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추천 검색어

실시간 인기 검색어

학술논문

타인의 생명보험에서의 서면동의에 관한 입법적 고찰

이용수 93

영문명
Legislative study on the written agreement of a life insurance for others -Focused on an agreement period and an electronic sign-
발행기관
한국보험법학회
저자명
조동관(Dong kwan Jo)
간행물 정보
『보험법연구』제9권 제2호, 323~350쪽, 전체 28쪽
주제분류
법학 > 법학
파일형태
PDF
발행일자
2015.12.30
6,160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1:1 문의
논문 표지

국문 초록

이 글은 「상법」 제731조 제1항이 보험계약 체결시까지 피보험자인 타인의 서면동의를 얻어야 한다고 규정함으로써 발생하는 여러 문제 중에서 그 동의의 시기와 전자적 방법인 전자서명에 관하여 입법적 해결 방안을 찾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먼저 동의의 시기에 관하여 현행 법률의 규정을 유지한 상태에서 무효인 법률행위의 추인을 새로이 추가하는 방안은 입법기술적으로는 가능한 형태가 될 수는 있으나 강행규정 위반에 대한 추인을 인정하지 않는 현행 법리에 비추어 적절하지 않은 것으로 생각된다. 또한 동의의 시기를 보험사고 발생 전까지로 연장하는 방안은 보험계약자에게는 해약환급금청구권의 소멸시효 등에서 유리한 측면이 있으나 보험자에게는 유동적 무효상태의 장기화라는 지나친 법적 부담을 안겨주고 거래의 안전을 위하여 상사관계의 조속한 확정이라는 「상법」의 이념과도 동 떨어진 것으로 보인다. 이러한 이유로 「상법」 제731조 제1항이 보험계약 체결시까지 피보험자인 타인의 서면동의를 얻어야 한다고 규정한 것은 적정하다고 보이며 현행 규정의 문제점 중에서 보험자에게 위법사항이 있는 경우에는 보험계약이 무효로 되는 것과는 별개로 「보험업법」과 「민법」의 불법행위책임을 통하여 보험계약자 또는 피보험자의 불이익을 보전할 수 있을 것으로 생각된다. 다음으로 피보험자인 타인의 서면동의를 시대의 흐름에 맞추어 전자서명을 추가하는 방안을 「보험업법」 시행령, 「전자문서 및 전자거래 기본법」, 「전자서명법」, 「공증인법」에 비추어 살펴 본 결과, 전자공증의 선서인증은 이상적이지만 전자공증의 대면성 때문에 현실적으로 어렵고 공인전자서명은 공인인증서가 보안에 취약하고 「전자서명법」 제3조 제2항에 따른 추정력이 지나치게 강하기 때문에 「전자서명법」 제2조제2호에 따른 전자서명의 방식에 화상통화, 지문 또는 홍체 등의 생체정보를 통한 인증의 방법을 부가하고 이러한 방법으로 전자서명이 이루어진 경우에는 법원에서도 피보험자인 타인의 진실한 의사가 있는 것으로 추정할 수 있도록 「보험업법」 또는 금융위원회의 지침을 세밀하게 정비하는 방안을 제시한다.

영문 초록

The subsection 1 of the section 731 of the Commercial Law (hereinafter "the section") provides that an insured (hereinafter "the insured") of a life insurance contract for other insured person (hereinafter "the contract") must sign a written agreement when the contract is signed up. This article aims to find legislative resolutions concerning an agreement period and an electronic sign among several problems which arise from the section. At first, one of many legislative ways to solve problems of the section adds that the insured ratifies the contract without a written agreement after that the contract was signed up, to the section. In the aspect of legal effect, the contract without a written agreement of the insured does not become valid by the section. The rule of law in Korea, especially in the Civil Act, does not accept the ratification for the contract which breached an Act which is strictly enforced, and became invalid. Therefore, it is not good way that the insured ratifies the contract without a written agreement after that the contract was signed up. Second, it is legislatively possible to adjust the agreement period of the section before that the insured event occurs. It can help a policyholder claim a refund on termination according to the contract but an insurer overburdens legal position which is unstable and very long time. The insurer's legal burden does not match with the ideology of the Commercial Act that a commercial transaction should be confirmed in short time in order to protect the stability of commercial transaction. Hence, there is no need to amend the section and it is suitable that the section provides that the contract should have a written sign of the insured when the contract is signed up. The problems occurred from the section would be solved by that a policyholder claims a tort liability to an insurer who committed torts against the Insurance Business Act and the Civil Act. Third, an electronic sign may be introduced into the section according to the ITC era. This article reviewed the introduction of an electronic sign with the Insurance Business Act and presidential order, the Electronic Paper and Electronic Transaction Act, the Electronic Sign Act, and the Notary Act. As the result, an electronic certification of a notary for the insured's electronic sign under the Notary Act is an ideal way to resolve the problems of the section. However, an electronic certification of a notary under the Notary Act has a defect that a notary should meet the insured by face-in-face in off-line. On the other hand, a public certified sign is vulnerable to cyber security and it is excessively presumed as a sincere will of an original owner by the subsection 2 of the section 3 of the Electronic Sign Act. Hence, this article recommends the amendment of the Insurance Business Act or the guideline of the Financial Services Commission in order to presume a sincere will of an original owner, even by a court, if there is an electronic sign of the insured who is recognized by a fingerprint, a iris, or a videophone.

목차

<국문초록>
Ⅰ. 서론
Ⅱ. 동의주의ㆍ이익주의의 병용
Ⅲ. 동의 시기
Ⅳ. 전자서명에 의한 동의
Ⅴ. 결론
참고문헌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교보e캐시 1,000원
TOP
인용하기
APA

조동관(Dong kwan Jo). (2015).타인의 생명보험에서의 서면동의에 관한 입법적 고찰. 보험법연구, 9 (2), 323-350

MLA

조동관(Dong kwan Jo). "타인의 생명보험에서의 서면동의에 관한 입법적 고찰." 보험법연구, 9.2(2015): 323-350

결제완료
e캐시 원 결제 계속 하시겠습니까?
교보 e캐시 간편 결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