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추천 검색어

실시간 인기 검색어

학술논문

‘낙(樂) 등’의 심리현상에 대한 불교인식론의 논증 (III)

이용수 115

영문명
A Buddhist Demonstration of Pleasure, etc. as Psychological Phenomena (III): from Dharmakīrti’s epistemological examination against Mīmāṃsā’s pleasure
발행기관
불교학연구회
저자명
박기열(Park, Ki Yeal)
간행물 정보
『불교학연구』제46호, 279~305쪽, 전체 27쪽
주제분류
인문학 > 불교학
파일형태
PDF
발행일자
2016.03.30
6,040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1:1 문의
논문 표지

국문 초록

쿠마리라(Kumārila)는 그의 쉬로카바르티카(Ślokavārttika)에서 ‘낙 등’(sukhādi)을 인식할 때 지식의 이상성(二相性, dvirūpatā) 중에서 지식 그 자체(svābhāsa), 즉 파악하는 측면(grāhakākāra)의 지식은 스스로를 대상으로 할 수 없다는 주장을 근거로 불교의 자기인식(svasaṃvitti)론을 부정한다. 한편 다르마키르티는 Pramāṇavārttika, 「직접지각」장, 448-454에서 미맘사의 ‘낙등’의 인식을 위해 별도의 인식수단을 상정했을 경우, 발생할 수 있는 불합리한 점들을 차례로 지적한다. 그의 논지의 핵심은 어떤 사람(A)이 ‘낙 등’을 별도의 인식수단 에 의해서 파악할 경우, 타인(B)도 ‘낙 등’에 대한 별도의 인식수단을 가질 것임으로 A의 ‘낙 등’은 B에 의해서도 동일하게 파악되어야만 한다는 것이다. 나아가 다르마키르티는 A의 별개의 인식수단과 B의 인식수단은 A의 ‘낙 등’이라는 동일한 인식대상을 가질지라도, A의 ‘낙 등’과 B의 ‘낙 등’은 각각의 아트만과 화합하기 때문에, B의 인식수단은 A의 ‘낙 등’을 파악할 수 없다는 미맘사의 반론을 상정한다. 이 경우도 또한 다르마키르티는 ‘낙 등’이 각자의 아트만과의 화합 여부와 관계없이 B는 결코 A의 ‘낙 등’을 파악할 수 없다고 한다. 따라서 동일한 인식대상에 대해서 A에게는 그에 대한 인식이 현현하고, B에게는 현현하지 않는 것은 불합리하다고 지적한다. 한편 미맘사의 자기인식론의 부정과 별도의 인식수단의 설정에 있어 간과할 수없는 것이 마나스(manas)의 역할이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다르마키르티는 ‘낙 등’의 인식과 관련하여 마나스에 관한 논의는 하지 않고 있다. 이것은 다르마키르티가 직 접지각 중에서 의지각(mānasapratykṣa)을 외계대상에 대한 지각에 관여하는 것에만한정하고, ‘낙 등’의 심리현상에 대해서는 자기인식을 배정하는 것과 관련이 있을것으로 추정된다.

영문 초록

Kumārila criticizes Buddhist self-awareness (svasaṃvedana). InŚlokavārttika, He asserts that the knowledge is not able to have itself as the object of cognition without another means of cognition. In other words, he denies the aspect of knowledge itself (svābhāsa) that is the grasping aspect (grāhakākāra) of knowledge in the two forms (dvirūpatā) of knowledge, the basic theory bringing into self-awareness theory of Yogacāra’s position of Dharmakīrti. In PV II 448-454, Dharmakīrtiexamines the cases that other means of cognition are required to cognize pleasure etc. and points out the irrationalities.According toDharmakīrti’s view, if there is another means of cognition for feeling pleasure, people should feel the feeling as much as what a person feels because each person can cognize personal feelings by another means of cognition. Mīmāṃsā says that though different person’s means of cognition has the same object of cognition, the personal pleasure etc. harmonizes with personal ātman, so that people cannot feel the other’s feelings. Dharmakīrti also disagrees with this opinion because it is impossible that there are two different cognitions to the one object of cognition. He asserts that regardless of the coordination of the feelings and the personal ātman, there must be the same result: Other people cannot feel the same pleasure etc. that belongs to a person. To conclude, Dharmakīrti says another means of cognition to be aware of pleasure etc. is not necessary; that is, cognition itself grasps all psychological phenomenon, a kind of knowledge as the object of cognition. On the other hand, in Mīmāṃsā’s epistemology, the function of manas is a key word in the negation of self-awareness and introduction of the other means of cognition theory. Dharmakīrti, however, does not discuss the manas in the part of the cognition to pleasure etc. I infer it is related to Dharmakīrti limits on mānasapratyakṣa as the pratyakṣa to the cognition of being outside and svasaṃvedana as the pratyakṣa for the cognition of psychological phenomena.

목차

I. 서론
II. 쿠마리라의 직접지각 개요
III. 쿠마리라의 자기인식 비판
IV. 쿠마리라의 ‘낙 등’과 마나스(意, manas)
V. 다르마키르티의 미맘사의 ‘낙 등’의 인식수단과 주체에 관한 검증
VI. 결론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교보e캐시 1,000원
TOP
인용하기
APA

박기열(Park, Ki Yeal). (2016).‘낙(樂) 등’의 심리현상에 대한 불교인식론의 논증 (III). 불교학연구, (46), 279-305

MLA

박기열(Park, Ki Yeal). "‘낙(樂) 등’의 심리현상에 대한 불교인식론의 논증 (III)." 불교학연구, .46(2016): 279-305

결제완료
e캐시 원 결제 계속 하시겠습니까?
교보 e캐시 간편 결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