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추천 검색어

실시간 인기 검색어

학술논문

중국 국가급 무형문화유산 목록의 고찰

이용수 221

영문명
A Study on Chinese Intangible Cultural Heritage State-level List : Focusing on the Ethnic Minorities List
발행기관
한국중국소설학회
저자명
許允貞
간행물 정보
『중국소설논총』제44집, 351~386쪽, 전체 36쪽
주제분류
인문학 > 문학
파일형태
PDF
발행일자
2014.12.30
7,120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1:1 문의
논문 표지

국문 초록

목록은 한 국가의 무형문화유산의 양상을 보여주는 가장 기초적인 자료이자 행정적 실천을 보여주는 요체이다. 2004년에 유네스코의 ‘무형문화유산보호 협약(Convention for the Safeguarding of Intangible Cultural Heritage)’에 가입한 중국은 2006년 1차, 2008년 2차, 2011년 3차 국가급 무형문화유산 목록을 작성하였다. 본고는 본 세 가지 목록을 대상으로 먼저 용어상의 변화, 목록의 구조, 분류법을 살핀 연후에 그를 기초로 목록상에서 55개 소수민족의 항목을 선택하여 다양한 각도에서 그를 분석하고 거기에 내재된 정치적 의도를 파악하고자 하였다. 먼저 목록상에 드러난 용어상의 변화, 즉 민간이란 용어를 전통으로 바꾼 점에서 무형문화유산을 문화정치에 이용하고자 하는 정치적 의도를 보았다. 또 목록의 분류는 근대 이래의 자국 내 학적 전통을 이어 만들어졌지만, 그것이 전승인 제도 결합할때 오히려 보호에는 부정적 영향을 미칠 수 있음을 밝혔다. 1차에서 3차에 이르기까지 항목선정의 기준이 자주 바뀌고 모호하며 체계가 불완전하여 무형문화유산에 대한 잘못된 오해를 불러일으킬 수 있다. 소수민족의 무형문화유산은 개별항목이라는 관점에서 보았을 때 38.3%를 차지하여, 소수민족에 대해 많은 지원을 하고 있는 것처럼 보이나, 신청한 지역 및 기관이라는 관점에서 보았을 때 30.8%로 떨어지는데, 이는 소수민족의 행정력과 정치력, 학적 성과가 여타 한족 지역에 비해 떨어진다는 것으로 말하고 있다. 그 선정된 항목 역시 티베트족, 몽골족, 먀오족, 위구르족 등 초국경 민족에 치우쳐 있고, 여기에서 소수민족의 무형문화유산을 보호하려는 순수한 목적보다는 국가 간 벌이는 문화정치에 수단화하려는 정치적 의도를 엿볼 수 있다.

영문 초록

The list is the most basic data and administrative practices showing aspects of the intangible cultural heritage of each country. China has acceded to the UNESCO’s convention for the safeguarding of intangible cultural heritage since 2004, and first drew up the intangible cultural heritage state-level list in 2006, and updated its list respectively, in 2008 and 2011. This paper is the study about the above 3 lists, first I find the change in its terms, the structure and classification of list, next select items related 55 ethnic minorities on the list, and then analyze them from different angles and understand there are the implicit political intentions. Through a change in the terms on the list, replacing the term of folk with tradition, shows there are a political intent to use the intangible cultural heritage cultural politically. The classifications of list were created following the tradition of the modern academic, but when it is combined with inheritance system, it has had a negative effect on the protection of intangible cultural heritage. From first to third list, its selection criteria often get changed, are ambiguous and the list of system is faulty, which may give rise to misunderstanding about the intangible cultural heritage. The intangible cultural heritage of ethnic minorities accounts for 38.3% towards the entire lists, which shows there seems to be a lot of support for ethenic minorities apparently. However, on the basis of the numbers of the government offices, institutes and so on which applied for the list accounted for only 30.8%. This is to say that these minorities political and administrative power, academic achievements are inferior to the those of the Han(Chinese) ethnic regions. Selected items are overly weighted toward the multinational nationality of Tibetan, Mongolian, Miao, Uyghur people, which means that the Intangible Cultural Heritage of ethnic minorities is regard as a cultural political instrument among nations rather than as a pure purpose of protecting the intangible cultural heritage of ethnic minorities.

목차

국문제요
1. 서론
2. 국가급 목록의 양상과 문제점
3. 소수민족 무형문화유산 목록과 정치적 의미
4. 결론
〈參考文獻〉
〈Abstract〉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교보e캐시 1,000원
TOP
인용하기
APA

許允貞. (2014).중국 국가급 무형문화유산 목록의 고찰. 중국소설논총, 44 , 351-386

MLA

許允貞. "중국 국가급 무형문화유산 목록의 고찰." 중국소설논총, 44.(2014): 351-386

결제완료
e캐시 원 결제 계속 하시겠습니까?
교보 e캐시 간편 결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