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추천 검색어

실시간 인기 검색어

학술논문

다문화미술교육에서 상호문화미술교육으로의 전환 - ‘상호문화성’에 관한 현상학적 사유를 중심으로 -

이용수 1047

영문명
A Study on Rethinking Multicultural Art Education Based on Phenomenological Concept of Interculturality
발행기관
한국미술교육학회
저자명
이은영(Lee, Eun young)
간행물 정보
『미술교육논총』美術敎育論叢 第30券 1號, 29~54쪽, 전체 26쪽
주제분류
예술체육 > 미술
파일형태
PDF
발행일자
2016.03.30
5,920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1:1 문의
논문 표지

국문 초록

본 연구는 다문화미술교육에서 도출되는 난점을 상호문화 철학에서 주목한 ‘상호문화성’ 개념을 통해 풀 수 있음을 검토하고, ‘다문화성’ 중심의 다문화미술교육이 ‘상호문화성’ 중심의 상호문화미술교육으로 전환해야 함을 모색한 것이다. 연구자가 문화와 상호문화성에 접근하는 배경은 유럽을 중심으로 실현되어 온 상호문화 철학에 기반하며, 상호문화성에 대한 현상학적 사유를 중심으로 하였다. 다문화미술교육은 자문화중심주의에서 동화를 유도하거나 차이를 전제하고 다문화를 병존하는 데 머문다는 문제점을 드러낸다. 연구자는 문헌연구를 종합하여 다문화미술교육의 난점을 문화의 다차원적 속성과 사람 중심 다문화적 실존의 부재, 타자의 목소리가 배제될 수 있다는 점으로 요약하였다. 그리고 이러한 난점은 현상학적 관점의 ‘상호문화성’을 통해 극복이 가능함을 탐색하고, 다문화미술교육이 상호문화미술교육으로 전환해야 함을 제안하였다. 상호문화성은 중심과 경계를 설정하지 않은 동등한 문화들이 만나 타자의 목소리를 듣고 소통하는 사이 영역에서 벌어지는 교차적 경험으로, 상호주체의 문화적 생동과 창조를 실현할 수 있다. 연구자는 상호문화미술교육으로의 전환에 필요한 접근을 교육의 지향점과 기본 관점, 실천적 접근, 교육적 가치의 측면에서 제안하였다. 상호문화미술교육은 학습자의 존재적 물음과 삶에 연계된 다문화적 문화 형성에 작동하여 자신과 타자의 실제적 변화를 이끌 긍정적 토양이 될 것이라 기대하였다.

영문 초록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criticize the problems of current multicultural art education in Korea and explore new direction and implications of multicultural art education based on phenomenological concept of interculturality. This study examines various researches on multicultural art education discourses in korea and finds some difficulties. It is that multicultural art education mainly has been focused on inducing assimilation in the ethnocentrism or stayed on cultural pluralism on the assumption the difference of cultures. These kinds of approach can occur problems of the absence of the presence of a multi-dimensional attributes in culture and the absence of presence of human beings and voices of the others in cultural process. To overcome these problems, This study suggests intercultural philosophy and concept of interculturality as alternative approach and explores meanings founded on phenomenology. The concept of interculturality can entail cultural homogeneity and heterogeneity. It can generate not only the conversation and communication in between diverse cultures but also new transcultural experience transforming cultural borders. To doing this, learners can create new cultural identity. Going a step further beyond, this study suggests that multicultural art education centered multiculturality has to be changed into intercultural art education centered interculturality. Finally, this study provides the basic direction and implications of intercultural art education.

목차

요약
Ⅰ. 서론
Ⅱ. 다문화미술교육의 중심 담론에서 제기되는 난점
Ⅲ. 상호문화 철학과 상호문화성에 대한 탐색
Ⅳ. 상호문화성에 기초한 상호문화미술교육으로의 전환
Ⅴ. 결론
참고문헌
Abstract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교보e캐시 1,000원
TOP
인용하기
APA

이은영(Lee, Eun young). (2016).다문화미술교육에서 상호문화미술교육으로의 전환 - ‘상호문화성’에 관한 현상학적 사유를 중심으로 -. 미술교육논총, 30 (1), 29-54

MLA

이은영(Lee, Eun young). "다문화미술교육에서 상호문화미술교육으로의 전환 - ‘상호문화성’에 관한 현상학적 사유를 중심으로 -." 미술교육논총, 30.1(2016): 29-54

결제완료
e캐시 원 결제 계속 하시겠습니까?
교보 e캐시 간편 결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