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추천 검색어

실시간 인기 검색어

학술논문

보험업의 개념에 관한 연구

이용수 183

영문명
A Study on the Concept of Insurance Business -focused on the Supreme Court decision of 2013do10457-
발행기관
한국보험법학회
저자명
한기정(Ki Jeong Han)
간행물 정보
『보험법연구』제9권 제2호, 1~37쪽, 전체 37쪽
주제분류
법학 > 법학
파일형태
PDF
발행일자
2015.12.30
7,240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1:1 문의
논문 표지

국문 초록

보험업을 경영하기 위해서는 금융위원회의 허가를 얻어야 하고 이를 위반하면 처벌을 받는다(보험업법 제4조 제1항, 제200조). 이러한 허가는 보험업이 갖는 단체성, 사회성 등으로 인해 국가와 사회경제생활에 미치는 영향을 고려하여 요구되는 것이다. 따라서 무엇이 보험업에 해당하는지를 정의할 필요가 있다. 보험업에 해당하지 않는 것이라면 그것을 경영하더라도 허가를 받지 않아도 되고 처벌의 대상이 되지도 않기 때문이다. 보험업의 개념은 상당부분을 해석에 의존하고 있는 상황이다. 보험업의 개념과 관련된 판례는 어느 정도 축적이 되어 있다. 이에 따르면 보험업이란 우연한 사고의 발생에 대한 경제적인 불안에 대비하는 것, 다수의 경제주체가 공동으로 비축금을 마련하는 것, 그리고 대수의 법칙을 응용한 확률계산에 의하여 급부와 반대급부의 균형을 유지하도록 하는 것이다. 그리고 판례는 보험사고의 종류, 보험료 지급시기, 비축금의 마련 방식, 보험금의 지급방식, 대수의 법칙을 응용한 확률계산 방식 등을 제한적이고 엄격한 것이 아니라 폭넓게 인정한다. 이것은 보험업이 갖는 단체성, 사회성 등으로 인해 국가와 국민생활에 미치는 영향이 크다는점을 고려한 것으로 보인다. 하지만 이외에도 보험업의 개념과 관련된 다른 쟁점들이 있다. 구체적으로는, 금전이 아닌 용역(service)도 보험급부에 해당할 수 있는지, 영업 전체의 주된 목적이 보험이 아닌 경우에도 이를 보험업으로 취급할 것인지, 용역제공자가 용역제공 여부에 일정한 재량을 갖고 있는 경우도 보험업으로 취급할 것인지, 또한 용역제공자의 재무건전성을 어느 정도 믿을만한 경우 보험업 허가를 면제할 수 있는지 등의 문제가 있다. 대법원 2014.05.29. 선고 2013도10457 판결은 위 쟁점들을 본격적으로 다루었다는 점에서 의의가 있다. 대상판결의 사건에서는 심각한 의료 상태가 발생한 가입자에게 긴급의료지원서비스를 제공하는 영업을 보험업 허가를 받지 않고 영위한 경우 보험업법 위반인지 여부가 다투어졌고, 이와 관련하여 위 쟁점들이 논의되었다. 위 쟁점들은 기존의 판례가 다루지않은 새로운 것일 뿐만 아니라 기존의 국내연구도 드문 상황이다. 대상판결이 내려진 이후대상판결의 결론(보험업법 위반이 아니라고 판시하였다)에 대체적으로 찬성하는 평석이 등장했다. 하지만, 대상판결은 대상사건의 주요 쟁점들과 관련하여 보험업의 범위를 부당하게 축소시켰다고 생각된다. 본 논문은 이러한 견지에서 위 쟁점별로 대상판결의 문제점을 지적했다. 그리고 위 쟁점들에 대한 상당한 판례, 문헌이 축적된 영국법과 미국법을 비교법으로 검토하였다.

영문 초록

To run an insurance business, one needs permission from the Financial Services Commission(the Korean Insurance Business Act art 4(1), art 200). When this condition is not met, they are punished according to the law. This permission is required because of the influences insurance companies cause on the nation and the social and economic welfare of people due to the collective and public nature of the institution. Therefore, there is a need to specify what is included in the definition of an insurance company. When a business cannot be defined as an insurance one, they would not need a permission to manage it and they would also not be subject to any form of penalty. A major part of the concept of an insurance business relies on interpretation. The court decisions about the concept of insurance business have accumulated to a degree. According to them, an insurance business has its bases in preparing for any economic instability from an accident, many principal agents of economic activities arranging common reserve fund, maintaining the balance of payment and counter-payment by calculating the probabilities using the law of large numbers. And, cases have rather flexibly and extensively recognized insurance elements, that is, the sorts of accidents, the timing for paying premiums, the method of preparing common reserve fund and the method of calculating the probabilities applying the law of large numbers. They seem to have considered that the collectiveness and publicness of insurance business have a large effect on the nations and lives of people. However, there are other controversies concerned with the concept of insurance business. Specifically, they include whether services may be acceptable as a form of insurance cover, whether when the main purpose of the entire business lacks insurance elements, the ancillary insurance elements may be regarded as an insurance business, whether service providers who have a certain amount of discretion over providing services may be exempted from having to receive permission to run an insurance business, and whether the service providers who are evaluated as quite financially solid may be exempted from having to receive such a permission. The Supreme Court decision of 2013do10457 is significant in that it fully dealt with the above issues. In this case, there was an argument over whether it is illegal according to the Korean Insurance Business Act when a firm promises to provide emergency medical care to a member in case of serious medical conditions, and consequentially many of the above controversies were discussed. Not only were there no precedent cases that dealt with these issues, it was rare to find any existing thorough research regarding them. After judgement was passed, some opinions have been expressed that this firm was not against the law. However, the judgement is suggested to have unjustly minimized the boundaries of insurance business regarding the above issues. This paper has pointed out the problems of this judgement by discussing the above each issue from this perspective. In addition, for comparison this paper explores into laws in Britain and the U.S. where there are significantly more cases and comments considering the issues concerned.

목차

<국문초록>
Ⅰ. 서론
Ⅱ. 대상판결의 내용
Ⅲ. 대상판결의 평석
Ⅳ. 결론
참고문헌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교보e캐시 1,000원
TOP
인용하기
APA

한기정(Ki Jeong Han). (2015).보험업의 개념에 관한 연구. 보험법연구, 9 (2), 1-37

MLA

한기정(Ki Jeong Han). "보험업의 개념에 관한 연구." 보험법연구, 9.2(2015): 1-37

결제완료
e캐시 원 결제 계속 하시겠습니까?
교보 e캐시 간편 결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