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추천 검색어

실시간 인기 검색어

학술논문

『비극소설 압록강』 연구

이용수 104

영문명
A study on 「Bigeuksoseol amnokgang」
발행기관
한국언어문학회
저자명
조재현(Cho, Jae-Hyun)
간행물 정보
『한국언어문학』韓國言語文學 第95輯, 263~288쪽, 전체 26쪽
주제분류
어문학 > 한국어와문학
파일형태
PDF
발행일자
2015.12.31
5,920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1:1 문의
논문 표지

국문 초록

영문 초록

「Bigeuksoseol amnokgang」 is manuscript of Hangeul classical novel, be owns about The Academy of Korean Studies, the Jangseogak Library. It’s?a vocabulary?and a style is presumed that it was manuscript of the Japanese Colonial Period, after 1912. This work was made from a narration of 「Hwangwolseonjeon」’s heroine?Hwangwolseon to IHwasun’s narration, and a narration of 「Eoryongjeon」s hero Eoryong to IHwayeong’s narration. 「Hwangwolseonjeon」 was made by novelization of 「Hwanghwairyeop」 narration, and 「Eoryongjeon」 is classical novel of a war made to apart from a brother and a sister. Therefor, 「Bigeuksoseol amnokgang」 peculiarity was pointed to IHwayeong, IHwasun’s suffering and it’s overcome. 「Bigeuksoseol amnokgang」 was seems to change from classical novel’s narration of hero to the others characters’s narration. In traditional families’s restoration, the story of meet and part to brother and sister(Whole blood) of 「Bigeuksoseol amnokgang」 can show us to the children generation’s narration is a idealistic vision. 「Bigeuksoseol amnokgang」 show not only keeping Confucian values and overcome to suffering the younger generation. The meaning is the conservative views’s reation of literature, has an object in prepared with a colonial peculiarity’s ‘a new familism’.

목차

1. 들어가는 말
2. 「비극소설 압록강」 서지소개 및 서사단락 분석
3. 「비극소설 압록강」과 「황월선전」, 「어룡전」의 영향관계
4. 「비극소설 압록강」에 등장하는 주변인물의 특징과 의미
5. 남매이합(男妹離合)과 가족상봉의 서사적 의미
6. 맺는 말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교보e캐시 1,000원
TOP
인용하기
APA

조재현(Cho, Jae-Hyun). (2015).『비극소설 압록강』 연구. 한국언어문학, 95 , 263-288

MLA

조재현(Cho, Jae-Hyun). "『비극소설 압록강』 연구." 한국언어문학, 95.(2015): 263-288

결제완료
e캐시 원 결제 계속 하시겠습니까?
교보 e캐시 간편 결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