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추천 검색어

실시간 인기 검색어

학술논문

청소년의 주관적 안녕감에 대한 자아탄력성과 사회적 지지의 영향

이용수 1418

영문명
The effects of ego-resilience and social support on adolescents' subjective well-being
발행기관
고려대학교 교육문제연구소
저자명
고영남(Ko, Young-Nam)
간행물 정보
『교육문제연구』敎育問題硏究 第58輯, 193~217쪽, 전체 25쪽
주제분류
사회과학 > 교육학
파일형태
PDF
발행일자
2016.02.24
5,800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1:1 문의
논문 표지

국문 초록

본 연구는 청소년의 자아탄력성과 사회적 지지가 주관적 안녕감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기 위해 수행되었다. 이를 위해 중학생 267명과 고등학생 298명, 총 565명을 대상으로 자아탄력성 척도(ER), 사회적 지지 평가 척도(SSAS), 삶의 만족 척도(SW LS), 긍정 정서 및 부정 정서 척도(PANAS)를 실시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청소년의 삶의 만족 수준은 중간 수준이며, 긍정 정서는 약간 많이 느끼고 부정 정서는 적게 느끼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특히 삶의 만족에서 중학생과 고등학생 간에 유의한 차이가 있었고, 고등학생이 중학생보다 삶의 만족 수준이 더 낮은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청소년의 자아탄력성과 사회적 지지의 하위변인 대부분은 삶의 만족과 긍정 정서와 정적 관계가 있고, 부정 정서와는 부적 관계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자아탄력성과 사회적 지지의 하위변인들이 청소년의 주관적 안녕감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한 결과, 중학생의 경우는 삶의 만족, 긍정정서, 부정 정서 모두에서 가족지지가 가장 강력한 예측변인인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고등학생의 경우는 삶의 만족 과 긍정 정서에서 자아탄력성이 가족지지보다 더 큰 설명력을 가지고 있었고, 부정 정서에서는 중학생 과 마찬가지로 가족지지의 영향이 가장 큰 것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의 결과는 청소년의 자아탄력성과 사회적 지지 및 주관적 안녕감의 관계에 대한 심층적인 이해를 도모하고, 이들의 주관적 안녕감을 증진 하는 데 필요한 교육 환경 조성에 기초 자료로 활용될 수 있을 것이다.

영문 초록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analyze the effects of ego-resilience and social support on adolescents' subjective well -being. The subjects were 565, middle and high school students in Chungbuk area . The instrument used for this study were the Ego-Resiliency Scale, the Social Support Appraisal Scale, and the Satisfaction With Life Scale, the Positive and Negative Affect Scale. The major results of this study were summarized as follows. First, adolescents were shown to be a little more satisfied with life, an d had higher positive affect rates than average. They also showed lower negative affect rates than average. Specially, there were significant differences in life satisfaction of adolescents according to the school levels. Middle school students had higher life satisfaction than high school students. Second, both ego -resilience and social support were significantly correlated with subjective well-being(life satisfaction, positive and negative affect).Third, ego-resilience and social support explained subjective well-being differently according to the school levels. Family support of social support had more significant influence on the subjective well-be ing of middle school students than ego-resilience. On the other hand, high school students' ego-resilience was more influential than social support on the subjective well-being. This study discussed educational implications for the ways to increase subjective well-being for adolescents.

목차

Ⅰ. 서론
Ⅱ. 이론적 배경
Ⅲ. 연구방법
Ⅳ. 연구결과
Ⅴ. 논의 및 결론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교보e캐시 1,000원
TOP
인용하기
APA

고영남(Ko, Young-Nam). (2016).청소년의 주관적 안녕감에 대한 자아탄력성과 사회적 지지의 영향. 교육문제연구, 58 , 193-217

MLA

고영남(Ko, Young-Nam). "청소년의 주관적 안녕감에 대한 자아탄력성과 사회적 지지의 영향." 교육문제연구, 58.(2016): 193-217

결제완료
e캐시 원 결제 계속 하시겠습니까?
교보 e캐시 간편 결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