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추천 검색어

실시간 인기 검색어

학술논문

『벽공무한』 재독(再讀)을 위한 몇 가지 단서와 하나의 텍스트

이용수 211

영문명
Several clue and one text for reinterpretation on ByeokGongMuHan
발행기관
구보학회
저자명
김명훈(Kim, Myong-hoon)
간행물 정보
『구보학보』12집, 145~169쪽, 전체 24쪽
주제분류
어문학 > 문학
파일형태
PDF
발행일자
2015.06.30
5,680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1:1 문의
논문 표지

국문 초록

이 글은『벽공무한』의 형식적인 측면에서 확인되는 몇 가지 단서들에 주석을 붙임으로써 거칠게나마 이효석의 서술 전략을 재검토하고자 하였다. 일 제말기 소설들이 대개 그러하듯『벽공무한』역시 텍스트의 외부 요소들과 당대의 연구사적 형편에 의해 해석의 방향이 급변해왔다. 그런데 텍스트 외부 요소들을 보충하고 연구사적 시각의 변화를 따라가는 과정에서 자칫 텍스트의 내부에서 이미 결정(結晶)된 몇 가지 단서들을 놓치지는 않았는지 되짚어볼 필요가 있다. 예컨대 이 글에서 제시하고 있는 몇 가지 단서란 이런 것 이다. 첫째,『벽공무한』은 왜 주인공이 아닌 문훈을 작품의 시작과 끝에 초점 화자로 제시하고 있는가. 둘째, 문훈의 직업은 왜 하필 소설가인가. 셋째, 왜 문훈의 욕망과 일마의 욕망이 동일시되는가. 넷째, 근대소설의 양식이 일정 수준에 이르렀던 1940년대에 창작되었음에도 『벽공무한』의 서사는 왜 이토록 허무맹랑한가. 그리고 마지막으로 『벽공무한』의 허무맹랑함을 드러내 보여주는 경마 장면을 에밀 졸라의『나나』와 함께 읽어가면서 이 허무맹랑함 의 불가피성과 그 초과분을 걸러내려 했다. 이러한 내용들을 묻고 답하는 과정에서 어쩌면 이효석은 근대소설이라는 양식 속에 이미 내재해 있는 어떤 불가능성을 감지했던 것인지도 모른다는 것, 그리고 또 한번 어쩌면, 이효석은 그 불가능성의 벽을 허무는 새로운 소설의 형식을 『벽공무한』을 통해 실현하고자 했던 것인지도 모르겠다는 생각을 갖게 되었다.

영문 초록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reexamine Lee Hyo-seok’s narrative strategy roughly by annotating on the several clues appearing in a formal aspect of ByeokGongMuHan. As the novels in the last period of Japanese imperialism usually have, ByeokGongMuHan also have definitely changed its direction for interpretation according to the outside elements and contemporary historiography. But in the process of supplementing the outside elements and following change of historiographic view, we need to review if we missed several clues which are already arranged in the text itself. For example, these are the several clues which are presented in this study. First, why does ByeokGongMuHan present not a protagonist but Moon Hoon as a focalizor in a beginning and an end of the novel? Second, why is the Moon Hoon’s job a novelist? Third, why is Moon Hoon's desire identified with Ill-ma’s desire? Fourth, why is the narration of ByeokGongMuHan absurd like this although it was written in the 1940’s when the form of modern novel reached a certain standard? Lastly, I filtered out necessariness of this absurdness and the excess portion in the horse racing scene which reveals ByeokGongMuHan’s absurdness by reading Emile Zola’s Nana. In the process of asking and answering those contents, I thought Lee Hyo-seok might notice an impossibility which was existed in the form of modern novel and once again he might intend to realize the new form of the novel which tears down a wall of the impossibility through ByeokGongMuHan.

목차

1. 서론 : ‘제국 담론’의 암면(暗面)과 ‘만습기(晩習期)’의 문학
2. 만주 판타지의 전말과 ‘소설’의 자기 반영
3.『벽공무한』과『나나』, 문화자본주의적 동일성의 풍경과 그 초과분
4. 결론 : 재현 체제의 전복과 장편소설의 미학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교보e캐시 1,000원
TOP
인용하기
APA

김명훈(Kim, Myong-hoon). (2015).『벽공무한』 재독(再讀)을 위한 몇 가지 단서와 하나의 텍스트. 구보학보, 12 , 145-169

MLA

김명훈(Kim, Myong-hoon). "『벽공무한』 재독(再讀)을 위한 몇 가지 단서와 하나의 텍스트." 구보학보, 12.(2015): 145-169

결제완료
e캐시 원 결제 계속 하시겠습니까?
교보 e캐시 간편 결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