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추천 검색어

실시간 인기 검색어

학술논문

교원능력개발평가 자유기술식 응답을 통한 동료교원, 학생, 학부모가 기대하는 교사의 역할 분석

이용수 963

영문명
Anlysis of Open-Ended Statements obtained from Teacher Evaluation for Professional Development
발행기관
고려대학교 교육문제연구소
저자명
박지혜(Park, Ji-Hye) 라종민(Ra, Jongmin)
간행물 정보
『교육문제연구』敎育問題硏究 第58輯, 21~41쪽, 전체 21쪽
주제분류
사회과학 > 교육학
파일형태
PDF
발행일자
2016.02.24
5,320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1:1 문의
논문 표지

국문 초록

본 연구는 2014년 운영되었던 교원능력개발평가 연구학교에 소속되어 있던 동료교원, 학생, 학부모의 서술형 응답 결과를 질적ㆍ양적 분석방법을 활용하여 분석함으로써 동료교원, 학생, 학부모가 기대하는 교사의 역할을 파악하고자 하였다. 질적자료 분석을 통해서 나타난 결과는 동료교원, 학생, 학부모 서로가 기대하는 교사의 역할에 있어 다소간에 차이가 나타난다는 것이다. 첫째, 동료교원은 학생들의 특성과 개인차를 고려하고, 노력과 열정적인 태도 , 수업(교과지도)에 전문적인 교사를 가장 선호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재, 학생들은 재미있는 교사를 가장 바라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다음으로 잘 가르치고 편안 하고 친구같은 교사를 원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학부모는 눈높이를 맞추는 교사를 가장 바람직한 교사로 여기고 있으며 다음으로 노력하고, 재미있는 교사를 기대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도출된 핵심구 성요소가 동료교원, 학생, 학부모 간에 차이가 있는지 밝히기 위해 주제에 따라 범주화된 결과에 log값을 취하여 경험적 베이지안 분석을 통해 나타난 결과는 동료교원, 학생, 학부모가 바라는 교사의 역할은 그 차이가 점점 커지는 것으로 나타났다. 첫째, 사전모수의 평균값을 기준으로 동료교원, 학부모, 학생들이 원하는 교사의 역할은 분명하게 나타났다. 둘째, 시뮬레이션 결과 동료교원과 학부모가 기대하는 역할은 일반화가능성이 높은 반면 학생이 원하는 교사의 모습은 누가 조사대상자이냐에 따라 변화 가능성이 높다는 것을 나타내고 있다. 이러한 연구결과는 교육의 핵심 주체인 동료교원, 학생, 학부모가 기대하는 교사의 역할 인식이 다르다는 점을 보여줌으로써 향후 교사연수내용을 구성하는데 있어 교사의 관점 뿐 아니라 학생과 학부모의 관점을 포함할 필요가 있음을 시사하고 있다.

영문 초록

The purpose of the current study was to examine open-ended statements obtained from tea cher evaluation for professional development using both qualitative and quantitative data analysis methods. Qualitative analyses using NVivo 10 showed that images of good teacher were different among teachers, parents, and students. First, teacher considered those who understood students’ differences, showed passionate attitude and professional performance in the classroom as a good teacher. Second, parents thought that teachers who understood their students, had passionate attitude, and gave students fun were good. Third, images of good teacher students describes was that they had a sense of humor, taught well, and were friendly. Quantitative analyses using empirical bayesian approach showed that existed gap of images of good teacher among teachers, parents, students became wider as values of prior distribution became larger. Firs t, the differences of images of good teacher among teachers, parents, students became vivid at the mean of prior distribution. Second, the images of good teacher obtained from teachers and parents had relatively high probability of occurring again while those obtained from pa rents and students were low. Such results indicated change of obtaining different images of good teachers from students at any time was relatively high, and further research needs to be conducted to confirm the results obtain ed from the current study.

목차

Ⅰ. 서론
Ⅱ. 연구방법
Ⅲ. 연구결과
Ⅳ. 결론 및 논의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교보e캐시 1,000원
TOP
인용하기
APA

박지혜(Park, Ji-Hye),라종민(Ra, Jongmin). (2016).교원능력개발평가 자유기술식 응답을 통한 동료교원, 학생, 학부모가 기대하는 교사의 역할 분석. 교육문제연구, 58 , 21-41

MLA

박지혜(Park, Ji-Hye),라종민(Ra, Jongmin). "교원능력개발평가 자유기술식 응답을 통한 동료교원, 학생, 학부모가 기대하는 교사의 역할 분석." 교육문제연구, 58.(2016): 21-41

결제완료
e캐시 원 결제 계속 하시겠습니까?
교보 e캐시 간편 결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