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추천 검색어

실시간 인기 검색어

학술논문

고구려 4구획 연화문 와당의 출현과 문화적 성격

이용수 146

영문명
Appearance and cultural characteristics of roof-end tile with four divisions and lotus flower design
발행기관
백산학회
저자명
김희찬(Kim Heechan)
간행물 정보
『백산학보』第101號, 61~86쪽, 전체 26쪽
주제분류
인문학 > 역사학
파일형태
PDF
발행일자
2015.04.30
4,280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1:1 문의
논문 표지

국문 초록

고구려 연화문 와당은 4세기 중엽~말엽 경 국내성지역에서 권운문 와당을 계승하여 와당 면을 6등분한6구획형태로출현하고있다. 이에비해평양지역에서는국내성지역과는달리권운문와당의 단계를거치지 않고있을 뿐만아니라 연화문와당의경우에도 6구획이 아닌4구획 형태로나타나고 있다. 이러한형태적인특징은4구획와당의제작전통이평양지역에서오래전부터유지되어왔었다는 것을 보여주고 있다. 그런데4구획와당의제작기술이기존에선행하고있었던낙랑운문와당의주요제작전통이었다는 점을 감안한다면, 고구려 4구획연화문와당은 기존에 평양지역에서 활용되고 있었던낙랑 4구획운문와당의 제작 전통위에국내성지역에서새롭게등장했던6구획연화문와당이서로결합되면서 출현했던 것으로 파악된다. 이러한 사실은 4구획 연화문 와당이 출현하는 4세기 말엽~5세기 초엽경, 평양지역에서는국내성지역과는 구별되는자기들만의제작전통을고수하려는 造瓦집단이 이미 존재하고 있었다는 것을 반증해주고 있다. 그런 점에서 보면, 국내성지역에서 연화문 와당의 출현 과정은 낙랑 양뿔형 운문 와당 고구려권운문와당 6구획연화문와당순으로전개되고 있었지만, 평양지역에서는 권운문와당의단계를 거치지않은채, 낙랑운타형운문와당에서직접4구획연화문와당으로전환되었던것으로파악된다. 이처럼 4구획 연화문 와당이 평양지역에서만 발생하고 있었을 뿐만 아니라 독자적으로 유행하고 있었다는 사실은 평양지역을 중심으로 오랫동안 유지되어온 造瓦집단 내지는 토착 문화가 뿌리깊게 자리 잡고 있었다는 것을 보여주고 있다. 이러한 제작 전통은 평양 천도 이후 더욱 독자적이고 지역적인 색채가 가미되면서 독창적인 고구려 복합문 와당으로 이어질 수 있는 하나의 바탕이 되었던것이다.

영문 초록

The lotus flower design roof-end tile in Koguryo can be divided into two types. The first one is six divisions type which was made in Guknaeseong area in the middle of 4th century. The second one is four divisions type prevailed in Pyungyang area in the end of 4th century. The difference between these two types must be arisen from their own production tradition that based on characteristics of the area. The prototype of roof-end tile in Koguryo is the roof-end tile with cloud pattern. The roof-end tile with cloud pattern is closely connected with the sheep-horn type cloudpattern in Nangnang from the fact that cloud pattern was motivated by sheep-horn type. So it can be assumed that the production tradition of Koguryo was based on Nangnang. As lotus flower design flowed into Koguryo in the middle of 4th century, the lotus flower design roof-end tile with six divisions was starting to be made in Guknaeseong area. But in Pyungyang area, in contrast with Guknaeseong area, they did not accept cloud pattern. They used continually cumulus type cloud-pattern that was based on the production tradition in Nangnang. As lotus flower design prevailed the whole area of Koguryo in the middle of 4th century, the lotus flower design was accepted actively in Pyungyang area. But they did not abandon their own production tradition. The roof-end tile with four divisions that have connections between dividing lines and border line is the one. Why the roof-end tiles with four divisions was made independently in Pyungyang area? In my guess, the reason is their own production tradition persisted for a long time. This production tradition was prevailed after transfer of the capital to Pyungyang. And on the basis of this production tradition, the roof-end tile with the composite designs, the most distinctive type in Koguryo, could be appeared.

목차

Ⅰ. 머리말
Ⅱ. 4구획 연화문 와당의 현황
Ⅲ. 낙랑 운문 와당의 분류와 형태
Ⅳ. 4구획 연화문 와당의 출현과 문화적 성격
Ⅴ. 맺음말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교보e캐시 1,000원
TOP
인용하기
APA

김희찬(Kim Heechan). (2015).고구려 4구획 연화문 와당의 출현과 문화적 성격. 백산학보, (101), 61-86

MLA

김희찬(Kim Heechan). "고구려 4구획 연화문 와당의 출현과 문화적 성격." 백산학보, .101(2015): 61-86

결제완료
e캐시 원 결제 계속 하시겠습니까?
교보 e캐시 간편 결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