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추천 검색어

실시간 인기 검색어

학술논문

말소리장애 아동과 일반 아동의 종성파열음지각력 연구

이용수 699

영문명
Final Stop Consonant Perception in Children with Speech Sound Disorders
발행기관
한국언어청각임상학회
저자명
원민주(Min ju Won) 하승희(Seung hee Ha)
간행물 정보
『Communication Sciences & Disorders』Communication Sciences & Disorders vol20. no.2, 145~156쪽, 전체 12쪽
주제분류
사회과학 > 교육학
파일형태
PDF
발행일자
2015.06.30
4,240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1:1 문의
논문 표지

국문 초록

배경 및 목적: 말소리장애의 원인 중 하나로서 말지각 능력상의 결함이 지속적으로 논의되어왔다. 본 연구에서는 일반아동과 비교해서 말소리장애 아동이 종성파열음의 음향학적 단서를 완전히 제공하거나 일부를 삭제하여 제공하는 조건에서 종성파열음에 대한 지각력이 어떠한지 살펴보고자 하였다. 방법: 말소리장애 아동과 일반 아동 각각 15명을 대상으로 두 쌍의 일음절 단어의 음향학적 정보를 모두 제공한 전체조건과 어말 종성의 전체적인 음향학적 구간 끝에서 40 ms와 60 ms씩을 잘라낸 조건을 총 4회씩 제시하였다. 아동은 자극어를 듣고 소리에 해당하는 그림을 지적하였으며, 아동의 반응을 d-prime 값으로 변환하여 분석하였다. 결과: 자극어 '밥-밭'에서는 말소리장애 아동과 일반아동 집단 간 지각력에 유의미한 차이가 나타났으며, 집단 내 자극어 조건(전체, -40 ms, -60 ms)에 따른 지각력에도 유의한 차이가 나타났다. 조건과 집단에 따른 상호작용 효과는 유의미하지 않았다. 자극어 '목-못'에서는 두 집단 간 지각력에 유의미한 차이가 나타나지 않았으며, 집단 내 자극어 조건에 따른 지각력에 유의한 차이도 나타나지 않았다. 논의 및 결론: 본 연구결과는 일반 아동에 비해 말소리장애 아동이 음향학적 정보가 일부 삭제된 조건뿐만 아니라 음향학적 정보가 완전하게 제시된 조건에서도 말소리를 지각하는데 어려움을 보일 수 있음을 제시하고 있다. 이러한 결과를 바탕으로 말소리 지각 능력상의 결함으로 인해 말소리 산출상의 문제가 나타날 수 있음을 추론해볼 수 있다.

영문 초록

Objectives: This study aimed to identify how children with speech sound disorders (SSD) perceive final stop consonants by using a gating task in comparison with age-matched typically developing children. Methods: Fifteen children with SSD and 15 typically devel-oping children participated in the study. Consonant-vowel-consonant (CVC) one-syllable word pairs were used as stimuli. Forty milliseconds length (-40 ms) and sixty milliseconds length (-60 ms) from the entire duration of the final consonant were deleted for gated con-ditions. Three conditions (the whole word segment, -40 ms, -60 ms) were used for this speech perception experiment. In total, 48 tokens (4 stimuli× 3 conditions× 4 trials) were provided for the participants. Results: When speech signals were displayed in whole-word and gated conditions in the stimuli, papㄱ-patㄱ, the perception of the children with SSD was poorer than the typically developing children. However, there was no significant dif-ference between the children with SSD and the typically developing children in whole-word and gated conditions in stimuli mokㄱ-motㄱ, and there was no significant difference across conditions. Conclusion: The results suggest that children with SSD have difficulty in recognizing final consonants and require more acoustic information to accurately perceive them than typically developing children. This study suggests that the difficulty of speech perception could be an associated factor of speech sound disorders.

목차

Abstract
연구 방법
연구 결과
논의 및 결론
REFERENCES
국문초록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교보e캐시 1,000원
TOP
인용하기
APA

원민주(Min ju Won),하승희(Seung hee Ha). (2015).말소리장애 아동과 일반 아동의 종성파열음지각력 연구. Communication Sciences & Disorders, 20 (2), 145-156

MLA

원민주(Min ju Won),하승희(Seung hee Ha). "말소리장애 아동과 일반 아동의 종성파열음지각력 연구." Communication Sciences & Disorders, 20.2(2015): 145-156

결제완료
e캐시 원 결제 계속 하시겠습니까?
교보 e캐시 간편 결제