에 무선 인터넷을 기반으로 한 모바일 테크놀로지의 급속한 발전은 교육 분야에도 막강한 영향을 미치면서 학교 교육 뿐 아니라 비형식 교육의 대표적 기관인 박물관에서도 모바일 러닝에 대한 관심과 실천이 이어지고 있다. 이에 본 연구는 국내 박물관의 교육 분야에서 이루어지고 있는 모바일 러닝 현황을 분석하고자, 그 연구 대상을 2013년부터 2015년까지 문화체육관광부 정책 사업 ‘박물관 길 위의 인문학’ 에 참여한 전국 국·공·사립·대학박물관 중 모바일 기기 및 앱을 활용하여 박물관 체험활동을 진행한 총 62개의 ‘스마트 교육’ 사례들로 하였다. 이를 위해 먼저 모바일 러닝에 대한 개념과 박물관에서 모바일 러닝의 선행연구 분석을 통해 박물관에서의 모바일 러닝의 분석틀을 마련하고, 그 분석틀 (기술적 측면과 페다고지적 측면으로 구성)에 따라 박물관에서의 ‘스마트 교육프로그램 수업지도안’을 분석하였다. 그 결과, 박물관 모바일 러닝은 제공되는 태블릿 PC와 앱을 활용하여 기기 활용에 주안점을 두고 있는 프로그램이 대다수였다. 물론 프로젝트 기반학습, 모둠학습을 중심으로 페다고지적 특징을 접목하여, 기술적, 페다고지적으로 통합된 형태의 프로그램을 운영하고 있는 프로그램도 있었지만, 아직은 모바일 러닝을 모바일 기기와 기술을 활용하는데 치우쳐있는 경향이 있었다. 이에 ‘상시성’, ‘개별성’, ‘상호작용성’의 모바일 러닝의 페다고지적 특성을 덧붙여져 진정한 ‘박물관 모바일 러닝’으로서의 모습으로 진행되어야할 필요를 확인할 수 있었다. 이를 위해 학교와 박물관의 연계한 모바일 러닝 확산, 박물관 교육담당자 대상 연수 제공, 박물관의 물리적 환경 재정비 등도 동시에 고려되어야 할 것이다.

영문 초록

The rapid development of mobile technology along with wireless internet services in the Digital age has influenced enormously to bring out educational paradigm shift, which lead to lots of attention toward practices of mobile learning in museum as the representative organization of informal learning. In this context, this study aimed to examine the status quo of museum mobile learning in Korea, for which, the total 62 museum education programs conducted under the name of ‘smart learning’ funded by the Ministry of Culture, Sports, and Tourism since 2013 to 2015 have been analyzed as the research subjects of this study. For the purpose, this study started with defining the meaning of mobile learning in general, along with the analysis of the previous research on museum mobile learning, from which an analytical framework was generated to the status quo analysis of the museum mobile learning in Korea. Lesson plans of the museum mobile learning from the 62 museums were, then, analyzed according to the analytical framework which was consisted of technological and pedagogical aspects. The results showed that while most museum mobile learning approached the mobile learning simply as the use of mobile devices and apps in education, they, simultaneously, tried to add pedagogical approaches such as problem solving and collaborative learning to their mobile learning programs, hence, integrating technology with pedagogy. This study also included to present several issues and concerns to be considered for more active practice of museum mobile learning in Korea.

목차

요약
Ⅰ. 서론
Ⅱ. 모바일 박물관교육
Ⅲ. 연구방법
Ⅳ. 국내 박물관의 모바일 러닝 현황
Ⅴ. 결론
참고문헌
Abstract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교보e캐시 1,000원
TOP
인용하기
APA

강인애(In Ae Kang),이소현(So Hyun Lee). (2016).국내 박물관에서의 모바일 러닝 현황 분석연구. 미술교육논총, 30 (2), 29-62

MLA

강인애(In Ae Kang),이소현(So Hyun Lee). "국내 박물관에서의 모바일 러닝 현황 분석연구." 미술교육논총, 30.2(2016): 29-62

결제완료
e캐시 원 결제 계속 하시겠습니까?
교보 e캐시 간편 결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