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추천 검색어

실시간 인기 검색어

학술논문

『오대산사적기(五臺山事蹟記)』의 판본과 민지(閔漬)의 자장전기(慈藏傳記) 자료 검토

이용수 274

영문명
A Review on Versions of Odaesan Sajeoggi(五臺山事蹟記) and Jajang Jeongi(慈藏傳記) written by Minji(閔漬) -focusing on the material of newly-found Minji’s Jajang Jeongi
발행기관
불교학연구회
저자명
염중섭(Youm, Jung-seop)
간행물 정보
『불교학연구』제46호, 121~147쪽, 전체 27쪽
주제분류
인문학 > 불교학
파일형태
PDF
발행일자
2016.03.30
6,040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1:1 문의
논문 표지

국문 초록

자장과 관련된 대표적인 국내 자료는, 일연의 『삼국유사』 속 문헌들과 민지의 『오대산사적기』 안의 자장전기가 있다. 민지의 자장전기와 관련해서, 지난 2014년가을 월정사에서 새로운 판본이 확인되었다. 이로 인하여 ‘판본 문제’와 ‘민지본의 원형’에 대한 검토가 새롭게 요청받게 된다. 본고는 이 문제를 해소하기 위해서, 먼저 제I장에서는 『오대산사적기』의 판본검토를 개진한다. 이를 통해서 현재 널리 유통되던 병․ 정본의 체계가 갑․을본에 비해서 늦다는 것을 판단해 볼 수 있게 된다. 이를 바탕으로 제II장부터는, 갑․ 을본의 대표격인 을본과 병․ 정본의 대표가 되는 정본을 통해서 자장전기의 내용 차이에 대해서 검토해본다. 먼저 제II장에서는,을본과 정본의 차이점인 총 8가지를 제시하고 이의 의미파악을 시도해본다. 이는 자 료의 원형인 민지본에 대한 판단배경을 확보하는 부분이 된다. 다음으로 제III장에서는, 제II장의 차이에서 확인되는 변화이유에 대해서 보다 구체적인 접근을 한다. 이를 통해서 판본검토에서와 같이 자장전기에서도, 갑․ 을본이 병․ 정본보다 더 빠르다는 것을 인식할 수 있게 된다. 이는 기존의 민지본에 대한 이해를 수정하게 한다는 점에서 높은 연구의의를 확보한다. 마지막으로 제IV장에서는, 앞장들의 검토결과와 함께 민지 자장전기의 특징을 살펴본다. 이를 통해서 민지의 자장전기가 일반적인 판단과 달리, 일연의 자장에 대한 기록보다 더 높은 원 자료의 충실성을 확보하고 있다는 것을 파악해 볼 수 있게 된다.

영문 초록

Typical Korean materials for Jajang are the records in Ilyeon(一然)’s SamgugYusaandJajangJeongi(Jajang’s Biography) in OdaesanSajeoggi written by Minji. In relation with Minji’s JajangJeongi, a new version was found at Woljeongsa Temple in the autumn of 2014. With this, it is newly relevant to review ‘the version’ problem and ‘the prototype of Minji’s version’. To solve this problem, Chapter 1 of this paper overviews the versions of OdaesanSajeoggi. Through this, it was found that the system of most prevalent Byung-Jeong Versions(丙․ 丁本) is later than those of Gab-Eul(甲․ 乙本). Based on this, the differences between Eul Version, the representative of Gab-Eul versions(甲․ 乙本), and Jeong Version, the representative of Byung-Jeong Versions(丙․ 丁本) are checked inChapter II. First, 8 differences between Eul and Jeong Versions are presented and their significance is examinedin Chapter II.This can provide the background to judge the Minji version as the prototype of the material. Next, Chapter III makes a more concrete approach to the causes of changes found in Chapter II. Though this, it is also seen that even in JajangJeongi, Gab-Eul versions were published earlier than Byeong-Jeong versions. This study is very significant in that the former understanding about Minji’s version should be adjusted. Finally, in Chapter IV, the characteristics of Minji’s JajangJeongi are researched along with the review results of former chapters. With this, it can be seen that, unlike the conventional viewpoints, Minji’s JajangJeongi is more faithful to the original material than Ilyeon’s record about Jajang.

목차

I. 서론-『오대산사적기』 갑․ 을․ 병․ 정본의 판본 검토
II. 을본과 정본의 자장전기 자료와 그차이점
III. 민지본의 모색과 자장전기의 변화 이유
IV. 결론-민지 자장전기의 특징과 가치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교보e캐시 1,000원
TOP
인용하기
APA

염중섭(Youm, Jung-seop). (2016).『오대산사적기(五臺山事蹟記)』의 판본과 민지(閔漬)의 자장전기(慈藏傳記) 자료 검토. 불교학연구, (46), 121-147

MLA

염중섭(Youm, Jung-seop). "『오대산사적기(五臺山事蹟記)』의 판본과 민지(閔漬)의 자장전기(慈藏傳記) 자료 검토." 불교학연구, .46(2016): 121-147

결제완료
e캐시 원 결제 계속 하시겠습니까?
교보 e캐시 간편 결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