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추천 검색어

실시간 인기 검색어

학술논문

먀오족의 국가급 무형문화유산과 활용 실태

이용수 325

영문명
Study on the Features and the Actual Utilization of State-Level Intangible Cultural Heritage of the Miao Ethnic Minority
발행기관
한국중국소설학회
저자명
崔亨燮
간행물 정보
『중국소설논총』제46집, 391~426쪽, 전체 36쪽
주제분류
인문학 > 문학
파일형태
PDF
발행일자
2015.08.30
7,120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1:1 문의
논문 표지

국문 초록

본 논문은 먀오족 국가급 무형문화유산의 전체적인 목록과 특징, 지리적인 분포 상황, 활용 실태와 문제점 등을 고찰하기 위한 목적으로 쓰여 졌다. 연구의 내용은 다음 세 가지 세부내용을 포함하고 있다. 첫째, 2006-2011년, 제1-3차에 걸쳐 선정된 국가급 무형문화유산 목록 가운데 먀오족과 관련이 있는 항목은 55개이다. 먀오족은 55개 소수민족 가운데 인구 순위 5번째이지만, 3번째로 많은 국가급 무형문화유산을 보유하고 있다. 분야별로는 민속 23.6%, 전통무용 18.2%, 민간문학 12.7%, 전통공예 및 기술 12.7%, 전통음악 10.9% 순 이다. 먀오족의 무형문화유산은 다민족 공유 항목이 전체 58.18%를 차지하고 있는데, 이는 ‘다원일체의 중국’을 잘 드러내고 있다. 둘째, 먀오족은 중국 서남부를 중심으로 베트남, 라 오스, 태국, 프랑스, 미국, 호주 등지에 분포하고 있는 ‘초국경-비국가’로 분류할 수 있는 디아스포라 민족이다. 먀오족의 무형문화유산은 구이저우성 71.4%, 후난성 17.6%로 이 두 지역에 90%가 분포하고 있다. 특히 ‘貴州省→黔東南苗族侗族自治州→雷山縣’이 핵심지역이 다. 먀오족의 무형문화유산은 지역⋅지파별 특색을 분명히 드러내고 있는 것과 공통적인 것 으로 구분된다. 먀오족의 무형문화유산을 3대 방언군별로 분류해 보면 黔東方言 지역 57.1%, 湘西方言 지역 24.2%, 川黔滇方言 지역 18.7% 분포되어 있다. 먀오족은 방대한 지역에 소규모 공동체 형태로 거주하고 있지만, 蚩尤의 후손이라는 상상의 단일혈연공동체 의식을 공유하고 있다. 그들의 무형문화유산 가운데 민족과 집단의 단결과 정체성을 도모, 유지하는 것과 관련이 있는 것들이 다수 존재한다. 치우를 통한 먀오족의 민족적 정체성과 단합은 2000년을 전후하여 한족의 ‘炎黃熱’에 자극받아 더 강화된 듯하며, 3번째로 많은 국 가급 무형문화유산을 보유하게 된 것도 그와 무관하지 않아 보인다. 셋째, 먀오족 무형문화 유산의 활용 실태를 傳承人과 傳習所, 초등⋅중등 교육과정에 편입, 民族文化风情园, 生態 博物館과 文化生態保護區, 축제와 박람회, 이 5가지 대표적인 사례를 중심으로 살펴보았다. 아울러 무형문화유산이 전시화, 세속화⋅오락화, 생태환경이 파괴 오염되는 문제점을 지적 하였다. 이를 통해서 중국 정부가 추진하고 있는 ‘무형문화유산 프로젝트’와 관련하여 소수 민족의 한 사례를 구체적으로 살펴보고, 국가급 무형문화유산이라는 새로운 스펙트럼으로 먀오족 문화를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또한 최근 몇 년 동안 문화대국으로서의 중국의 이미 지, 관광객 유치를 통한 지역경제 활성화 등과 관련하여 가장 중요하게 부각된 이슈라고 할 수 있는 무형문화유산의 다양한 활용 실태와 문제점을 파악하는 계기가 될 것으로 기대한다

영문 초록

In this paper I analyzed the features and the actual utilization of state-level intangible cultural heritage of the Miao ethnic minority. The outline of this paper is as follows: First, I abstracted all items related to the Miao people among state-level intangible cultural heritage lists announced by the Chinese government from 2006 to 2011. Consequentially, the Miao people had 55 state-level intangible cultural heritage, ranking third among 55 Chinese minorities, while the Miao’s population ranked fifth(2010). The Miao intangible cultural heritage represented the ratio of folk customs 23.6%, traditional dance 18.2%, folk literature 12.7%, traditional crafts and skills 12.7%, traditional music 10.9% etc. I could find that multiethnic sharing items accounted for about 58.18% of all the Miao intangible cultural heritage. This fact accidentally represented ‘plurality and unity in the Configuration of the Chinese Nation’. Second, today the Miao people live mainly in not only southwestern China but also Vietnan, Laos, United States, France etc. We might classify the Miao people as a transnational diaspora ethnic group. The Miao intangible cultural heritage were distributed into Guizhou 71.4%, Hunan 17.6%. We should especially pay attention to Guizhou→ Qiandongnan(黔東南自治州)→Leishan(雷山縣). I think that the Miao intangible cultural heritage items could be classified into common heritage and branch tribe heritage. Arranging with the Miao three dialect districts, their intangible cultural heritage had the distribution ratio of east district(湘西) 24.2%,central district(黔東) 57.1%, and west district(川黔滇) 18.7%. The Miao people had a strong sense of imagined community based on an ancestor of Chiyou(蚩尤), despite widespread population. I found many intangible cultural heritage items related to maintaining their identity and promoting their unity. Third, I investigated the actual utilization of the Miao intangible cultural heritage. I presented five representative cases: inheritors(傳承人) and traing & inheriting institute(傳習所), application of elementary and middle school curriculum, ethnic culture customs park, ecomuseum and eco-cultural protection area, festival and exhibition. I’d like to indicate that the Miao intangible cultural heritage have been getting softer in seriousness, and more exhibiting, entertaining in nature in the course of using.

목차

1. 머리말
2. 먀오족의 국가급 무형문화유산 목록
3. 먀오족 무형문화유산의 지형도
4. 무형문화유산의 활용 실태와 문제점
5. 맺음말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교보e캐시 1,000원
TOP
인용하기
APA

崔亨燮. (2015).먀오족의 국가급 무형문화유산과 활용 실태. 중국소설논총, 46 , 391-426

MLA

崔亨燮. "먀오족의 국가급 무형문화유산과 활용 실태." 중국소설논총, 46.(2015): 391-426

결제완료
e캐시 원 결제 계속 하시겠습니까?
교보 e캐시 간편 결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