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술논문
건설원가관리사 민간자격제도 활성화 방안 연구
이용수 109
- 영문명
- 발행기관
- 한국건설산업연구원
- 저자명
- 박희대 최석인
- 간행물 정보
- 『이슈포커스』한국건설산업연구원 ISSUE FOCUS 2016, 1~23쪽, 전체 23쪽
- 주제분류
- 공학 > 건축공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16.01.30
5,560원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논문 표지](https://contents.kyobobook.co.kr/sra/upload/book_img/123/123664.jpg)
국문 초록
▶ 본고는 건설산업 원가관리의 역량 제고를 위해 도입된 건설원가관리사 민간 자격의
활성화 방안을 도출하고자 건설 원가관리 전문가의 필요성을 검토하고, 국내외 유사
자격제도와의 비교를 통하여 자격제도 공인화를 포함한 향후 발전 방향을 제시함.
▶ 건설 프로젝트의 원가관리는 승인된 예산 내에서 사업을 수행하기 위한 견적, 예산
수립, 사업비 관리 행위를 포괄하는 건설관리 업무의 핵심 요소이나, 국내 업체들의
원가관리 역량은 개선이 시급한 수준임.
- 사업 수행 업체들의 사업비 관리에 대한 발주자들의 만족도가 낮을 뿐만 아니라, 해외
선진 업체의 사업관리 수준과 비교할 때에도 격차가 큰 실정임.
▶ 건설산업의 원가관리 역량 제고 및 효율성 향상, 그리고 객관적이고 전문적인 공사비
산정 전문가의 필요성에 따라 민간 자격인 건설원가관리사가 도입되었으나 산업 차
원의 역량 제고 효과는 미흡함.
- 제도적 활용 규정과 발주처의 요구 없이 건설 원가관리 역량을 높이고, 전문가에 대한
수요만으로 건설원가관리사의 현업 활용을 기대하기는 어려운 실정임.
▶ 미국과 일본의 건설 원가관리 자격제도는 수준에 따라 자격을 구분, 스킬업 커리어패
스를 구축하고 있다는 점에서 각 자격제도를 중장기적으로 체계화․활성화하기 위한
전략적 측면에서 벤치마킹할 필요가 있음.
▶ 국가, 지방자치단체, 공기업 등에서 발주하는 각종 공사나 물품의 제조·구매 예정가격
을 결정하는 국가 공인 민간 자격 ‘원가분석사’는 건설 원가관리가 포함하는 다양한
영역 중 요소 비용 추정을 통한 견적 이외의 영역에 적용되기 어려운 한계가 있음.
▶ 건설원가관리사의 실질적인 역할 및 활동 기반 구축을 위해 국가 공인 민간 자격으로
의 등록 추진이 이뤄져야 하며, 자격 취득자의 전문 역량 및 산업 내 타 자격을 고려
한 위상 및 역할의 정립이 필요함.
▶ 중장기적으로는 선진국 수준의 건설 원가관리 전문가를 육성하고, 건설 기술자들의
지속적인 원가관리 역량 향상을 도모할 수 있도록 현행의 자격제도보다 높은 지식,
전문성을 요구하는 ‘고급 건설원가관리사’(가칭)의 도입을 검토할 필요가 있음.
- 보다 강화된 실무 경력 및 전문 지식을 보유하고, 경제적 분석, 원가 정보 수집 및 분
석, 발주 및 조달 전략, 시공 기술 등을 다루는 자격 도입을 검토하는 것이 바람직함.
▶ 건설원가관리사 자격제도에 대한 공신력 확보 및 자격 취득자의 지속적인 전문성 유
지를 위해서 자격제도의 갱신 및 유지보수 교육에 대한 전략 수립이 필요함.
영문 초록
목차
서론
건설 원가관리 특성과 자격제도
건설 원가관리 관련 자격제도의 국내외 사례
건설원가관리사 활성화 방안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 건축물 안전 강화를 위한 정책 추진의 문제점과 보완 방안
- 건설공사 지체상금제도의 개선 방안
- 철강재 수입 규제의 문제점과 정책 대안
- 「기업활력법」의 건설 분야 활용도 제고를 위한 정책 제언
- 아베노믹스의 건설 정책
- 유럽계 건설기업의 불황 대응 전략과 시사점
- 노후 인프라 시설의 개선을 위한 민간 자본 활용 방안
- 주요국의 건설업 영업범위 제한 규정과 정책적 제언
- 공공공사 공기 연장에 따른 추가 비용 산정 기준과 절차의 개선 방안
- 건설산업과 관광산업의 산업 융합 모색
- 물가 변동에 따른 리스크 부담의 해외 사례 검토 및 시사점
- 중국 건설기업의 해외 시장 진출 동향
- 영국 건설산업 혁신운동의 주요 내용과 시사점
- 건설 분야 미개발 국가직무능력표준(NCS) 연구
- 건설업종별 영업 범위 제한 제도의 개선 방안
- 해외 건설사업 유형별 잠재 리스크 요인 및 관리 가이드라인 연구
- 최근 건설투자의 경제 성장 기여도 확대 의미
- 중소 건설기업의 해외 진출 활성화를 위한 금융·보증 지원 방안
- 향후 국내 건설경기 하락 가능성 진단
- 건설공사의 합리적 민원 처리를 위한 연구
- 최근 입찰담합 제재 강화의 문제점 및 입찰담합 근절을 위한 정책 방향
- 하도급대금 직접지급제도의 문제점과 개선 방안
- 건설원가관리사 민간자격제도 활성화 방안 연구
- 설계변경에 따른 계약금액 조정 방식의 해외 사례 및 시사점
- 공공공사 발주 방식으로의 CM at Risk 도입 방안
- 건설업 등록증 불법 대여 근절 방안
- 퇴직공제부금의 발주자 직접 납부 방식 도입 연구
- 건설 안전사고 저감 대책의 문제점과 안전관리 체계의 개선 방향
참고문헌
관련논문
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교보e캐시 1,000원](https://contents.kyobobook.co.kr/resources/dig-fo/dig/images/ink/etc/img_eCash@2x.png)