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추천 검색어

실시간 인기 검색어

학술논문

Subliminal Mind in Analytical Psychology and Yogacara Buddhism

이용수 84

영문명
발행기관
불교학연구회
저자명
문진건(Moon, Jinkeon)
간행물 정보
『불교학연구』제46호, 335~368쪽, 전체 34쪽
주제분류
인문학 > 불교학
파일형태
PDF
발행일자
2016.03.30
6,880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1:1 문의
논문 표지

국문 초록

이 글은 분석심리학과 유식불교의 ‘의식화되지 않는 마음의 영역’(subliminal part of mind)에 대한 비교 연구이다. 융의 무의식과 유식불교의 아뢰야식의 이론적 전제에 대한 이해를 넓히면 분석심리학에서 말하는 자기실현과 유식불교의 깨달음의 방향과 목적이 다른 이유를 파악할 수 있게 된다. 이 글은 분석심리학과 유식불교의 자기실현(spiritual transformation)의 내용과 목적이 다른이유를 파악하기 위한 예비단계로서 분석심리학의 무의식이론과 유식불교의 아뢰야식을 ‘의식에 오르지 않는 영역’이라는 공통적인 범주에 넣어 둘의 본성과 특징을 비교하였다. 비록 유식에서는 의식과 의식되지 않는 영역이라는 구분이 분명하게 드러나지 않지만, 깨닫지 못한 상태의 마음에서는 아뢰야식이 의식되지 않는 영역이라고 볼 수 있으므로 아뢰야식을 융의 무의식과 같은 범주로 두고 둘의 본성을 비교하는 것은 논리적으로 타당하다고 생각한다. 분석심리학과 유식불교는 의식과 무의식(또는 아뢰야식)의 상호관계에 대한 유사한 설명을 보여줌에도 불구하고 무의식과 아뢰야식의 본성과 기능은 근본적인 차이를 보인다. 그리고 이 차이점에 의해 서로 다른 자기실현의 목표가 설정된다. 결론적으로, 분석심리학의 무의식은 본성상 결코 의식화될 수 없으며 의식에서 부족한 것을 끊임없이 보충해 주는 역할을 하는 것인 반면, 유식의 아뢰야식은 궁극적으로 의식화될 수 있는 것으로 의식을 보충하는 역할을 하는 것이 아니라 의식과 서로 인과적으로 상호작용을 하는 것이다. 그래서 분석심리학의 자기실현은 항상 순환적이지만 유식불교의 자기실현은 해탈이라는 종착점을 두고 있다.

영문 초록

This article is a comparison between the unconscious of Jung’s analytical psychology and the ālayavijñāna of Yogacara Buddhism in order to better understand the differences between the two systems’ spiritual transformation. In both Jung’s analytical psychology and Yogacara Buddhism, the nature of the subliminal consciousness influences the way of spiritual development (the path toward Buddhahood or the process of the Self-realization). The article shows that both the unconscious and Yogacara Buddhism’s ālayavijñāna are subliminal psychic streams that are dormant but potential. They both are the repositories not only for the memory traces of all past experiences, both of oneself and others, but also for future possibilities. However, the ālayavijñāna and the unconscious of Jung are distinct when it comes to their relationship with cognitive awareness. The unconscious of Jung’s psychology compensates and complements consciousness, whereas Yogacara Buddhism’s ālayavijñāna does not have such a function to compensate consciousness. For Jung, the collective unconscious represents the storehouse of wisdom accumulated through mankind’s past efforts to come to terms with the meaning of life. The way toward spiritual transformation is, therefore, to understand the symbols and grasp the wisdom sent from the unconscious. On the contrary, for Yogacara Buddhism, one’s ālayavījñāna is not as intentional and developmentally inclined as Jung’s unconscious. For Yogacara Buddhism, the unenlightened person is primarily ignorant and deluded, and the only way to get out of the situation is to bring to an end the operation of these defilements through constant meditative practice. Thus, the psychological comparison in this article demonstrates that Jungian ideas and Yogacara notions about subliminal consciousness are reflected in their respective spiritual paths towards one’s true self.

목차

I. I. Introduction
II. The Structure of the Human Mind
III. Ego and Manas
IV. The Storehouse Consciousness and the Unconscious
V. Conclusion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교보e캐시 1,000원
TOP
인용하기
APA

문진건(Moon, Jinkeon). (2016).Subliminal Mind in Analytical Psychology and Yogacara Buddhism. 불교학연구, (46), 335-368

MLA

문진건(Moon, Jinkeon). "Subliminal Mind in Analytical Psychology and Yogacara Buddhism." 불교학연구, .46(2016): 335-368

결제완료
e캐시 원 결제 계속 하시겠습니까?
교보 e캐시 간편 결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