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추천 검색어

실시간 인기 검색어

학술논문

18-19세기 한국 소설에 나타난 여성의 상업 활동과 여성 儒商

이용수 480

영문명
Women’s Economic Activities and Female Rushang(儒商) in 18-19th Century Korea Novel
발행기관
한국중국소설학회
저자명
金秀燕
간행물 정보
『중국소설논총』제46집, 69~84쪽, 전체 16쪽
주제분류
인문학 > 문학
파일형태
PDF
발행일자
2015.08.30
4,720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1:1 문의
논문 표지

국문 초록

한국의 전통사회 특히 조선은 기본적으로 상업을 말단으로 취급한 사회다. 때문에 상인이나 상업 활동에 대한 주목이 중국이나 일본에 비해 상대적으로 적었다. 상업적 문예물인 소설도 주로 양반 사회의 삶과 갈등을 중심 소재로 삼는 것이 많아, 이른바 본격적 ‘상업소설’ 의 발생을 확인하기란 쉽지 않다. 그러나 소설은 인간의 총체적 삶을 다루는 장르이기에, 四民 중 하나인 商人을 완전히 지워낼 수는 없었다. 우리는 10세기 《 최치원 》 에서부터 17세 기 《 주생전 》 까지, 소재적 차원이지만 서사적 세계 안에 뚜렷이 존재하는 ‘상인’의 모습을 목격할 수 있다. 그리고 18세기 이후 한문단편에서는 변화하는 사회를 반영하는 듯, 다양한 상업 활동과 상인의 모습이 등장한다. 조선시대 소설이 포착한 상업 활동은 주로 남성에 의해 이루어진 것이고, 그것도 대개는 몰락한 신분의 생계 수단으로 그려져 있다. 최근 퓨전 역사 드라마 등에서 종종 여성 상인의 모습이 ‘상상’되고, 지식과 재력을 갖춘 상단의 여성 대표가 귀족들을 상대하여 무역을 하는 장면이 등장하지만, 규방을 벗어나기 어려운 조선시대 여성이 직접 상업 활동에 참여한다는 것은 쉽지 않아 보인다. 여성의 상업 활동은 남성의 상업 활동을 내조하거나, 저자거리에서 보따리 장사를 하는 하층의 하루 생계거리 정도로 상상할 수 있을 것이다. 이들은 서사의 전면에 나서지 못하고 후경으로 존재했을 뿐이다. 그런데 18-19세기 소설 기록 중 몇몇은 여성의 본격적 상업 활동을 그리고 있어 흥미롭다. 이 시기에 향유된 한문단편에서는 직접 자금을 융통하여 약재를 매점하는 방식으로 치부를 하는 선비의 아내, 매점을 하고 시장의 물품 가격까지 조작하는 여항인의 부인, 과일과 잡화 등을 팔아 서울의 거부가 된 양민 여성을 확인할 수 있다. 이들은 모두 개인의 치부를 위해 상업 전선에 참여한 인물들이다. 고전 서사 중에는 상업 활동을 통해 가난한 사람을 구제하는 여성 상인의 모습도 보이는 데, 여기에서 사회 기여형 여성 儒商의 이미지를 발견할 수 있다. 이러한 여성 유상의 이미지는 19세기에 국문소설 《 조부인전 》 에서 극대화된다. 이 작품은 문명 전환기에 사대부 여성 이 고난을 극복하고 自强의 방도를 찾는 과정에서 사회지도층 유상으로 거듭나는 모습을 구체화하였다. 상업 활동을 통해 축적한 재물을 바탕으로, 鄕約을 실시하여 예의지향을 이 루고 병사를 길러 富强鄕을 이룩한 조부인의 모습은 전통서사에서 보기 드문 발견이라 하겠다.

영문 초록

Korean traditional societies, in particular the Joseon Dynasty regarded basically commerce as a minor. Hence, relatively less attention was paid to merchants or commercial activities than China or Japan. Many novels, or commercial literary works had a main subject matter on a life and conflict of an aristocratic society so it is not easy to identify the advent of so-called a regular’ commercial story(Merchants Novels)’. However, since a novel is a genre dealing with human whole life, it was impossible to exclude completely merchants, one of 4 kinds of statuses. From the 10th century’s to the 17th century’s , we can witness an image of a ‘merchant’ who exists distinctly in the narrative world despite of a material level. Besides, in Chinese short stories after 18th century, various commercial activities and merchants appeared, reflecting a changing society. Commercial activities captured by novels in the Joseon Dynasty are mainly done by males and described as a means of living for the ruined status. In the recent fusion historical dramas, an image of a female trader is often ‘imagined’ with the scene of trading by a female representative of a commercial group equipped with knowledge and wealth with the nobility. However, it seems difficult for Joseon women having a trouble in escaping from a boudoir to participate in a commercial activity. We can imagine female commercial activities merely stayed at helping those of males or a daily livelihood of the lower class as a peddler at a market street. They only existed not as the foreground but as a background of a narrative. In the mean time, it is intriguing that several 18th-19th centuries’ novels depict female commercial activities in earnest. Chinese short stories enjoyed during such a period show a wife of a scholar(Sunbi), who becomes rich by direct funding and cornering of medicines, a wife of a middle-class man, who corners and manipulates a market price, and a female citizen who becomes a millionaire at Seoul by selling fruits and miscellaneous goods. They are all characters who participate in a commercial front for their individual money-making. Some classical narratives show a female merchant who relieves the poor through commercial activities and here an image of a female scholarly merchant(Rushang, 儒商) contributing to a society may be identified. Such an image of a female scholarly merchant is maximized in the 19th century’s Korean novel . This work embodies a noble woman who was reborn as a scholarly merchant of the social leadership through a process to overcome hardship and search for a method of self-strengthening in a transitional period of civilization. An image of Ms. Jo, who achieved a courteous village through implementing Hyangyak(鄕約) based on the wealth from commercial activities and a rich and powerful village through training soldiers, is a rare discovery in the traditional narrative.

목차

1. 시작하며
2. 18-19세기 한문단편에 나타난 여성의 상업활동
3. 19세기 국문소설에 나타난 여성 儒商
4. 나가며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교보e캐시 1,000원
TOP
인용하기
APA

金秀燕. (2015).18-19세기 한국 소설에 나타난 여성의 상업 활동과 여성 儒商. 중국소설논총, 46 , 69-84

MLA

金秀燕. "18-19세기 한국 소설에 나타난 여성의 상업 활동과 여성 儒商." 중국소설논총, 46.(2015): 69-84

결제완료
e캐시 원 결제 계속 하시겠습니까?
교보 e캐시 간편 결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