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추천 검색어

실시간 인기 검색어

학술논문

단순언어장애 아동과 일반 아동의 의미표상 비교

이용수 1256

영문명
Semantic Representation in Children with Specific Language Impairment
발행기관
한국언어청각임상학회
저자명
이은영(Eun Young Lee) 하지완(Ji Wan Ha)
간행물 정보
『Communication Sciences & Disorders』Communication Sciences & Disorders vol20. no.2, 277~289쪽, 전체 13쪽
주제분류
사회과학 > 교육학
파일형태
PDF
발행일자
2015.06.30
4,360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1:1 문의
논문 표지

국문 초록

배경 및 목적: 본 연구의 목적은 단순언어장애 아동의 언어적 의미표상과 시각적 의미표상을 비교하는 것이다. 언어적 방법 이외에 그림 과제를 통하여 단순언어장애 아동의 시각적 의미표상 능력을 알아보고, 그 수행력을 언어적 의미표상과 비교하였다. 방법: 4-6세의 단순언어장애 집단 15명과 생활연령일치 일반 집단 15명, 언어연령일치 일반 집단 15명을 대상으로 하였다. 의미표상 능력을 알아보기 위해 '의미 설명하기'와 '그림으로 표현하기' 과제를 실시한 후, 집단 간 두 과제의 수행력 차이를 비교하고 두 과제 간 상관관계를 분석하였다. 결과: 의미 설명하기 과제에서 단순언어장애 집단은 생활연령일치 일반 집단보다 수행력이 유의하게 떨어졌으나, 언어연령일치 일반 집단과는 차이가 없었다. 집단에 상관없이 기능적 반응은 관계적, 물리적, 분류적 반응보다, 관계적 및 물리적 반응은 분류적 반응보다 유의하게 많이 발생하였다. 그림으로 표현하기 과제에서 단순언어장애 집단의 수행력은 생활연령일치 일반 집단보다 유의하게 낮았으나, 언어언령일치 일반 집단보다는 유의하게 높았다. 의미 설명하기와 그림으로 표현하기 과제는 유의하게 높은 정적 상관관계를 나타내었다. 논의 및 결론: 단순언어장애 집단이 언어뿐 아니라 시각적 의미표상에도 결함을 보인다는 본 연구의 결과는 언어와 그림이 하나의 의미표상을 공유하고 있거나 또는 각 의미표상이 서로 활발하게 상호작용하고 있을 가능성을 시사한다. 이와 관련하여 언어치료 임상현장에서 고려하여야 할 바를 논의하였다.

영문 초록

Objectives: The objective of this research is to overcome the unsuitableness of accessing the semantic representation of language by using linguistic methods targeting children with language disorder. This research is intended to compare linguistic semantic represen-tation and visual semantic representation by targeting a specific language impairment (SLI) group, a chronological age (CA)-matched group, and a language ability (LA)-matched group. Methods: Fifteen children (aged 4-6 years) in the SLI group, 15 in the CA group, and 15 in the LA group participated in the research. To assess semantic representation in the three groups, 'explaining the meaning' and 'expressing with a picture' were performed. Results: In the expressing the meaning task, the SLI group was significantly lower in linguistic se-mantic representation than the CA group. In the percentage of response types, functional response was significantly higher than relational, physical, and classificational responses and relational and physical responses were significantly higher than classificational re-sponses. In the expressing with a picture task, the SLI group's visual semantic representa-tion was significantly lower than CA. In addition, even though the SLI group's correct re-sponse score was higher than LA, SLI tended to omit typical characteristics of items, unlike LA. There was a positive correlation between performance on explaining the meaning and expressing with picture tasks. Conclusion: The results of the present study suggest the possibility that children with SLI have difficulties in semantic representations visually as well as linguistically. When considering this and prior research, we cannot deny that lin-guistic semantic representation and visual semantic representation actively interact.

목차

Abstract
연구 방법
연구 결과
논의 및 결론
REFERENCES
국문초록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교보e캐시 1,000원
TOP
인용하기
APA

이은영(Eun Young Lee),하지완(Ji Wan Ha). (2015).단순언어장애 아동과 일반 아동의 의미표상 비교. Communication Sciences & Disorders, 20 (2), 277-289

MLA

이은영(Eun Young Lee),하지완(Ji Wan Ha). "단순언어장애 아동과 일반 아동의 의미표상 비교." Communication Sciences & Disorders, 20.2(2015): 277-289

결제완료
e캐시 원 결제 계속 하시겠습니까?
교보 e캐시 간편 결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